[국내논문]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임상영앙치료의 임상적 효과와 비용효과 연구 The Clinical and Cost Effectiveness of Medical Nutrition Therapy for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원문보기
우리나라의 경제적 발달과 문화 수준의 향상으로 질병 양상과 사망 원인에 많은 변화가 있는데, 그 중에서도 최근 당뇨병의 유병률의 상승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으며, 사망 원인의 수위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를 예방하고 당뇨병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근거중심인 영양치료 방법의 제시가 절실한 실정이다. 미국영양사협회에서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당뇨병 유병율을 낮추기 위하여 생활습관의 개선을 목표로 임상영양치료의 표준화 지침을 제시하고 이에 따른 치료 효과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 국내에서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 않은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미 국외에서 사용되고 있는 지침에 근거하여 심층영양교육 방법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1회 교육만으로 시행되는 기본교육 방법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으나 결과를 얻었다. 심층 및 기본영양교육 즉, 두 가지 교육 방법을 비교하였을 때 심층영양치료 방법을 실시한 경우 기본영양교육을 실시한 경우보다 혈당, 혈압 및 체중 강하 효과 면에서 유의적으로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용효과 면에서 장기간의 혈당변화 상태를 알 수 있는 당화혈색소의 경우 1%를 낮추기 위하여 소요되는 비용은 심층영양교육군에서 더 적었으며, 교육의 잠재 효과를 고려하였을 경우, 모든 혈당 검사 지표의 영양치료 비용 대비 효과 면에서 심층영양교육 방법이 기본영양교육 방법보다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비용 고치료 효과를 보여주고 있는 임상영양치료는 당노병과 같은 만성질환의 중요한 기본치료로 주목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영양치료행위의 의료 보험 급여화는 국민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국가적으로는 의료비 지출을 감소시키며 국민의 건강을 증진시키는데 큰 기여를 하는 합리적인 방안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현 비급여 수가로 되어 있는 교육수가를 급여화하여 많은 환자들에게 의료 혜택을 주는 일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우리나라의 경제적 발달과 문화 수준의 향상으로 질병 양상과 사망 원인에 많은 변화가 있는데, 그 중에서도 최근 당뇨병의 유병률의 상승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으며, 사망 원인의 수위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를 예방하고 당뇨병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근거중심인 영양치료 방법의 제시가 절실한 실정이다. 미국영양사협회에서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당뇨병 유병율을 낮추기 위하여 생활습관의 개선을 목표로 임상영양치료의 표준화 지침을 제시하고 이에 따른 치료 효과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 국내에서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 않은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미 국외에서 사용되고 있는 지침에 근거하여 심층영양교육 방법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1회 교육만으로 시행되는 기본교육 방법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으나 결과를 얻었다. 심층 및 기본영양교육 즉, 두 가지 교육 방법을 비교하였을 때 심층영양치료 방법을 실시한 경우 기본영양교육을 실시한 경우보다 혈당, 혈압 및 체중 강하 효과 면에서 유의적으로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용효과 면에서 장기간의 혈당변화 상태를 알 수 있는 당화혈색소의 경우 1%를 낮추기 위하여 소요되는 비용은 심층영양교육군에서 더 적었으며, 교육의 잠재 효과를 고려하였을 경우, 모든 혈당 검사 지표의 영양치료 비용 대비 효과 면에서 심층영양교육 방법이 기본영양교육 방법보다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비용 고치료 효과를 보여주고 있는 임상영양치료는 당노병과 같은 만성질환의 중요한 기본치료로 주목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영양치료행위의 의료 보험 급여화는 국민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국가적으로는 의료비 지출을 감소시키며 국민의 건강을 증진시키는데 큰 기여를 하는 합리적인 방안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현 비급여 수가로 되어 있는 교육수가를 급여화하여 많은 환자들에게 의료 혜택을 주는 일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Medical nutrition therapy (MNT) is considered a keystone of medical treatment of chronic diseases. However, only few studies have evaluated medical and economical outcome of MNT. The study was performed on the patient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to evaluate the effect of clinical and cost-effectiv...
Medical nutrition therapy (MNT) is considered a keystone of medical treatment of chronic diseases. However, only few studies have evaluated medical and economical outcome of MNT. The study was performed on the patient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to evaluate the effect of clinical and cost-effective outcomes of MNT. Subjects from two general hospitals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different groups; One receiving basic nutritional education (BE) (n = 35), and the other receiving intensive nutritional education (IE) (n = 32) for a 6-month clinical trial. The group which received BE had a single visit with a dietitian, while the other group which received IE had an initial visit with a dietitian addition to two visits during the first 4 weeks of the study periods. Anthropometric parameters, blood components, and dietary intake were measures at the beginning of study period and after 6 month. Cost-effective analysis included direct labor costs, educational materials and medication cost difference during 6 months. After 6 month, subjects from IE group showed significant reduction of body weight (p <0.05) and systolic blood pressure (p <0.05), whereas BE group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s. Result from biochemical indices showed glycated hemoglobin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0.7% (p <0.05) only in the IE group. The ratio of energy intake to prescribed energy intake decreased significantly in both groups (p <0.05). Mean time taken for a dietitian to educate the subject was 67.9 ${\pm}$ 9.3 min/person for BE group, while 96.4 ${\pm}$ 12.2 min/person for IE group. Mean number of educational materials was 1.9 ${\pm}$ 0.7/person for BE group and 2.5 ${\pm}$ 0.7/person for IE group. Change in glycated hemoglobin level along the 6 month period of study can be achieved with an investment of \88,510/% by implementing BE and \53,691/% by implementing IE. Considering the net cost-effect of blood glucose control and HbA Ic, IE which provides MNT by dietitian had a cost efficiency advantage than that of BE. According to this study, MNT provided by dietitian had a significant improvements in medical and clinical outcomes compared to that of BE intervention. Therefore, MNT protocol should be performed by systemic intensive nutrition care by dietitian in clinical setting to achieve good therapeutic results of DM with lower cost.
Medical nutrition therapy (MNT) is considered a keystone of medical treatment of chronic diseases. However, only few studies have evaluated medical and economical outcome of MNT. The study was performed on the patient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to evaluate the effect of clinical and cost-effective outcomes of MNT. Subjects from two general hospitals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different groups; One receiving basic nutritional education (BE) (n = 35), and the other receiving intensive nutritional education (IE) (n = 32) for a 6-month clinical trial. The group which received BE had a single visit with a dietitian, while the other group which received IE had an initial visit with a dietitian addition to two visits during the first 4 weeks of the study periods. Anthropometric parameters, blood components, and dietary intake were measures at the beginning of study period and after 6 month. Cost-effective analysis included direct labor costs, educational materials and medication cost difference during 6 months. After 6 month, subjects from IE group showed significant reduction of body weight (p <0.05) and systolic blood pressure (p <0.05), whereas BE group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s. Result from biochemical indices showed glycated hemoglobin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0.7% (p <0.05) only in the IE group. The ratio of energy intake to prescribed energy intake decreased significantly in both groups (p <0.05). Mean time taken for a dietitian to educate the subject was 67.9 ${\pm}$ 9.3 min/person for BE group, while 96.4 ${\pm}$ 12.2 min/person for IE group. Mean number of educational materials was 1.9 ${\pm}$ 0.7/person for BE group and 2.5 ${\pm}$ 0.7/person for IE group. Change in glycated hemoglobin level along the 6 month period of study can be achieved with an investment of \88,510/% by implementing BE and \53,691/% by implementing IE. Considering the net cost-effect of blood glucose control and HbA Ic, IE which provides MNT by dietitian had a cost efficiency advantage than that of BE. According to this study, MNT provided by dietitian had a significant improvements in medical and clinical outcomes compared to that of BE intervention. Therefore, MNT protocol should be performed by systemic intensive nutrition care by dietitian in clinical setting to achieve good therapeutic results of DM with lower cost.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현실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의료현장에서는 단순히 일회성에 끝나는 영양교육이 시행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당뇨병 환자에게 임상영양치료지 침에 따른 심충영양교육(Intensive Nuritional Education; IE) 을 실시하는 방법과 1회의 교육만 시행하는 기본영양교육 (Basic Nuritional Education; BE) 방법의 임상 및 비용 효과를 비교하여 향후 외래 영양교육에서 임상영양치료의 확대 적용에 이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당뇨병 환자에게 일회성 영양교육과 임상 영양지침에 따른 심층영양교육을 실시하였을 때 체중 및 체지방 분포, 혈액 당뇨병 지표에 미치는 효과 및 비용효과를 규명하고자 실시되었다. 교육에 따른 체중 및 체지방의 변화를 살펴보면, 심충영양교육군에서만 체중이 65.
또한 Park 등⑺의 연구에서는 제2형 당뇨병 환자 중 과체중 환자를 대상으로 하루 500 kcal의 열량을 감소시킨 식사요법을 4개월간 시행한 후 유의적인 체중 및 공복혈당의 감소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별 맞춤교육이 강조된 심층영양교육군에서만 체중 감소 현상을 나타내어 비만 관리를 통한 혈당 조절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일회성 교육에 그치지 않고 지속 교육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당뇨병 환자의 체중감소는 인슐린 민감도를 상승시켜 당질 대사를 정상화시키고 당뇨병의 대표적 합병증인 심혈관질한의 유병률을 낮추어 주므로 당뇨 교육 시 적당한 체중 유지를 위한 자기관리 방법 내용이 강조되어야 하겠다.
또한 고탄수화물 식사는 혈중 중성지방을 높이고 이는 심혈관계 합병증의 위험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므로 특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 기본영양교육군에서는 탄수화물의 섭취 비율이 교육 후에 증가하였는데 이는 혈액검사에서 중성지질의 상승과 무관하지 않으리라 추측된다. 따라서 주로 주식이 곡식 인 우리나라 식형태에서는 당뇨병 환자 교육 시탄 수화물 섭취의 조절을 강조한 교육이 필요하리라 본다.
미국 영양사협회에서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당뇨병 유병율을 낮추기 위하여 생활습관의 개선을 목표로 임상영양치료의 표준화 지침을 제시하고 이에 따른 치료 효과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 국내에서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 않은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미 국외에서 사용되고 있는 지침에 근거하여 심층영양교육 방법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1회 교육만으로 시행되는 기본교육 방법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가설 설정
두 교육 방법의 비용효과는 당뇨병지표 단위 변화 (Differences in unit of change) 당 환자 1 인 교육에 소요된 비용 즉 순수 영양교육에 투입된 비용과 잠재 비용효과로 구분하여 아래 의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단, 잠재 비용효과는 연구 종료 시점에 처방된 약제가 향후 1년 동안 유지된다는 가정 하에 계산하였다.
제안 방법
모든 환자에게 교육에 들어가기에 앞서 인체계측 및 임상검사, 24시간 회상법에 의한 1일 식사평가 및 식습관 운동력 등을 조사하여 전반적인 환자의 기본 상태를 평가하였다. 기본영양교육에서는 위의 자료의 분석 결과 따라 영양교육의 단기목표를 설정하고 처방열량 및 영양소배분, 식품교환표 등의 교육을 통해 기본적인 자가관리를 할 수 있도록 교육을 실시하였다.
심층 영양교 육군은 2회의 추구영양교육시에도 24시간 회상법에 의하여 식사섭취량을 평가하여 영양교육 시 반영하였다. 교육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모든 환자를 대상으로 교육 후 6 개월 시점에 24시간 회상법에 의하여 식사섭취량을 재평가하였다.
혈액검사는 영양교육 실시전과 교육 후 6개월에 시행하였다. 공복혈당과 식사 2시간후 혈당은 자동분석기 (Autoanalyzer Hitachi 747, Hitachi Ltd.
영양교육에 소요되는 시간을 분 단위로 기록하였으며 제공한 교육자료의 수량과 종류를 기록하여 환자에게 영양교육으로 인하여 소요되는 총비용을 산정하였다. 담당 영양사의 인건비는 2007년도 연봉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복리후생비와 간접인건비를 계상하였고, 근로시간은 167시간/월을 기준으로 하였다.
담당 영양사의 인건비는 2007년도 연봉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복리후생비와 간접인건비를 계상하였고, 근로시간은 167시간/월을 기준으로 하였다. 제공한 교육자료는 개발시간은 포함하지 않았으며 순수 인쇄비만을 계산하였다. 영양교육 비용 이외 치료에 사용된 약제비용을 교육 전과 연구 종료 시점 처방에 준하여 하루 처방량 기준으로 계산하였다.
제공한 교육자료는 개발시간은 포함하지 않았으며 순수 인쇄비만을 계산하였다. 영양교육 비용 이외 치료에 사용된 약제비용을 교육 전과 연구 종료 시점 처방에 준하여 하루 처방량 기준으로 계산하였다. 교육을 통한 잠재 비용 효과 (Net-cost)는 영양교육 비용 (Cost of Nutritional Education) 과 약제비 사용변화량 (Cost changes in medication) 을 합하여 계산하였다.
영양교육 비용 이외 치료에 사용된 약제비용을 교육 전과 연구 종료 시점 처방에 준하여 하루 처방량 기준으로 계산하였다. 교육을 통한 잠재 비용 효과 (Net-cost)는 영양교육 비용 (Cost of Nutritional Education) 과 약제비 사용변화량 (Cost changes in medication) 을 합하여 계산하였다. 두 교육 방법의 비용효과는 당뇨병지표 단위 변화 (Differences in unit of change) 당 환자 1 인 교육에 소요된 비용 즉 순수 영양교육에 투입된 비용과 잠재 비용효과로 구분하여 아래 의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교육을 통한 잠재 비용 효과 (Net-cost)는 영양교육 비용 (Cost of Nutritional Education) 과 약제비 사용변화량 (Cost changes in medication) 을 합하여 계산하였다. 두 교육 방법의 비용효과는 당뇨병지표 단위 변화 (Differences in unit of change) 당 환자 1 인 교육에 소요된 비용 즉 순수 영양교육에 투입된 비용과 잠재 비용효과로 구분하여 아래 의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단, 잠재 비용효과는 연구 종료 시점에 처방된 약제가 향후 1년 동안 유지된다는 가정 하에 계산하였다.
제2형 당뇨병의 경우 심혈관질환과 당뇨병성 신증과 같은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혈압 치료가 필요하다「9) UKPDS 고혈압을 동반한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150/85 mmHg 이하로 철저한 혈압관리를 시행한 군과 180/105 mmHg 이하로 조절한 군으로 나누어 9년간 추적 관찰하였다. 그 결과 철저한 혈압관리한 군에서 더 높게 목표치를 설정한 군에 비하여 당뇨병으로 인한 사망률이 32%, 뇌졸중이 44%, 미세혈관 합병증이 37% 감소하였다고 보고하고 있다.
보여주었다. 총열량 대비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섭취 비율은 당뇨병 환자의 3대 영양소의 권장비율인 55~ 60 : 14-20 : 20~25의 범위 안에서 섭취하였다. 당뇨병 환자를 치료함에 있어 식후 혈당의 조절은 매우 중요하므로, 식후 혈당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탄수화물 섭취에 특히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야채, 과일, 전곡 및 두류 등의 복합당질을 섭취하도록 권장되고 있다.
식사섭취분석은 영양교육이 처음 의뢰된 시점에 모든 환자를 대상으로 24시간 회상법에 의하여 대상자가 전날 섭취한 식사와 간식의 음식명, 재료, 분량을 조사하였다 식이 섭취 조사 자료는 CanPro 3.0 (한국영양학회)를 이용하여 1일 열량과 각 영양소의 섭취량을 분석하였다. 심층 영양교 육군은 2회의 추구영양교육시에도 24시간 회상법에 의하여 식사섭취량을 평가하여 영양교육 시 반영하였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는 서울소재 S 종합전문병원과 경기도 소재 B 종합병원에서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제 2형 당뇨병으로 진단받은지 5년 이내의 성인 환자로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67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대조임상연구로 실시하였다.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제 2형 당뇨병으로 진단받은지 5년 이내의 성인 환자로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67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대조임상연구로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현성단백뇨 이상의 신중, 당뇨병성 신경병증, 당뇨병성 망막병증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이 없는 환자, 최근 3개월 이내에 심근경색이나 뇌졸중 등의 심혈관질환이 없는 환자, 1달 이내에 수술을 받지 않은 환자, 그리고 corticosteroid 치료를 받지 않는 환자로 제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제 2형 당뇨병으로 진단받은지 5년 이내의 성인 환자로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67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대조임상연구로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현성단백뇨 이상의 신중, 당뇨병성 신경병증, 당뇨병성 망막병증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이 없는 환자, 최근 3개월 이내에 심근경색이나 뇌졸중 등의 심혈관질환이 없는 환자, 1달 이내에 수술을 받지 않은 환자, 그리고 corticosteroid 치료를 받지 않는 환자로 제한하였다.
대상환자는 병록번호를 이용하여 무작위로 '기본 영양교육군 (BE)' 35명과 '심층영양교육군 (IE)' 32명으로 나 쉬었으며, 모든 환자에게 사전에 연구내용을 설명한 후 동의를 받았다. 기본영양교육군은 영양교육을 1회만 받는 군으로 정의하였으며, 심층영양교육군은 Monk 등&이 제시한 '임상영양치료지침'을 적용하여 1회의 기본 영양교육을 실시한 후 2주 간격으로 2회의 추구영양교육 (follow-up educations) 을 받는 군으로 정의하였다.
데이터처리
0 통계 package를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기본 영양교육군과 심충영양교육군 간의 식사섭취량, 임상검사수치 및 신체계측 결과 등의 통계적 차이는 t-test와 W-test로 검정하였다. 교육 효과에 따른 임상 및 영양소섭취량 변화는 paired t-test로 평가하였다.
기본 영양교육군과 심충영양교육군 간의 식사섭취량, 임상검사수치 및 신체계측 결과 등의 통계적 차이는 t-test와 W-test로 검정하였다. 교육 효과에 따른 임상 및 영양소섭취량 변화는 paired t-test로 평가하였다. 모든 임상변수는 평균 士 표준편차나 %로 나타냈고, 분석의 통계적 유의성은 p<0.
이론/모형
신장은 선형 신장계로 0.1 cm까지 측정하였고, 체중, 체지방 백분율과 근육량은 다수주파법에 의한 부위별 임피던스 법을 적용한 측정기 (Inbody 3.0, Biospace, Korea)로 측정하였다. 엉덩이둘레와 허리둘레는 줄자로 0.
공복혈당과 식사 2시간후 혈당은 자동분석기 (Autoanalyzer Hitachi 747, Hitachi Ltd. Japan) 로 Hexokinase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혈중 지질은 Enzymatic colorimetric method를 이용하여 동일한 기계로 분석하였다. 당화혈색소 (HbAlc) 는 HPLC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방법을 이용한 Variant Hemoglobin Testing System-2 (Variant Ⅱ, BIO-RAD, U.
Japan) 로 Hexokinase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혈중 지질은 Enzymatic colorimetric method를 이용하여 동일한 기계로 분석하였다. 당화혈색소 (HbAlc) 는 HPLC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방법을 이용한 Variant Hemoglobin Testing System-2 (Variant Ⅱ, BIO-RAD, U.S.A) 로 분석하였다.
성능/효과
비용효과 면에서 장기간의 혈당변화 상태를 알 수 있는 당화혈색소의 경우 1%를 낮추기 위하여 소요되는 비용은 심층 영양교육군에서 더 적었으며, 교육의 잠재 효과를 고려하였을 경우, 모든 혈당 검사 지표의 영양치료 비용 대비 효과 면에서 심층영양교육 방법이 기본영양교육 방법보다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1 년으로 두 군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상과 같이 연령, 유병기가 남여분포 등 일반적 특성에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 없이 비슷한 분포를 나타내었다.
기본영양교육군과 심충영양교육군 환자 중 각각 65.7%, 71.9%가 운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대부분의 환자가 운동요법을 실천하는 것으로 보였다. 음주의 여부와 횟수를 조사한 결과 기본영양교육군 환자의 28.
9%가 운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대부분의 환자가 운동요법을 실천하는 것으로 보였다. 음주의 여부와 횟수를 조사한 결과 기본영양교육군 환자의 28.6% 환자가 음주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심층영양교육군에서는 34.4% 가 음주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흡연 여부를 조사한 결과 기본영양교육군 85.
4% 가 음주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흡연 여부를 조사한 결과 기본영양교육군 85.7%, 심층영양교육군 75.0% 환자가 비흡연자인 것으로 나타나 다수의 환자가 당뇨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그릇된 생활 습관을 지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05), 체지방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Table 3). 실험 시작 시점에서 기본영양교육군과 심층영양교육군 환자의 BMI는 각각 25, 3 ±2, 8 kg/m2, 25.3 ± 2.6 kg/m,로 우리나라의 비만진단 기준이 25 kg/m2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 후에도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IE 군의 신체 및 혈압 변화값은 BE 군간 비교에서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혈압의 변화에 있어서 이완기 혈압은 두군 모두 유의한 감소는 보이지 않았으나, 심충영양교육군에서만 교육 후에 수축기 혈압이 132.9 ± 15.4 mmHg에서 127.6 ± 16.7 mmHg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 < 0.05) (Table 3).
연구 기간 동안 심층영양교육군의 혈액 성분 변화를 보면, 당화혈색소 (HbAlc)농도는 7.4 ±0.9%에서 6.7 ± 0.8% 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p < 0.001), 공복혈당도 137.8 土 27.7 mg/dl에서 125.7 ± 26.4mg/dl로 당뇨 진단 기준 이하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 < 0.05). 혈중 중성지질 수치도 129.
05). 두 군간 교육 전·후의 혈액 검사치의 변화값을 비교하였을 때, 중성지질 수치가 기본영양교육군에서는 교육 후에 오히려 13.7 ± 89.0 mg/dl 증가하였으나, 심층 영양교육군에서는 교육 전과 비교하여 6개월 후에 2L7 ± 45.1 mg/dl 감소하여 두 군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p<0.05).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하여 영양교육 전·후 조사한 영양소 섭취량과 처방량 대비 열량 섭취율을 Table 5에 제시하였다 섭취량 분석 결과 총섭취열량의 유의적인 감소가 두 군 모두에서 관찰되어, 기본영양교육군에서는 교육 전 - 후 각각 1, 930.8 kcal, 1, 648.1 kcal을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심층영양교육군에서도 교육 전 1, 921.5 kcal에서 교육 후 6개월이 지난 시점에 1, 630.1 kcal로 섭취량이 감소하였다 (p < 0.05). 처방량 대비 열량 섭취율도 기본 영양교 육군에서 115.
05). 처방량 대비 열량 섭취율도 기본 영양교 육군에서 115.1%에서 98.8%로, 심층 영양교 육군에서는 117.1%에서 99.1%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 < 0.05). 교육에 따른 열량 영양소 섭취량의 변화는 기본 영양교 육군은 단백질 및 지방의 섭취량이 각각 86.
7개이었다. 따라서 교육에 소요되는 비용을 2007년 S병원 연봉 기준으로 시간당 영양사 인건비와 교육자료 제작비 등을 고려하여 계산하면, 기본영양교육군에서는 26, 553원, 심충영양교육군은 37, 584원으로 산출되어 심층영양교육군의 환자에게 임상영양치료를 함으로써 기본영양교육군보다 약 11, 031 원 더 지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6).
환자에게 처방된 당뇨치료제의 비용을 연구 시작 시점과 종료 시점인 6개월 후를 비교하였을 때 기본 영양교육군에서는 환자 개인당 46원 더 지불하였으며, 심층 영양교육군에서는 2원의 차이만 보였다. 임상영양치료비용을 직접비인 인건비와 재료비와 같은 비용뿐만 아니라 교육 후 약제비용 변화를 고려하면 기본영양교육군에서는 43, 343원이고, 심층영양교육군은 38, 314원으로 더 적은 비용을 지불하는 것으로 보였다.
었고, 심층영양교육군에서는 53, 691원/%으로 비용대비 치료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공복혈당을 1 mg/dl 를 낮추기 위하여 소요되는 비용은 기본영양교육군에서는 2, 350원, 심충영양교육군에서는 3, 081원, 식사 2시간 후 혈당을 낮추기 위하여 소요되는 비용은 기본 영양교육군에서는 922원, 심충영양교육군에서는 1, 407원으로 비용 대비 효과가 기본영양교육 방법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공복혈당을 1 mg/dl 를 낮추기 위하여 소요되는 비용은 기본영양교육군에서는 2, 350원, 심충영양교육군에서는 3, 081원, 식사 2시간 후 혈당을 낮추기 위하여 소요되는 비용은 기본 영양교육군에서는 922원, 심충영양교육군에서는 1, 407원으로 비용 대비 효과가 기본영양교육 방법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용효과를 약물사용 비용을 고려하여 계산하면, 당화혈색소 1%를 낮추기 위하여 소요되는 비용은 기본 영양교육군에서는 144, 343원/%이었고, 심층영양교육군에서는 54,747원/%이었다.
반면 공복혈당을 1 mg/dl 를 낮추기 위하여 소요되는 비용은 기본영양교육군에서는 2, 350원, 심충영양교육군에서는 3, 081원, 식사 2시간 후 혈당을 낮추기 위하여 소요되는 비용은 기본 영양교육군에서는 922원, 심충영양교육군에서는 1, 407원으로 비용 대비 효과가 기본영양교육 방법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용효과를 약물사용 비용을 고려하여 계산하면, 당화혈색소 1%를 낮추기 위하여 소요되는 비용은 기본 영양교육군에서는 144, 343원/%이었고, 심층영양교육군에서는 54,747원/%이었다. 또한 공복혈당을 1 mg/dl를 낮추기 위하여 소요되는 비용은 기본영양교육군에서는 3, 836원이었고 심층 영양교육군에서는 3, 141원이었으며, 식사 2시간 후 혈당을 낮추기 위하여 소요되는 비용은 기본영양교육군에서는 1, 505원, 심충영양교육군에서는 1, 435원으로 모든 혈당 검사 지표가 비용 대비 효과 면에서 심층영양교육 방법이 기본 영양교육 방법보다 임상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7).
비용효과를 약물사용 비용을 고려하여 계산하면, 당화혈색소 1%를 낮추기 위하여 소요되는 비용은 기본 영양교육군에서는 144, 343원/%이었고, 심층영양교육군에서는 54,747원/%이었다. 또한 공복혈당을 1 mg/dl를 낮추기 위하여 소요되는 비용은 기본영양교육군에서는 3, 836원이었고 심층 영양교육군에서는 3, 141원이었으며, 식사 2시간 후 혈당을 낮추기 위하여 소요되는 비용은 기본영양교육군에서는 1, 505원, 심충영양교육군에서는 1, 435원으로 모든 혈당 검사 지표가 비용 대비 효과 면에서 심층영양교육 방법이 기본 영양교육 방법보다 임상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7).
5% 정도 당화혈색소가 감소되는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본영양교육군에서는 교육에 따른 당화혈색소의 감소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보이지 않았고, 심층영양교육군에서만 0.7% 정도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영양소 섭취량을 연구 시작과 6개월 후 종료 시점과 비교하면, 처방열량 대비 섭취율이 두 군 모두에서 현저히 감소함을 보여주었다. 총열량 대비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섭취 비율은 당뇨병 환자의 3대 영양소의 권장비율인 55~ 60 : 14-20 : 20~25의 범위 안에서 섭취하였다.
따라서 주로 주식이 곡식 인 우리나라 식형태에서는 당뇨병 환자 교육 시탄 수화물 섭취의 조절을 강조한 교육이 필요하리라 본다. 비용효과 면에서 연구가 진행된 6개월 동안의 직접비만을 고려하여 비용효과를 분석하였을 경우, 기본 영양 교육이 공복혈당과 식후 2시간 혈당을 기준치로 하였을 경우 비용대비 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장기간 혈당 변화를 평가하는 당화혈색소를 기준으로 비용효과를 평가하였을 경우에는 오히려 심층영양교육이 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였다.
비용효과 면에서 연구가 진행된 6개월 동안의 직접비만을 고려하여 비용효과를 분석하였을 경우, 기본 영양 교육이 공복혈당과 식후 2시간 혈당을 기준치로 하였을 경우 비용대비 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장기간 혈당 변화를 평가하는 당화혈색소를 기준으로 비용효과를 평가하였을 경우에는 오히려 심층영양교육이 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였다. 당화혈색소는 당뇨병의 대표적 합병증인 미세혈관 및 대혈관합병증과 관련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劉 즉 1%의 당화혈색소의 감소는 당뇨 합병증으로 인한 사망률을 21% 감소시키며, 심근경색증 및 미세혈관 합병증 발현을 각각 14%, 37%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생활습관병인 당뇨병의 치료는 교육을 통한 지속적인 자기관리가 이루어져야 하므로 심층 영양교육을 통한 장기적인 자기관리가 비용면에서 효과가 매우 크다고 보겠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 후 약제 비용의 증가는 대상자의 대부분이 병원을 처음 방문하여 약제의 조정이 초기에 필요하였던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영양교육의 효과가 연구 종료 후 1년 동안 지속된다는 가정 하에 약제 비용 변화를 고려하여 임상영양치료의 연간 비용을 기준으로 하여 비용효과를 산정한 결과.
심충 및 기본영양교육 즉, 두 가지 교육 방법을 비교하였을 때 심층영양치료 방법을 실시한 경우 기본 영양교육을 실시한 경우보다 혈당, 혈압 및 체중 강하 효과 면에서 유의적으로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연구
만성 질환의 임상영양치료가 질병회복을 위한 의료의 중요한 기본 치료로 주목되는 현 시점에서 영양치료 행위의 의료 급여화는 국민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국가적으로는 의료비 지출을 감소시키는데 큰 기여를 하는 방안이 될 것이다. 미국은 2002년부터 임상영양치료가 수가 항목으로 지정되어 의료보험 혜택이 당뇨병 및 만성신부전증 환자에게 주어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임상영양치료를 담당하는 전문영양사에 대한 제도적 부재로 인하여 건강보험에서 급여화가 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狗 이렇듯 비급여로 되어있는 교육수가 형태는 환자가 전액 비용 부담을 하게 되므로 비용지출에 대한 환자들의 부담으로 심충영양치료를 통한 임상영양치료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현실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 결과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저비용고치료 효과를 내는 심층영양치료를 통한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 확대가 필요하겠다.
참고문헌 (24)
Lim HS, Chun JH, Kim YS, Nam MS.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on diabetic management in diabetic patients. Korean J Nutr 2001; 34(1): 69-78
Park SW, Kim DJ, Min KW, Baik SH, Choi KM, Park IB, Park JH, Son HS, Ahn CW, Oh JY, Lee JY, Chung CH, Kim JY, Kim HY. Current status of diabetes management in Korea using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base. J Korean Diabetes Assoc 2007; 31 (4): 362-367
Kim JY, Kim HY, Kim HY, Min KW, Park SW, Park IB, Park JH, Baik SH, Son HS, Ahn CW, Oh JY, Lee SH, Lee JY, Chung CH, Choi KM, Choi IJ, Kim DJ. Current status of the continuity of ambulatory diabetes care and its impact on health outcomes and medical cost in Korea using national insurance database. J Korean Diabetes Assoc 2006; 30(5): 377-387
Delahanty L, Simkins SW, Camelon K. Expanded role of the dietitian in the diabetes control and complications trial: Implications for clinical practice. J Am Diet Assoc 1993; 93(7): 758- 764
The DCCT Research Group. Nutrition interventions for intensive therapy in the Diabetes Control and Complications Trial. J Am Diet Assoc 1993; 93(7): 768-772
The DCCT Research Group. The Diabetes Control and Complications Trial (DCCT) design and methodologic considerations for the feasibility Phase. Diabetes 1986; 35: 530-545
Franz MJ, Barry B, McClain K, Weaner T, Cooper N, Upham P, Bergenstal R, Mazze RS. Effectiveness of medical nutrition therapy provided by dietitians in the management of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A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J Am Diet Assoc 1995: 95(9): 1009-1017
Monk A, Barry B, McClain K, Weaver T, Cooper N, Franz MJ. Practice guidelines for medical nutrition therapy provided by dietitians for persons with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J Am Diet Assoc 1995: 95(9): 999-1006
Powers MA. Handbook of Diabetes Medical Nutrition Therapy. Silver spring: An ASPEN Publication; 1996. p.33-60
Johnson EQ, Valera S. Medical Nutrition Therapy in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improves clinical outcome. J Am Diet Assoc 1995; 95(6): 700-701
Franz MJ, Splett PL, Monk A, Barry B, McClain K, Weaver T, Upham P, Bergenstal R, Mazze RS. Cost-effectiveness of medical nutrition therapy provided by dietitians for persons with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J Am Diet Assoc 1995; 95(9): 1018-1024
Moon SJ, Sohn CY, Kim JH, Kim HS, Lim HS, Lee HC, Huh KB. Measurement of nutrition counseling effects for diabetes mellitus patients. Korean J Nutr 1994; 27(10): 1070-1077
Woo YJ, Lee HS, Kim WY. Individual diabetes nutrition education can help management for type II diabetes. Korean J Nutr 2006; 39(7): 641-648
Sohn CM, Nho MR, Lee YH, Lim JH. The clinical and cost effectiveness of medical nutrition therapy in persons with hypercholesterolemia. J Korean Diet Assoc 1999; 9(1): 32-39
Wing RR, Koeske R, Epstein LH, Nowalk MP, Becker D. Longterm effects of modest weight loss in type II diabetic patients. Arch Intern Med 1987; 14
Watts NB, Spanheimer RG, DiGirolamo M, Gebhart SS, Musey VC, Siddiq K, Phillips LS. Prediction of glucose response to weight loss in patients with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Arch Intern Med 1990; 150: 803-806
Park YK, Lee JH, Yoon JY, Park EJ, Chung YS, Lee HC, Huh KB. Effects of weight loss on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in overweight or obese NIDDM patients. J Korean Diabetes Assoc 1994; 18(1): 31-39
Sonnichsen AC, Richter WO, Schwandt P. Benefit from hypocaloric diet in obese men depends on the extent of weight-loss regarding cholesterol and a simultaneous change in body fat distribution regarding insulin sensitivity and glucose tolerance. Metabolism 1992; 41: 1035-1039
U.K prospective diabetes study (UKPDS) group. Tight blood pressure control and risk of microvascular and macrovascular complications in type 2 diabetes. Br Med J 1998: 317(7160): 703-713
Pastors JG, Warshaw H, Daly A, Franz M, Kulkarni K. The evidence for the effectiveness of medical nutrition therapy in diabetes management. Diabetes Care 2002; 25: 608-613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Nutrition Recommendations and interventions for diabetes-A position statement of th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Diabetes Care 2008; 31(suppl 1): S61-S78
Stratton IM, Adler AI, Neil HAW, Mattews DR, Manley SE, Cull CA, Hadden D, Turner RC, Holman RR. Association of glycaemia with macrovascular and microvascular complications of type 2 diabetes (UKPDS 35):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Br Med J 2000; 321: 405-412
Kim HA, Yan IS, Lee HY, Lee YE, Park EC, Nam CM. Evaluation of cost-effectiveness of medical nutrition therapy: Metaanalysis. Korean J Nutr 2003; 36(5): 515-527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