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교잡종 블랙베리(Rubus fruticosus L. ${\\times}$ R. parvifolius L.)의 근맹아 절편체로부터 다경유도를 통한 식물체 재분화 Plant Regeneration via Multiple Shoot Formation from Sucker Explant of Hybrid Blackberry (Rubus fruticosus L. ${\\times}$ R. parvifolius L.)원문보기
노지에 있는 교잡종 블랙베리의 근맹아를 채취하여 1.2% sodium hypochlorite 용액에 침지하여 표면 살균한 후 BA를 첨가한 변형된 ${\times}$ 1, ${\times}$ 1/2 MS 고체배지에서 다경유도를 시도하였다. 4주간 배양하였을 때 BA $1mg{\cdot}L^{-1}$가 첨가된 기본 MS배지에서 고빈도(83.3%)의 다경유도가 이루어 졌으며, 절편체당 신초수는 $0.5mg{\cdot}L^{-1}$ BA를 첨가한 MS 기본배지에서 3.7개로 가장 높게 형성되었다. 또한 12주간 배양하였을 때 4주간 한 경우에 비하여 신초형성율이 4.1배 많은 15.4개가 형성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형성된 신초로부터 뿌리발생은 식물생장조절물질이 첨가되지 않은 MS배지를 1/1, 1/2, 1/4배로 희석하여 신초를 배양하였을 때 특히 1/2 MS 배지에서 95%로 가장 양호하였다. 재생된 식물체는 모래 : 원예용상토 : 버미큘라이트(1:1:1, vol.)혼합토양에서 순화하였을 경우 95%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노지에 있는 교잡종 블랙베리의 근맹아를 채취하여 1.2% sodium hypochlorite 용액에 침지하여 표면 살균한 후 BA를 첨가한 변형된 ${\times}$ 1, ${\times}$ 1/2 MS 고체배지에서 다경유도를 시도하였다. 4주간 배양하였을 때 BA $1mg{\cdot}L^{-1}$가 첨가된 기본 MS배지에서 고빈도(83.3%)의 다경유도가 이루어 졌으며, 절편체당 신초수는 $0.5mg{\cdot}L^{-1}$ BA를 첨가한 MS 기본배지에서 3.7개로 가장 높게 형성되었다. 또한 12주간 배양하였을 때 4주간 한 경우에 비하여 신초형성율이 4.1배 많은 15.4개가 형성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형성된 신초로부터 뿌리발생은 식물생장조절물질이 첨가되지 않은 MS배지를 1/1, 1/2, 1/4배로 희석하여 신초를 배양하였을 때 특히 1/2 MS 배지에서 95%로 가장 양호하였다. 재생된 식물체는 모래 : 원예용상토 : 버미큘라이트(1:1:1, vol.)혼합토양에서 순화하였을 경우 95%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duce plant regeneration via multiple shoot formation from sucker explants of Rubus fruticosus L. ${\times}$ R. parvifolius L. To induce adventitious shoots, the sucker explants were sterilized in 1.2% sodium hypochlorite (NaOCl) solution, and then were cul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duce plant regeneration via multiple shoot formation from sucker explants of Rubus fruticosus L. ${\times}$ R. parvifolius L. To induce adventitious shoots, the sucker explants were sterilized in 1.2% sodium hypochlorite (NaOCl) solution, and then were cultured on the full and 1/2 MS solid medium supplemented with BA (0.1, 0.5, 1.0, $2.0mg{\cdot}L^{-1}$). After 4 weeks of culture, the highest frequency (83.3%) of shoot formation from sucker explants was obtained from the full MS medium with $1.0mg{\cdot}L^{-1}$ BA. The highest shoot number (3.7) per explant was obtained from the full MS medium with $0.5mg{\cdot}L^{-1}$ BA. After 12 weeks of culture, the number of shoots (15.4) per explant was increased. The highest frequency (95%) of root formation was obtained from the 1/2 MS medium, when the explant with shoot were cultured on the full, 1/2 and 1/4 MS medium. The survival rate of the plantlets after transfer to plastic pots containing sand, soil, and vermiculite (1.1:1, vol.) was 95%. The results indicate that multiple shoot procedure can be applied for an efficient mass propagation of Rubus fruticosus L. ${\times}$ R. parvifolius L.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duce plant regeneration via multiple shoot formation from sucker explants of Rubus fruticosus L. ${\times}$ R. parvifolius L. To induce adventitious shoots, the sucker explants were sterilized in 1.2% sodium hypochlorite (NaOCl) solution, and then were cultured on the full and 1/2 MS solid medium supplemented with BA (0.1, 0.5, 1.0, $2.0mg{\cdot}L^{-1}$). After 4 weeks of culture, the highest frequency (83.3%) of shoot formation from sucker explants was obtained from the full MS medium with $1.0mg{\cdot}L^{-1}$ BA. The highest shoot number (3.7) per explant was obtained from the full MS medium with $0.5mg{\cdot}L^{-1}$ BA. After 12 weeks of culture, the number of shoots (15.4) per explant was increased. The highest frequency (95%) of root formation was obtained from the 1/2 MS medium, when the explant with shoot were cultured on the full, 1/2 and 1/4 MS medium. The survival rate of the plantlets after transfer to plastic pots containing sand, soil, and vermiculite (1.1:1, vol.) was 95%. The results indicate that multiple shoot procedure can be applied for an efficient mass propagation of Rubus fruticosus L. ${\times}$ R. parvifolius L.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03g/개, 8~14 brix로 높아서 미래에 각광받을수 있으며 이에 대한 적합한 번식방법이 시급히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근맹아 절편 배양을 통한 교잡 품종의 묘목을 대량으로 번식시키기 위한 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제안 방법
2% sodium hypochlorite 용액에 15분간 침적하여 표면살균한 후,멸균수로 3~4회 세척한 다음 약 5mm의 크기로 잘라 치상재료로 사용하였다. MS(Mur- ashige and Skoog, 1962) 기본배지에 BA(6-benzylamino- purine) 호르몬을 0.1, 0.5, 1.0t 2.0mg - L-1 농도별로 첨가한 다음 pH 5.8로 조정하고 sucrose 30g/L, 한천 7g/L을 첨가한후 121℃, 1.2 기압하에서 15분간 고압 증기멸균하였다. 멸균된 배지를 일회용 배양접시(87x15mm)에 20mL씩 분주하였고 배지가 굳은 후 절편체를 12개씩 치상하여 3반복 배양하였다.
무균상태의 교잡 블랙베리의 근맹아 절편체를 BA(0.1, 0.5, 1.0, 2.0mg - L)가 첨가된 MS와 1/2 MS 배지에서 4주간 배양하여 다경을 유도하고 그 빈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위에서 얻어진 각각의 신초 절편체를 BA(0.
0mg - L)가 첨가된 MS와 1/2 MS 배지에서 4주간 배양하여 다경을 유도하고 그 빈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위에서 얻어진 각각의 신초 절편체를 BA(0.1, 0.5, 1.0, 2.0mg . L너)가 첨가된 MS와 1/2 MS 배지에서 4주, 8주, 12주 배양하여 절편당 형성된 신초의 수를 조사하였다.
신초를 재료로 뿌리발생을 유도하기 위하여, 각각의 신초를 MS, 1/2 MS, 1/4 MS 배지에서 4주간 배양하여 뿌리의 발생율을 조사하였다. 식물체의 토양 순화는 신초와 뿌리가 잘 발달된정상적인 식물체를 모래, 원예용 상토, 그리고 버미큘라이트가 혼합된 토양(1:1:1, vol.
땅속에서 채집된 근맹아 절편체를 BA 호르몬이 첨가된 MS 와 1/2 MS 배지에 치상하여 4주간 배양한 후 다경의 형성률을 조사하였다(Table 1). 본 실험재료로 사용한 근맹아 절편 체는 나무딸기를 재료로한 연구에서 거의 찾아볼 수 없지만 블랙베리에서의 근맹아 절편체는 겨울과 이른 봄 사이에 사용할 수 있는 재료로써 특히 다경의 유도에 매우 적합한 재료로 생각할 수 있다(Shin et al.
노지에 있는 교잡종 블랙베리의 근맹아를 채취하여 1.2% sodium hypochlorite 용액에 침지하여 표면 살균한 후 BA를 첨가한 변형된 X 1, X 1/2 MS 고체배지에서 다경유도를 시도하였다. 4주간 배양하였을 때 BA 1mg .
대상 데이터
사용된 재료는 2002년부터 (주) 파낙시아 부설농장에서 재배되고 있는 수종의 나무딸기중에서 가시없는 블랙베리 품종 (Rubus fruticosus L. cul. Black V3)과 가시를 가진 보이센베리 품종(R parvifolius L. cul. Boysenberry)을 교잡하여 그중에서 가시없는 것을 선발육종한 결과 그 특성이 계속 유지되어 이를 교잡종 블랙베리 (Rubus _fhitioosus L. x R. parvifolius L.)라 칭하였고 이것의 땅속에서 채집된 근맹아 절편체(약 3mm) 를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성능/효과
7개로 가장 높게 형성되었다. 또한 12주간 배양하였을 때 4주간 한 경우에 비하여 신초형성율이 4.1 배 많은 15.4개가 형성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형성된 신초로부터 뿌리발생은 식물 생장조절물질이 첨가되지 않은 MS배지를 1/1, 1/2, 1/4배로 희석하여 신초를 배양하였을 때 특히 1/2 MS 배지에서 95%로 가장 양호하였다.
2)에서 4, 8 그리고 12 주 동안 형성된 절편당 신초의 수는 다음과 같다. 전체적으로 볼 때 배양기간과 상관없이 MS 배지가 1/2 MS 배지보다 절편당신초수가 약간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나무딸기의 여러 품종을 재료로 사용한 연구에서도 MS 배지가 1/2 MS 배지보다 절편당 신초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urk et al., 1994). 또한 본 실험에서 0.
본 실험결과 발근 빈도는 X 1, X 1/2, X 1/4 MS 배지에서 각각 71.3%, 94.7%, 65.3%를 보여주었는데 특히 1/2 MS 배지에서 유식물체의 뿌리는 대개 길고 측근이 많이 발달하였으나 다른 배지에서는 한 두 개체만이 긴 뿌리를 형성하였다(Table 2). 그런데 이전의 보이센베리의 shoot tip을 재료로 수행한 연구에 의하면 MS 배지를 1/2, 1/4, 1/8, 1/16로 희석시켰을때 MS 배지의 희석과 NAA 호르몬 농도와 상관없이 80% 이상의발근율을 나타내었고 특히 호르몬 첨가없는 1/16 MS는 가장 쉽게 만들 수 있고, 경제적인 배지라고 하였다(Skirvin et al.
4주간 배양하였을 때 BA 1mg . LU가 첨가된 기본 MS 배지에서 고빈도(83.3%)의 다경유도가 이루어 졌으며, 절편체당신초수는 0.5mg - L-1 BA를 첨가한 MS 기본배지에서 3.7개로 가장 높게 형성되었다. 또한 12주간 배양하였을 때 4주간 한 경우에 비하여 신초형성율이 4.
후속연구
한편 실험재료로 사용한 Rubus fruticosus L. x R. parvifolius L. 교잡 블랙베리 품종은 가시가 없으며 과육이 크고, 과중과 당도가 각각 4.81 ~8.03g/개, 8~14 brix로 높아서 미래에 각광받을수 있으며 이에 대한 적합한 번식방법이 시급히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근맹아 절편 배양을 통한 교잡 품종의 묘목을 대량으로 번식시키기 위한 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실험결과 전반적으로 MS 배지는 1/2 MS 보다 다경 형성률이 높은 경향을 나타냈지만 Peace 포플러에서는 TDZ를 첨가한 1/2 MS 배지가 MS 보다 더 높은 다경 형성 빈도를 나타냈으며(Kang et al., 2004), 나무딸기의 여러 품종에서는 MS 배지와 1/2 MS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다는 보고도 있어서(Turk et al, 1994) 좀 더 자세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리고 산사나무의다경 유도시 LS 배지는 WPM과 MS 배지보다 다경 형성률이 높아서(전북 진안군 농업기술센터, 2003) 배지의 희석과 종류에 따라 다경 형성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준다.
똑바로선 가시없는 Navaho' 블랙베리에서 세 종류의 호르몬을 첨가하여 신초를 형성하고 이후에 동일배지조건에 추가로 활성탄을 넣어 발근시키는 방법으로 90% 발근율을 보였지만 (Fernandez and Clark, 1991), 호르몬을 투여한 배지보다 호르몬 투여없는 1/2 MS 배지에서 발근율이 더 높은 경우도 있어서 (Ahn et al., 2006) 희석한 배지를 이용하여 발근율을 높이는 방법에 대해 더 연구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23)
Ahn, J.Y., J.H. Kim and H. Kang. 2006. In vitro shoot multiplication of Albizzia julibrissin Duraz. Kor. J. Plant Resources 19(4): 524-529
Bobrowski, V.L., P.C. Mello-Farias and J.A. Peters. 1996. Micropropagation of blackberries (Rubus sp.) cultivars. Rev. Bras. de Agrociencia 2: 17-20
Casto, B.C., L.A. Kresty, C.L. Kraly, D.K. Pearl, T.J. Knobloch, H.A. Schut, G.D. Stoner, S.R. Mallery and C.M. Weghorst. 2002. Chemoprevention of oral cancer by black rasberries. Anticancer Res. 22: 4005-4015
Cho, M.J., L.R. Howard, R.L. Prior and J.R. Clark. 2004. Flavonoid glycoside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various blackberry, blueberry and red grape genotypes determin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J. of the Science of Food and Agriculture 84(13): 1771-1782
Choi, H.C. and K.H. Myung. 2005. Comparative study of red wine and Korean black raspberry wine in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related gene expression.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14(4): 514-517
Cuenca, S., J.B. Amo-Marco and R. Parra. 1999. Micropropagation from inflorescence stems of the Spanish endemic plant Centaurea paui Loscos ex Willk. (Compositae). Plant Cell Rep. 18: 674-679
Han, M.S., H.K. Moon, Y.J. Kang, W.W. Kim, B.S. Kang and K.O. Byun. 2004b. Micropropagation of an endangered species, Stellera rosea Nakai by tissue culture. Kor. J. Plant Biotech. 31: 31-35
Kang, H.D., H.K. Moon, I.S. Park and M.S. Lee. 2004. Effect of TDZ (Thidiazuron) on shoot proliferation of Peace poplar. Kor. J. Plant Biotech. 31: 49-53
Kim, K.H., Y.A. Lee, J.S. Kim, D.I. Lee, Y.W. Choi, H.H. Kim and M.W. Lee. 2000. Antioxidative activity of tannins from Rubus coreanum. Yakhak Hoeji. 44: 354-357
Kim, T.G., M.S. Park, H.M. Han, S.Y. Kang, K.K. Jung, H.M. Rheu and S.H. Kim. 1999. Inhibitory effects of Terminalia chebula, Sanguisorba officinalis, Rubus coreanus and Rheum palmatum on hepatitis B virus replication in hepG2 2.2.15 cells. Yakhak Hoeji. 43: 458-463
Meng, R., T.H.H. Chen, C.E. Finn and Y. Li. 2004. Improving in vitro plant regeneration from leaf and petiole explants of 'Marion' blackberry. Hortscience 39(2): 316-320
Murashige, T. and F. Skoog. 1962. A revised medium for rapid growth and bioassays with tobacco tissue cultures. Physiol. Plant. 15: 473-497
Shin, J.S., O.K. Sim, J.C. Lee, H.J. Cho, E.Y. Kim and K.S. Lee. 2005. Plant regeneration via multiple shoot formation from sucker explants of Rubus fruticosus L. Kor. J. Plant Resources 18(3): 456-461
Skirvin, R.M., M.C. Chu and E. Gomez. 1981. In vitro propagation of thornless trailing blackberries. Hortscience 16(3): 310-312
Turk, B.A., H.J. Swartz and R.H. Zimmerman. 1994. Adventitious shoot regeneration from in vitro-cultured leaves of Rubus genotypes. Plant Cell. Tiss. Org. Cult. 38: 11-17
Wang, S.Y. and H.S. Lin. 2000. Antioxidant activity in fruits and leaves of blackberry, raspberry, and strawberry varies with cultivar and developmental stage. J. Agric. Food Chem. 48(2): 140-146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