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산 및 수입 적포도주의 품질특성
Characteristics of Domestic and Imported Red Wines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5 no.2, 2008년, pp.203 - 208  

장은하 (원예연구소 과수과) ,  정석태 (원예연구소 과수과) ,  박교선 (원예연구소 과수과) ,  윤해근 (원예연구소 과수과) ,  노정호 (원예연구소 과수과) ,  장한익 (원예연구소 과수과) ,  최종욱 (경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국산 포도주와 수입 포도주의 품질을 비교함으로서 국산 포도주의 품질 수준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토출하여, 국산 포토주의 품질 개선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실험에는 국내산 및 수입산 적포도주가 각각 19종이 사용되었다. 포도주의 신맛을 나타내는 산의 함량에 있어서 수입 포도주는0.5-0.6%로서 전체적으로 산의 함량이 균일한데 비하여 국산 포도주는 0.4-0.8%로 제품간의 차이가 많았으며, 당함량에 있어서도 수입산 보다 국산이 비교적 높은 경향이었다. 포도주의 적색도와 탄닌 함량에 있어서, 수입산이 비교적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나 일부 국산 포도주는 수입 포도주와 비슷한 수준의 높은 함량을 보였다. 포도주 중에 잔류하고 있는 총아황산 농토에 있어서 국산의 경우 10 mg/L 미만이 36.8%을 차지하는데 반하여 수입산은 5%로서 낮은 비율을 보였다. 휘발산 함량에 있어서 국산 포도주가 수입포도주에 비해 비교적 높은 함량을 보여, 국산 포도주의 제조나 숙성시 초산 생성균의 오염이 의심되며, 이는 국산포도주에 있어서 아황산 함량이 낮은 것과 상관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quality of domestic wines, with a long-tenn goal of improving their quality. We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19 domestic and imported red wines. The titratable acidity of imported wines ranged from 0.5-0.6% and that of domestic wines ranged from 0.4-0.8%. The ...

주제어

참고문헌 (22)

  1. Kim, J.W. (2007) 국산 포도주 마케팅 전략. 한국 포도주 산업 활성화 방안 심포지엄. 원예연구소 87-99 

  2. 농림부 (2007) 2006 과실류 가공현황. 일반통계 11417 p.9-10 

  3. The trade statistical data. (2007) Korea Agricultural Trade Information, Korea Agro-Fisheries Trade Corporation. http://210.103.25.71/trade/tp_web_trade1.jsp 

  4. Anon (2002) The Annual report of food industry. The AF News Press, Seoul, Korea. 200-205 

  5. 농림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2002) 2002 과수실태조사. p.744-785 

  6. Kim, J.S., Sim, J.Y. and Yook, C. (2001) Development of red wine using domestic grape campbell early.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319-326 

  7. Park, Y.H. (1975) Studies on the grape variety and the selection of yeast strain for wine-making in Korea. J. Korean Agric. Chem. Soc., 18, 219-227 

  8. Lee, S.Y., Lee, K.H., Chang, K.S. and Lee, S.K. (2000) The changes of aroma in wine treated with reverse osmosis system.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7-24 

  9. Lee, J.K. and Kim, J.S. (2006) Study on the deacidification of wine made from campbell early.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408-413 

  10. Lee, S.O. and Park, M.Y. (1980) Immobilization of leuconostoc oenos cells for wine deacidific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2, 299-304 

  11. Lee, J.E., Hong, H.D., Choi, H.D., Shin, Y.S., Won, Y.D., Kim, S.S. and Koh, K.H. (2003) A study o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korean red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841-848 

  12. Lee, S.J., Lee, J.E. and Kim, S.S. (2004) Development of korean red wines using various grape varieties and preference measurem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911-918 

  13. Han, N.S. (2006) Development and selection of yeast starter for the production of korea-style wine. 2006년도 포도연구사업단 자체평가회. 259-273 

  14. Koh, J.S. (1998) 식품분석실험. 제주대학교출판부 

  15. Folin, O. and Ciocalteu, V. (1927) On tyrosine and tryptophane determination in proteins. J. Biol. Chem., 27, 625-650 

  16. Bae, S.M. (2002) 일본 포도주 제조기술. 배상면주류연구소 

  17. Park, W.M., Park, H.G., Rhee, S.J., Lee, C.H. and Yoon, K.E. (2002) Suitability of domestic grape, cultivar cambell's early for production of red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590-596 

  18. Yair, M. (1997) Concepts in wine chemistry. The wine appreciation guild Ltd., San Francisco, U.S.A., P.20-27 

  19. Lee, J.E., Shin, Y.S., Sim, J.K., Kim, S.S. and Koh, K.H. (2002) Study on the color characteristic of korean red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164-169 

  20. Ribereau-Gayon, P., Glories, Y., Maujean, A. and Dubourdieu, D. (2000) Handbook of Enology, volume 2: The chemistry of wine stabilization and treatments. John Wiley & Sons Ltd. Chichest, UK., p.129-157 

  21. Graham, H.F. (1993) Wine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In: Sulfur dioxide and wine microorganisms. Harwood Academic Publishers GmbH, Switzerland., p.373-393 

  22. Joyeux, A., Lafon-Lafourcade, S. and Ribereau-Gayon, P. (1984) Evolution of acetic acid bacteria during fermentation and storage of wine. Appl. Environ. Microbiol., 48, 153-15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