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 거주 성인 남자의 대두식품 및 이소플라본 섭취와 각종 건강지표와의 관련성 분석
Relation between Health Examination Outcome and Intake of Soy Food and Isoflavone among Adult Male in Seoul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1 no.3, 2008년, pp.254 - 263  

이민준 (연세대학교 식품영양과학연구소) ,  손춘영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영양팀) ,  김지향 (연세대학교 식품영양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 이소플라본의 섭취가 만성질환의 예방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조사대상자를 이소플라본 섭취수준에 따라 세 그룹 (적게, 보통, 많이)으로 분류하여 각종 만성질환과 관련된 건장지표들의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인 성인 남자들의 평균 연령은 49세였고 헤모글로빈, 헤미토크리트, MCH 및 혈중 칼슘과 인의 평균 농도는 정상범위 내에 있었으며 혈당과 당화혈색소,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혈청 PSA 농도도 모두 정상범위에 들어있었다. 그러나 LDL-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은 기준을 약간 상회하는 수준이었다. 2) 조사대상자의 식이섭취상태를 간이조사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평균 에너지 섭취량은 1,967 kcal로 권장량에 미치지 못하였으나 그 밖의 단백빌, 칼슘, 인, 철분, 비타민 A,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아신, 비타민 C 등은 섭취기준을 상회하였다. 3) 조사대상자들의 하루 평균 이소플라본 섭취수준은 25.10 mg이었다. 이소플라본의 섭취분포를 살펴보면, 조사대상자의 1/4은 하루 이소플라본의 섭취수준이 12 mg 이하 수준이었으며, 중간 값은 20.77 mg이었고, 10%의 조사대상자는 하루 50mg 수준 이상의 이소플라본을 식사로부터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이소플라본 섭취수준과 유의적인 관련성을 보여준 변수는 체지방율로, 이소플라본을 많이 섭취하는 사람들의 체지방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룹별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이소플라본 섭취수준이 높은 사람들의 BMI와 허리-엉덩이 둘레의 비(WHR), 중성지방의 수준이 더 낮은 경향을 보여주었으며, HDL-콜레스테롤 수준이 높고, 골밀도 수치도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고혈압${\cdot}$당뇨${\cdot}$고지혈증${\cdot}$골조소증${\cdot}$비만 등 건강문제를 갖고 있는 집단과 정상 집단으로 분류하여 집단 별 이소플라본의 평균 섭취수준을 비교한 결과, 혈중 중성지방 수준이 높은 집단, 복부비만을 나타내는 집단, 체지방률이 높은 집단의 경우 정상 집단에 비해 이소플라본 섭취수준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6) 각종 만성질환 관련 지수와 이소플라본 섭취수준 및 각 급원식품의 섭취빈도 간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두부와 된장의 섭취빈도는 혈압과 음의 상관관계를, 콩국은 HDL-콜레스테롤과 양의 상관관계, 두유 및 이소플라본의 섭취수준은 혈청 중성지방과 음의 상관관계, 콩나물과 땅콩의 섭취빈도는 골밀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7) 콩의 섭취빈도가 높고 이소플라본 섭취수준이 높을수록 BMI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육량은 두유와 콩국의 섭취빈도 및 이소플라본 섭취수준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체지방율은 된장, 청국장, 콩의 섭취빈도와 이소플라본 섭취수준과 음의 상관관계를, 엉덩이-허리둘레 비율은 된장의 섭취빈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isoflavone intake on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 in middle and old aged man. In this study we used FFQ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and the isoflavone intake level of the subjects was 25.10 mg per day. We divided the subjects into three group -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서울 지역의 성인 남자를 대상으로 일상식에서의 이소플라본 섭취수준과 만성질환과 관련된 각종 건강지표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이번 조사에서 성인 남자의 이소플라본 섭취수준은 하루 평균 25.
  • 본 연구는 이소플라본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되고 있는 중년 남성을 대상으로 보충 투여가 아닌 식이조사를 통한 일상적인 이소플라본 섭취를 조사하고 건강 관련 지표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만성질환 예방 및 건강증진을 위한 대두식품 및 이소플라본의 적정 섭취수준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Martin PM, Horwitz KB, Ryan DS, McGuire WL. Phytoestrogen interaction with estrogen receptors in human breast cancer cells. Epidemiology 1978; 103: 1860-1867 

  2. Messina M, Messina V. Increasing use of soyfoods and their potential role in cancer prevention. J ADA 1991; 91: 836-840 

  3. Lee MJ, Harrison GG. Changing dietary pattern among Korean immigrants in LA: Implication of Phytoestrogen Intake. Report of UC Pacific Rim Research Program; 1998 

  4. Harrison GG, Cho S. Changing global patterns and implications of soybean consumption. 8th Asian Congress of Nutrition. Seoul, Korea; 1999 

  5. Lee MJ, Yoon S, Lee SK, Kwon DJ. The health for Koreans and soy isoflavone. Symposium of Korea Soybean Society: 1999, Nov 13, Seoul, Korea; 1999 

  6. Sung MK. The biological activity of soybean saponins and its implications in colon carcinogenesis [dissertation], Toronto: University of Toronto; 1994 

  7. Adlercreutz H, Mazur W. Phyto-estrogens and western diseases. Annals Medicine 1997; 29: 95-120 

  8. Esaki H, Onozaki H, Morimitsu Y, Kawakishi S, Osawa T. Potent antioxidative isoflavones isolates from soybeans fermentated with Aspergillus saitoi. Biscience Biotechnology and Biochemistry 1998; 62(4): 740-746 

  9. Klaus K, Brarz W. Formation of polyhydroxylated isoflavones from the isoflavones genestein and biochanin by bacteria isolated from tempe. Phytochemistry 1998; 47(6): 1045-1048 

  10. Lee JH, Kim EM, Chae JS, Jang YS, Lee JH, Lee G. The effect of isoflavone supplement on plasma lipid & antioxidant status in hypercholesterolemic postmenopausal women. Korean J Nutr 2003; 36(6): 603-612 

  11. Choi Y, Yoon S, Lee MJ, Lee SK, Lee BS. Dose response relationship of isoflavone supplementation on plasma lipid profiles and total antioxidant status in peri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Korean J Nutr 2001; 34(3): 322-329 

  12. Son KS. Effect of soybean intake on bone mineral density and bone turnover markers in postmenopausal women. J of Korean Acad Nurs 2006; 36(6): 933-941 

  13. Sung CJ, Kim SY, Kim MH, Kim EY. The effect of isoflavone supplementation by soy milk on bone mineral density in under weight college women. Korean J Nutr 2003; 36(5): 470-475 

  14. Lee DH, Sung CJ. Effect of soy isoflavone supplementation on bone metabolism marker and urinary mineral excretion in postmenopausal women. Korean J Nutr 2003; 36(5): 476-482 

  15. Baek SK, Sung CJ. A study of soy isoflavone supplementation effect on bone mineral density and bone metabolism markers in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low bone mass. Korean J Nutr 2003; 36(2): 154-166 

  16. Choi MK, Kim MH, Sung CJ, Lee WY, Park JD. A study on relation among habitual isoflavone intake, blood pressure and serum lipid parameters in Korean men and women over 20 years old.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005; 10(4): 493-500 

  17. Onozawa M, Fukuda K, Ohtani M, Akaza H, Sugimura T, Wakabayashi K. Effect of soybean isoflavones on cell growth and apoptosis of the human prostatic cancer cell in LNCaP. Jpn J Clin Oncol 1998; 28: 360-363 

  18. Kim WJ, Lee SC, Jang H, Song JM, Yoon JH, Lee SE, Rim JS, Hong SJ. Effect of soybean metabolites on prostate cancer. Korean J Urol 2003; 44(11): 1093-1097 

  19. Hong SJ, Kim JS, Lee MJ, Yoon S, Lee YM, Oh HY, The effect of isoflavone intake on serum biochemical profiles and antioxidant system in patients with prostatic diseases. Korean J Urol 2005; 46(4): 360-365 

  20. Kim JS, Kwon CS. Estimated dietary isoflavone intake of Korean population based on National Nutrition Survey. Nutr Res 2001; 21(7): 947-953 

  21. Lee MJ, Lee SK, Kim JY, Yoon S. A study on the dietary isoflavone intake and urinary isoflavone excretion in healthy adults. 2002 Symposium of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1 Nov 15, Seoul: Korea; 2002 

  22. Park YK, Kim Y, Park E, Kim JS, Kang MH. Estimated flavonoids intake in Korean adults using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Korean J Nutr 2002; 35(10): 1081-1088 

  23. Moon SJ, Lee KY, Kim SY. Application of convenient method for the study of nutritional status of middle aged Korean women - Evaluation of a 'convenient method' for the estimation of dietary food consumption. Yonsei Nonchong 1980; 16: 203-218 

  24. Lee MJ, Lee SK, Kim JY, Yoon S. The development of a tool for estimation of usual dietary isoflavone intake for Koreans. 2003 Symposium of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3 May 24, Seoul: Korea; 2003 

  25. Lee MJ, Kim JH. Estimated dietary isoflavone intake among Korean adults.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2007; 1(3): 206-211 

  26.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Seoul; 2005 

  27. Lee MJ, Kim MJ, Min SH, Yoon S. A study on the attitude of soy food and estimated dietary isoflavone intake among Korean adolescent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004; 9: 606-614 

  28. Choi MK, Jun YS. A comparative study on isoflavone intake and blood lipids between hypertensive and normotensive.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006; 11(2): 271-278 

  29. Lee SK, Lee MJ, Yoon S, Kwon DJ. Estimated isoflaone intake from soy products in Korean middle-aged wome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0; 29(5): 948-95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