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에서는 700년 전부터 포도주가 양조되어 왔으며, 산림경제, 증보산림경제, 임원십육지 등 많은 문헌에 기록이 남아 있으나 근세에 한국의 전통적인 포도주의 제조가 중단 되었다. 한국의 전통포도주는 포도과즙에 쌀을 첨가하고 누룩으로 발효시키는 세계의 포도주제조방법과는 다른 독특한 방법으로 제조되었다. 수운잡방의 양조방법을 변형한 세가지 방법과 임원16지의 방법에 따라 전통포도주를 제조하여 제조과정의 경과를 분석하고 포도와 설탕으로 담금한 포도주와 품질을 비교하였다. 발효 7일후 Brix는 $4.8{\sim}5.8$로 낮아졌고 전통포도주의 알코올 함량은 $9.2{\sim}11.2%$로 대조구 포도주의 11.8%와 큰 차이가 없었으나, 산도는 $0.93{\sim}1.20\;mg/100\;mL$로 비교적 높았다. 전통포도주는 glucose와 fructose의 함량이 적고 maltose의 함량이 많았으며, 유기산 중 acetic acid와 lactic acid가 많이 함유되었으며 tartaric acid, malic acid는 적었다. 찹쌀과 포도로 담금한 전통포도주의 아미노산은 $0.80{\sim}0.88\;mg/100\;mL$로 높았다. 적포도주의 중요한 관능적 요소인 색도는 대조구의 L값이 4.26인데 비하여 $3.59{\sim}3.69$를 나타내었으며, 적색도 a는 $20.63{\sim}38.06$이었으며 황색도 b값은 $1.20{\sim}1.56$이었다. 고형분 함량은 $278{\sim}358\;mg/L$이었으며 전기전도도$411{\sim}505\;{\mu}s/cm$이었고 총 페놀화합물의 함량은 $599.6{\sim}652.2\;GAE\;mg/L$로 로제포도주 수준이었으며 항산화활성은 각각 $50.59{\sim}56.75%$ 수준이었다. 결과적으로 수운잡방의 제조방법에 주모를 첨가하여 제조하는 방법이 산업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일반 포도주와 비슷한 산도를 가지는 전통포도주의 제조를 위하여서는 아황산을 첨가하거나, malo-lactic fermentation을 유도하여 감산을 위한 개선된 제조방법을 적용할 경우 한국 특유의 전통포도주로서 손색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Korea, many types of traditional grape wine have existed starting from seven hundred years ago and horse-blossom-like-grape (mayu-podo) was mainly cultivated. Korean traditional wine (KTW) was manufactured by a unique method in which grape juice-added porridge made from glutinous rice was ferm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국의 전통포도주의 독특한 양조방법은 과학적 연구와 민족의 식문화유산을 보존·발전시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운잡방, 임원16지,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에 기록된 전통포도주의 다양한 제조방법 중에서 제조방법이 상세하게 기록되고, 오늘날 응용이 가능한 수운잡방의 방법, 술의 고형분 함량을 줄이고 발효효율을 증대하기 위해 수운잡방의 방법을 변형한 2가지 양조방법 및 임원16지의 방법에 따라 4종류의 전통포도주를 제조하여 제조과정의 경과를 분석하고 포도와 설탕으로 담금한 포도주와의 품질을 비교함으로써 산업화가 가능한 전통포도주 제조방법을 확립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양의 포도주는 언제 우리나라에 전해졌는가? 포도주는 지금부터 8,000년 전 오늘날의 Georgia와 Kurdistan지역인 Caucasus산맥의 척박한 지역에서 제조되기 시작하여 매년 30,000,000 kL가 생산되고 소비되는 가장 매혹적이고 일반화된 주류이다(1,2). Kang(3)은 이색의 시를 인용하여 포도의 재배가 고려 말부터 일반화 되었다고 주장하였으며, 서양의 포도주는 13세기경의 고려시대에 우리나라에 전하여진 것으로 고찰된다(4). 한국에는 700년 전부터 포도주가 양조되었으며 수운잡방(1500년 초엽), 지봉류설(이수광, 1613), 류원총보(김육, 1644), 산림경제(홍만선, 1715경), 증보산림경제(유중임, 1766), 임원십육지(서유구, 1827경), 농정회요(최한기, 1830경), 양주방(1837경), 군학회 등(1850경),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이용기, 1943) 등에 기록이 남아 있으나, 근세에는 한국의 전통적인 포도주의 제조가 중단되었다.
수운잡방에 의하면 한국의 전통적인 포도주는 어떻게 제조되었는가? 한국에는 700년 전부터 포도주가 양조되었으며 수운잡방(1500년 초엽), 지봉류설(이수광, 1613), 류원총보(김육, 1644), 산림경제(홍만선, 1715경), 증보산림경제(유중임, 1766), 임원십육지(서유구, 1827경), 농정회요(최한기, 1830경), 양주방(1837경), 군학회 등(1850경),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이용기, 1943) 등에 기록이 남아 있으나, 근세에는 한국의 전통적인 포도주의 제조가 중단되었다. 수운잡방에 의하면 건포도 분말을 이용하여 「백미 3말을 여러번 씻은 다음 곱게 가루 내어 죽을 만들고 식힌 후에 누룩가루 7되를 같이 섞어 1차 담금한다. 술이 익으면 백미 5말을 씻어 찌고 식힌 후에 누룩 3되와 포도가루 1말을 1차 담금한술에 혼합하여 2차 담금하여 제조한다. 다른 방법으로 생포도를 짓이겨 포도즙 10 L를 만들고, 찹쌀 5되(10 L)로 죽을 만들어 식힌 다음 누룩가루 5홉(1 L)과 같이 석어 독에 담아 빚고 맑기를 기다려 음용한다. 양주자사의 자리도 걸어 볼만 하다.
포도주는 매년 얼마나 생산되는가? 오늘날 유럽과 미국을 비롯한 세계 여러 지역의 포도주가 국내에서 유통되고 그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포도주는 지금부터 8,000년 전 오늘날의 Georgia와 Kurdistan지역인 Caucasus산맥의 척박한 지역에서 제조되기 시작하여 매년 30,000,000 kL가 생산되고 소비되는 가장 매혹적이고 일반화된 주류이다(1,2). Kang(3)은 이색의 시를 인용하여 포도의 재배가 고려 말부터 일반화 되었다고 주장하였으며, 서양의 포도주는 13세기경의 고려시대에 우리나라에 전하여진 것으로 고찰된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Page S. 2006. The pocket wine encyclopedia. Barnes & Noble Books, New York. p 161 

  2. Choi YJ, Kim YK. 2007. Wine selection attributes of new wine drinkers. Korean J Food Culture 22: 299-302 

  3. Kang CG. 1992. Historic review of fruits of Korea. Kang Choon Gi's Thesis Collection. Jigumunhwasa, Seoul. p 69 

  4. Kang IH. 1985. Korean history on food culture. Samyoungsa, Seoul. p 131-132 

  5. Lee HJ. 1995. Traditional country wine of Korea. Hanyang University Press, Seoul. p 38, 197 

  6. You JI. 1981. J eungbo sanlim-keongjae (Re-addition of Agriculture Economic, 1766). Asiamunwhasa, Seoul. p 179 

  7. Seo YG. 1983. Imwon keong-Ji (Book on Country Economy, 1827). Minsogwon, Seoul. p 28, 352, 428 

  8. Bae SD, Bae SM, Kim JS. 2004.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rice-grape wine fermented with rice and grape.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616-623 

  9. National Tax Service Technical Service Institute. 1975. Alcoholic beverage analysis rule. Sejung Pub. Co., Seoul, Korea. p 196 

  10. Kim JS, Sim JY, Yook C. 2001. Development of red wine using domestic grape Cambell Early.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319-326 

  11. Woo SM, Lee MH, Seoo JH, Kim YS, Choi HD, Choi IW, Jeong YJ.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wi wine on alcohol fermentation strai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800-806 

  12. Kim YJ, Kim CK, Kwon YJ. 1997. Isolation of antioxidative components of Perillae semen.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38-43 

  13. Kang GH, Chang DJ, Choi SW. 1999. Antioxidative activity of phenolic compounds roasted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seeds. J Food Sci Nutr 4: 221-225 

  14. Berry CJJ. 2000. First steps in winemaking. Amateur Winemaker, Pleasanton, TX, USA. p 30, 114 

  15. Lee JK, Kim JS. 2006. Study on the deacidification of wine made from Campbell Early.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408-413 

  16. Markham D Jr. 1993. Wine basics. John Wiley & Son Inc., New York. p 133 

  17. Margalit Y. 2003. Winery technology & operation. The Wine Appreciation Guild, San Francisco. p 55 

  18. Park WM, Park HG, Rhee SJ, Lee CH, Yoon KE. 2002. Suitability of domestic grape, cultivar Campbell's Early for production of red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590-596 

  19. Zeocklein BW, Fugelsang KC, Gump BH, Nury FS. 1990. Production wine analysis. Van Nostrand Reinhold, New York. p 256-262 

  20. Kanner J, Frankel E, Granit R, German B, Kinseella JE. 1994. Natural antioxidants in grape and wine. J Agric Food Chem 42: 64-69 

  21. Lee HJ, Koh KH. 2001. Antioxidant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Korean wine. Food Sci Biotechnol 10: 566-571 

  22. Koh KH. 2007. Scavenging effect of wine on superoxide radical. 2007 International symposium & annual meeting workshop on strategy for innovation of Korean wine industry of The Korean Society for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Seoul, Korea. p 294-298 

  23. Koh KH, Lee JH, Yoon KR, Choi SY, Seo KL. 1998. Phenolic compounds of Korean red wine and their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ood Sci Biotechnol 7: 131-136 

  24. Kim EJ, Kim YH, Kim JW, Lee HH, Ko YJ, Park MH, Lee JO, Kim YS, Ha YL, Ryu CH. 2007. Optimization of fermentation process and quality properties of wild grape win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366-370 

  25. Jeong HJ, Park SB, Kim S, Kim HK. 2007.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wild grape (Vitis coignetiae ) extracts depending on ethanol concentra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491-14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