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포도주 품질에 미치는 알코올 발효전 포도 전처리 효과
Effect on Wine Quality of Pre-treatment of Grapes prior to Alcohol Fermenta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5 no.6, 2008년, pp.824 - 831  

장은하 (원예연구소 과수과) ,  정석태 (원예연구소 과수과) ,  노정호 (원예연구소 과수과) ,  윤해근 (원예연구소 과수과) ,  박교선 (원예연구소 과수과) ,  최종욱 (경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 주요 포도 품종인 캠벨얼리(Campbell Early)를 이용하여 발효전 원료의 전처리방법(열처리, CM처리)이 포도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총산에 있어서 CM처리를 할 경우 대조구나 열처리구에 비해 포도주의 총산이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총안토시아닌과 탄닌 함량에 있어서, 열처리한 후 발효시킨 포도주가 대조구에 비해 높은 함량을 보인반면 CM처리의 경우는 대조구나 열처리에 비해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적색도는 안토시아닌이나 탄닌이 높은 열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나는바, 폴리페놀류 함량이 와인의 적색도와 상관이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에서와 같이 발효전 원료의 전처리 방법이 포도주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전처리 기술은 원료 포도의 단점을 극복하는 유용한 수단이라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heating and carbonic maceration (CM) pre-treatments prior to alcohol fermentation on wine quality from the main Korean grape variety, Campbell Early. Wine fermented with CM treatment had lower total acidity than control and heated wines. Wine f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주요 포도 품종인 캠벨얼리(Campbell Early)를 이용하여 발효전 원료의 전처리방법(열처리, CM 처리)이 포도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총산에 있어서 CM처리를 할 경우 대조구나 열처리구에 비해 포도주의 총산이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 본 연구는 국내 주요 포도 품종인 캠벨얼리를 이용하여 알코올 발효전 열처리나 CM처리가 포도주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포도주 품질에 있어 중요한 요소인산 함량이나 색도, 폴리페놀 함량 등을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장 일반적인 포도주 제조 방법은 무엇인가? 따라서 그 포도의 품질특성을 고려한 원료의 처리방법이나 양조 방법을 규명하는 것이 좋은 포도주 생산을 위하여 대단히 중요한 기초 연구라 할 수 있다. 포도주 제조는 일반적으로 포도를 으깬 후 효모를 접종하여 포도주를 생산하는 것이 가장 보편적인 방법이다. 국내에서 주로 재배되는 캠벨얼리 품종은 대부분 생식용으로 재배되고 있으며 과피 착색이 잘 되기 때문에 조기에 수확하는 경우가 많다.
포도주의 품질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무엇인가? 포도주의 품질은 1차적으로 원료인 포도의 품질에 영향을 받으며 이차적으로 발효기술이나 숙성기술에 의해서도 많은 영향을 받는다. 포도는 품종 및 재배지역의 기후와 재배환경에 따라 품질이 좌우되며 동일한 원료를 사용하더라도 원료의 처리 방법이나 제조 방식에 따라 포도주의 특성이 달라진다(1,2).
국내에서 주로 재배되는 캠벨얼리 품종으로 포도주를 제조할 경우 어떤 문제점이 있는가? 국내에서 주로 재배되는 캠벨얼리 품종은 대부분 생식용으로 재배되고 있으며 과피 착색이 잘 되기 때문에 조기에 수확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일반적인 방법으로 포도주를 제조할 경우 신맛이 강한 것이 많으며 또한 국산 포도주의 경우 수입산 적포도주에 비하여 적색도나 탄닌 함량이 낮은 것이 많다(3). 이러한 국산 포도주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시각의 연구가 요구되고 있는데, 원료 처리방법이나 발효방법 등을 통하여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Lee, S.J., Lee, J.E. and Kim, S.S. (2004) Development of korean red wines using various grape varieties and preference measurem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911-918 

  2. Lee, J.K. and Kim, J.S. (2006) Study on the deacidification of wine made from Campbell Early.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408-413 

  3. Chang, E.H., Jeong, S.T., Park, K.S., Yun, H.K., Roh, J.H., Fang, H.K. and Choi, J.U. (2008) Characteristics of domestic and imported red wines. Korean J. Food Preserv., 15, 203-208 

  4. Lee, J.E., Won, Y.D., Kim, S.S. and Koh, K.H. (2002)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red wine with different grape variet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151-156 

  5. Kim, J.S., Sim, J.Y. and Yook, C. (2001) Development of red wine using domestic grape Campbell Early. Part (I).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319-326 

  6. Chung, J.H., Mok, C.K., Lim, S.B. and Park, Y.S. (2003) Ultrafiltration for quality improvement of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386-392 

  7. Bae, I.Y., Lee, K.Y., Shin, M.S. and Lee, H.G. (2004) Development of red wine using monascus anka.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744-748 

  8. Yoo, J.Y., Seon, H.M., Shin, D.H. and Min, B.Y. (1984) En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grape and quality evaluation of their wine. Korean J. Appl. Microbiol. Bioeng., 12, 185-190 

  9. Roh, H.I., Chang, E.H., Joeng, S.T. and Jahng, K.Y. (2008) Characteristics of fermentation and wine quality. Korean J. Food Preserv., 15, 317-324 

  10. Moon, K.D. (2006) Development of grape juice and vinegar with high quality and functionality. 2006년도 포도연구사업단 자체평가회. 235-242 

  11. Jeong, S.M., Kim, S.Y., Kim, D.R., Jo, S.C., Nam, K.C., Ahn, D.U. and Lee, S.C. (2004) Effect of heat treatn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citrus peels. J. Agric. Food Chem., 52, 3389-3393 

  12. Park, W.M., Park, H.G., Rhee, S.J., Kang, K.I., Lee, C.H. and Yoon, K.E. (2004) Properties of wine from domestic grape, Vitis labrusca cultivar. Campbellp's Early: Fermented by carbonic maceration vinification proces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773-778 

  13. Koh, J.S. (1998) 식품분석실험. 제주대학교출판부 

  14. Gomez, L. Rubio, E and Auge, M. (2002) A new procedure for extraction and measurenemt of soluble sugars in ligneous plants. J. Sci. Food Agric., 82, 360-369 

  15. Mazza, G., Fukumoto, L., Delaquis, P., Girard, B. and Ewert, B. (1999) Anthocyanins, phenolics and color of cabernet franc, merlot, and pinot noir wines from british columbia. J. Agric. Food Chem., 47, 4009-4017 

  16. Folin, O. and Ciocalteu, V. (1927) On tyrosine and tryptophane determination in proteins. J. Biol. Chem., 27, 625-650 

  17. Agilent technologies. (2006) Food solutions with HPLC 

  18. Sun, B., Spranger, I., Roque-do-Vale, F., Leandro, C. and Belchior, P. (2001) Effect of different winemaking technologies on phenolic composition in tinta miuda red wines. J. Agric. Food Chem., 49, 5809-5816 

  19. Bae, S.M. (2002) 일본 포도주 제조기술 

  20. ackisch, P. (1985) Modern winemaking. Cornell University Press, Ithaca, NY, USA, p.107-109 

  21. Yair, M. (1997) Concepts in wine chemistry. The wine appreciation guild Ltd., San Francisco, USA, P.20-27 

  22. Jackson, R.S. (2000) Wine science: principles, practice, perception, 2nd ed., Academic press, San Diego. p.324-327 

  23. Karasu Yalcin, S. and Ozbas, Y. (2003) Production of glycerol by biochemical routes and its importance in wine fermentations. Gida, 28, 339-347 

  24. Boulton, R.B., Singleton, V.L., Bisson, L.F. and Kunkee, R.E. (1996) Principles and practices of winemaking. Aspen Publishers, Inc., Gaithersburg, MD, USA 

  25. Joyeux, A., Lafon-Lafourcade, S. and Ribereau-Gayon, P. (1984) Evolution of acetic acid bacteria during fermentation and storage of wine. Appl. Environ. Microbiol., 48, 153-156 

  26. Timberlake, C.F. and Bridle, P. (1976) The effect of processing and other factors on the color characteristics of some red wines. Vitis, 15, 37-49 

  27. Spranger, M.I., Climaco, M.C., Sun, B., Eiriz, N., Fortunato, C., Nunes, A., Leandro, M.C., Avelar, M.L. and Belchior, A.P. (2004) Differentiation of red winemaking technologies by phenolic and volatile composition. Analytica Chimica Acta, 513, 151-161 

  28. Lee, S.Y. and Park, J.D. (2004) Effects of heating temperatures and times on anthocyanin pigments in grape juice. Korean J. Food Preserv., 11, 336-341 

  29. Sommers, T.C. and Evans, M.E. (1986) Evolution of red wines. I. Ambient influences on color composition during early maturation. Vitis, 25, 31-39 

  30. Sommers, T.C. Pocock, K.F. (1990) Evolution of red wines. III. Promotion of the maturation phase. Vitis, 29, 109-121 

  31. Fenwick, G.R., Curl, C.L., Griffiths, N.M., Heaney, P.K. and Price, K.R. (1990) Bitter principles in food plants. In: Bitterness in foods and beverages, Rouseff, R.L. ed., Developments in food science 25, Amsterdam, Elsevier, p.205-250 

  32. Noble, A.C. (1998) Why do wines taste bitter and feel astringent? In: Chemistry of wine flavor. Waterhouse, A.L. and Ebeler, S. eds., ACS Symposium Series, Amer. Chem. Soc., Washington, DC, p.156-165 

  33. Gomez-Plaza, E., Gil-Munoz, R., Lopez-Roca, J.M. and Martinez-Cutillas, A. (2000) Color and phenolic compounds of a young red wine: Influence of wine-making techniques, storage temperature, and length of storage time. J. Agric. Food Chem., 48, 736-741 

  34. Gomez-Plaza, E., Gil-Munoz, R., Lopez-Roca, J.M., Martinez-Cutillas, A. and Fernandez-Fernandez, J.L. (2001) Phenolic compounds and colour stability of red wines: Effect of skin maceration time. Am. J. Enol. Vitic., 52, 266-270 

  35. Ribereau-Gayon, P., Glories, Y., Maujean, A. and Dubourdieu, D. (2000) Handbook of Enology, volume 2: The chemistry of wine stabilization and treatments. John Wiley & Sons Ltd. Chichest, UK, p.129-157 

  36. Boulton, R.B., Singleton, V.L., Bisson, L.F. and Kunkee, R.E. (1996) Principles and practices of winemaking. Aspen Publishers, Inc., Gaithersburg, MD, U.S.A 

  37. Singleon, V.L. and Trousdale, E.K. (1992) Anthocyanin- tannin interaction explaining differences in polymeric phenols between white wines and red wines. Am. J. Enol. Vitic., 43, 63-70 

  38. Du Toit, W.J. and Lambrechts, M.G. (2002) The enumeration and identification of acetic acid bacteria from south african red wine fermentations. Int. J. Food Microbiol., 74, 57-6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