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판 와인효모의 발효 특성과 포도주 품질
Characteristics of Fermentation and Wine Quality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5 no.2, 2008년, pp.317 - 324  

노형일 (농촌진흥청 원예연구소) ,  장은하 (농촌진흥청 원예연구소) ,  정석태 (농촌진흥청 원예연구소) ,  장광엽 (전북대학교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고 있는 캠벨 얼리 품종을 이용하여 12종의 서로 다른 시판효모의 발효특성과 포도주 품질을 비교 분석하였다. 먼저 온도에 따른 발효속도에 있어서 같은 효모라도 발효온도에 따라 발효속도가 달랐으며, 효모별 침강속도에 있어서, RC212을 비롯하여 AR2, EC-1118, Premier Cuvee 효모로 처리한 포도주가 비교적 빠르게 침강되었다. 발효 완료 후 처리 효모별 산의 함량에는 다소 차이가 있었는데, EC-1118, Montrachet, Primeur등의 처리구에서 비교적 낮았으며 D47, VR5등의 효모 처리구에서는 산 생성능이 높은 특징을 보였다. 적색도와 탄닌 함량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두 성분간 상관이 0.6%로 나타나, 탄닌 함량이 높은 포도주가 적색도도 높게 나타나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아황산 함량에 있어서 Fermivin, Montrachet, Primeur, VR5, Noble, Merit 처리구에서 낮은 아황산 생성능을 보였다. 효모별 글리세롤 생성능에 있어서는 D47, K1V-1116, AR2, VR5 처리구에서 높은 함량을 보여 글리세롤 함량이 풍부한 부드러운 포도주 양조시 이들 균주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휘발산 생성에 있어서는 Noble, Fermivin, Montrachet등의 처리구에서 100 mg/L이하의 낮은 수치를 나타내어 발효과정 중 초산 생성능이 비교적 낮은 효모임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12 different commercial yeast strains on the characteristics of fermentation and wine quality. All yeast strains had more rapid fermentation at higher temperatures. Wines fermented with the AR2, EC-1118, Premier Cuvee, and RC212 strains had faster sedimentat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국내 포도 재배면적의 74%를 점유하고 있으며 포도주용으로도 많이 이용되고 있는 캠벨얼리 품종 을 이용하여,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시판 건조효모의 발 효특성과 발효완료 후 포도주의 품질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 였기에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포도 주 생산업체에서 목적하는 품질의 포도주를 만들기 위하여 그 목적에 부합하는 시판효모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고 있는 캠벨 얼리 품종을 이용하여 12종의 서로 다른 시판효모의 발효 특성과 포도주 품질을 비교 분석하였다. 먼저 온도에 따른 발효속도에 있어서 같은 효모라도 발효온도에 따라 발효속 도가 달랐으며, 효모별 침강속도에 있어서, RC212을 비롯 하여 AR2, EC-1118, Premier Cuvee 효모로 처리한 포도주 가 비교적 빠르게 침강되었다.
  • 포도를 으깨면서 아황산을 첨가하는 것은 포도 과피의 잡균 살균 및 폴리페놀 물질의 산화를 방지하는 것이 목적 인데, 본 실험에서는 포도 파쇄시 potassium metabisulfite을 150 mg/kg을 처리하였으며 24시간 경과한 후 효모를 접종 시켜 발효시켰고, 앙금분리 후 다시 100 mg/L를 처리하였다. 포도주의 아황산 함량 분석 결과 유리아황산은 K1-V1116 처리구에서 다른 효모보다 훨씬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총아황산 함량은 EC-1118, K1-V1116, Premier Cuvee, AR2 처리구 등에서 높은 함량을, Noble과 Merit 에서는 낮은 함량을 보였다(Fig 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농림부 (2007) 2006 과실류 가공현황. 일반통계 11417 p.9-10 

  2. The trade statistical data. (2007) Korea Agricultural Trade Information, Korea Agro-Fisheries Trade Corporation. http://210.103.25.71/trade/tp_web_tradel.jsp 

  3. Park, K.I., Nah, S.S., Yoo, Y.J. and Hong, S.C. (1969) Studies on the red wine production (in Korean). Technical Bulletin of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and Quality, 19, 107-112 

  4. Gong, S.J., Hong, S.B. and Lee, D.K. (1973) Investigations on grape varieties for wine making. Technical Bulletin of National Horticultural Research Insititute, 15, 19-23 

  5. Lee, Y.S., Choi, J.S. and Shim, K.H. (1993)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volatile compounds from red wine manufactured with Vitis vinifera grapes. Korean J. Food Sci. Technol., 196-201 

  6. Choi, J.S., Han, J.P. and Lee, Y.S. (1999) Some factors of effect on formation of higher alcohols during alcoholic fermentation in wine.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 92-98 

  7. Park, Y.H. (1975) Studies on the grape variety and the selection of yeast strain for wine-making in Korea. Korean J. Agric. Chem. Soc., 18, 219-227 

  8. Byun, S.S. (1980) A comparative study on the manufacturing processes of red wine. Korean J. Nutr., 13, 139-144 

  9. Yoo, J.Y., Seog, H.M., Shin, D.H. and Min, B.Y. (1984) En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grapes and quality evaluation of their wine. Korean J. Appl. Microbiol. Bioeng., 12, 185-190 

  10. Jeong, S.T., Goto, N. and Choi, J.U. (2001)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wine yeast strain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8, 320-325 

  11. Kim, J.S., Kim, S.H., Han, J.S., Yoon, B.T. and Yook, C. (1999) Effects of sugar and yeast addition on red wine fermentation using campbell early.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516-521 

  12. Folin, O. and Ciocalteu, V. (1927) On tyrosine and tryptophane determination in proteins. J. Biol. Chem., 27, 625-650 

  13. Ribereau-Gayon, P., Glories, Y., Maujean, A. and Dubourdieu, D. (2000) Handbook of Enology, volume 2: The chemistry of wine stabilization and treatments. John Wiley & Sons Ltd. Chichest, UK, p.129-157 

  14. Osamu, S., Hitoshi, S., Haruyuki, I., Yuzufu, I. and Takaji, O. (1994) Treatment of waste water discharged from sweet potato chochu distillery with yeasts. J. Brew. Soc. Japan, 89, 321-323 

  15. Park, W.M., Park, H.G., Rhee, S.J., Kang, K.I., Lee, C.H. and Yoon, K.E. (2004) Properties of wine from domestic grape, Vitis labrusca cultivar. Campbell Early, fermented by carbonic maceration vinification proces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773-778 

  16. Park, W.M., Park, H.G., Rhee, S.J., Lee, C.H. and Yoon, K.E. (2002) Suitability of domestic grape, cultivar campbell's early for production of red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590-596 

  17. Graham, H.F. (1994) Wine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Th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Sydney, Australia, 165-196 

  18. Lorenzo, C., Pardo, F., Zalacain, A., Alonso, G.L. and Salinas, M.R. (2005) Effect fo red grapes Co-winemaking in polyphenols and color of wines. J. Agric. Food Chem., 53, 7609-7616 

  19. Lee, J.E., Shin, Y.S., Sim, J.K., Kim, S.S. and Koh, K.H. (2002) Study on the color characteristics of korean red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164-169 

  20. Graham, H.F. (1993) Wine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In: Sulfur dioxide and wine microorganisms. Harwood Academic Publishers GmbH, Switzerland. p.373-393 

  21. Jdckson, R.S. (2000) Wine science: principles, practice, perception. (2nd ed). Acacemic Press. San Diego. p.324-327 

  22. Du Toit, W.J. and Lambrechts, M.G. (2002) The enumeration and identification of acetic acid bacteria from south african red wine fermentations. Int. J. Food Microbiol., 74, 57-6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