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카페인이 신경전도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ffeine on Nerve Conduction Velocity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3, 2020년, pp.195 - 199  

강윤정 (상지대학교 임상병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신경계를 자극하는 카페인이 신경전도속도(nerve conduction velocity. NCV)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카페인의 종류는 커피를 사용하였다. 커피는 가장 쉽게 접할 수 있고, 많은 현대인들이 좋아하는 기호 식품으로 자리잡고 있다. 커피안에 있는 특수한 성분인 카페인은 카페인은 알칼로이드계 메틸화 화합물의 하나로서 이뇨 촉진, 혈관 확장, 중추신경흥분, 골격근 강화, 기관지 확장 등의 작용이 있다. 카페인 섭취가 신경속도를 향상시켜 반응시간의 감소를 실험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신경계를 자극하는 카페인이 신경전도속도(nerve conduction velocity. NCV)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조군 및 실험군 개별 집단 내에서의 사전, 사후 신경전도속도(nerve conduction velocity. NCV) 수치를 비교한 결과, 대조군의 경우 두 곳의 측정 구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실험군은 팔꿈치 위 액와 구간에서의 신경전도속도(nerve conduction velocity. NCV)가 카페인 섭취 후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카페인을 섭취함으로 인해 신경전도속도(nerve conduction velocity. NCV)가 증가하였고, 이것은 일시적으로 신경전도속도(nerve conduction velocity. NCV)를 증가시킴으로써 운동능력향상, 근력향상, 신경기능향상 등에 대해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적정량의 카페인섭취는 신경전도속도신경전도속도(nerve conduction velocity. NCV)향상에 대해 도움을 줌으로써 카페인이 말초신경계에 영향력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근기능장애, 신경기능장애 환자의 치료와 진단법 개발에 도움을 줄 것이라 기대하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he nervous-system-stimulating caffeine on the nerve conduction veloc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affeine that stimulates the nervous system on nerve conduction test. Although both measurement intervals did not show statistically s...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K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자발적으로 연구를 희망한 대상자에게 설문을 진행하였다. 설문지를 작성한 결과, 과거나 현재 병력으로 인해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학생들을 제외하고 운동을 과하게 하지 않으며, 커피를 자주 마시지 않는 남녀를 혼합하여 총 20명으로 실험군A와 대조군B로 나누었다.
  •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신경계를 자극하는 카페인이 신경전도속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커피 안에 있는 특수한 성분인 카페인은 어떤 작용을 하는가? 그중에서 커피는 가장 쉽게 접할 수 있고, 많은현대인들이 좋아하는 기호식품으로 자리잡고 있다. 커피 안에 있는 특수한 성분인 카페인은 알칼로이드계 methylating 화합물의 하나로서 이뇨촉진, 혈관 확장, 중추신경흥분, 골격근 강화, 기관지 확장 등의 작용이 있다[1].
카페인이 포함되는 음료 종류에는 무엇이 있는가? 현대사회에서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카페인은 전 세계적으로 물 다음으로 많이 소비되며, 많은 사람들이 즐겨 섭취하는 다양한 종류의 커피, 청량음료, 초콜릿, 차 등의 식품과 자양강장제 및 기타 보조의약품 등의 성분이다. 그중에서 커피는 가장 쉽게 접할 수 있고, 많은현대인들이 좋아하는 기호식품으로 자리잡고 있다.
카페이니 신경전도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SPSS Win 20.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0 프로그램(SPSS, Chicago, Illinois, USA)을 이용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참가자의 일반적 특성을 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사전동질성 검증 및 집단 간 비교를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셋째, 대조군 및 실험군의 집단 내 비교를 위해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D. Essig, D. L. Costill & P. J. Van Handel. (1980). Effects of caffeine ingestion on utilization of muscle glycogen and lipid during leg ergometer cycling. Int. J. Sports Med, 7(1), 86-90. 

  2. L. L. Sprie. (2000). Caffeine Protentiates low frequency skeletal muscle force in habitual and nonhabitual and caffeine consumers. J Appl Physiol, 89, 1719-1724. DOI : 10.1152/jappl.2000.89.5.1719 

  3. M. A. Erickson, R. J. Schwarzkopf & R. D. Mckenzie. (1987). Effects of caffeine, fructose, and glucose ingestion on muscle glycogen utilization during exercise. Med Sci Sports Exerc., 19(6), 579-583. 

  4. S. K. Powers, R. J. Byrd, R. Tulley & T. Callender. (1983). Effects of caffeine ingestion on metalbolism and perfomance during graded exercise. Eur, J. Appl Physical, 50(3), 301-307. DOI : 10.1007/BF00423236 

  5. T. E. Graham & L. L. Spriet. (1995). Metabolic, catecholamine, and exercise performance responses to various doses of caffeine. J. Applied Physiology, 78(3), 867-874. DOI : 10.1152/jappl.1995.78.3.867 

  6. R. A. Raguso, D. M. Light & E. Pickersky. (1996). Electro antennogram responses of Hyles lineata(sphingidae: Lepidoptera) to volatile compounds from Clarkia breweri (Onagraceae) and other moth-pollinated caffeine. J. chem Ecol, 22(10), 1735-1766. DOI : 10.1007/BF02028502 

  7. K. W. Lee. (2006). Neurology. E-Public, KOR, 794-800, 

  8. D. L. Costill, G. P. Dalsky & W. J. Fink. (1978). Effects of caffeine ingestion on metabolism and exercise performance. Med. Sci. Exer, 10(13), 155-158. 

  9. B. S. Victor, M. Lubetsky & J. F. Greden. (1981). Somatic manifestations of caffeinism. Journal of Cinical Psychiatry, 42(5), 185-188. 

  10. M. F. Mcarty. (1995). Optimizing exercise for Fat loss. Medical Hypotheses, 44(5), 325-330. 

  11. M. A. Tarnopolsky. (1994). Caffeine and endurance performance. Sports Med, 18(2), .109-125. DOI : 10.2165/00007256-199418020-00004 

  12. S. K. Powers, R. J. Byrd, R. Tulley & T. Callender (1983). Effects of caffeine ingestion on metabolism and performance during graded exercise.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and Occupational Physiology, 50(3), 301-307. DOI: 10.1007/bf00423236 

  13. S. I. L.ee & T. W. Kim. (2008). The effect of acute caffeine ingestion on maximal isometric strength of the squash playes.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17(4), 1561-1569. 

  14. J. M. Park, K. S. Hyun & Y. S. Jee. (2017).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Isokinetic Moments, and Nerve Conduction in the Obese Adult.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68, 561-569. 

  15. J. W. Daly, R. F. Bruns & S. H. Snyder. (1981). Adenosine receptor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relationship to the central actions of methylxanthines. Life sciences, 28(19), 2083-2097. DOI: 10.1016/0024-3205(81)90614-7 

  16. B. Waldeck. (1973). Sensitization by caffeine of central catecholamine receptors. Journal of Neural Transmissio, 34(1), 61-72. DOI : 10.1007/BF01244827 

  17. S. H. Lim, S. B. Park, D. Y. Moon, J. S. Kim, Y. D. Choi & S. K. Park. (2019). Principles of intraoperative neurophysiological monitoring with insertion and removal of electrodes. Korean J Clin Lab Sci, 51(4), 453-461. DOI : 10.15324/kjcls.2019.51.4.45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