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낙관성과 가족통제감이 노인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Undergraduate's Optimism and Family-control on Their Awareness of Caregiving for the Elderly 원문보기

한국생활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17 no.1, 2008년, pp.13 - 26  

박인전 (영남대학교 유아교육과) ,  최외선 (영남대학교 가족주거학과) ,  김애희 (영남대학교 미술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undergraduate's optimism and family-control on their awareness of caregiving for the elderly.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374 undergraduates from 4 universities in G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WIN(ver. 12.0) progra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노인부양의식을 개인이 노인부양에 대해 가지고 있는 태도나 의식이라 정의하고, 경제적·정서적·서비스적 측면에서 다각도로 살펴 보고자 하였으며, 특히 향후 가족과 사회의 가치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사회적 계층인 대학생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 기질적 낙관성은 심리학 연구들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개념이며, 낙관성을 가장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고 받아들 여져 왔으므로(Norem & Chang, 2000), 본 연구에서는 기질적 낙관성을 통해 낙관성을 측정하고자 한다.
  • 대학생의 낙관성과 가족통제감이 노인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지금까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시점에서, 본 연구는 대학생의 낙관성과 가족통제감 및 노인부양의식의 수준을 알아보고, 대학생의 배경특성에 따른 차이, 그리고 대학생의 배경특성과 낙관성 및 가족 통제감이 노인부양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기질적 낙관성은 심리학 연구들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개념이며, 낙관성을 가장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고 받아들 여져 왔으므로(Norem & Chang, 2000), 본 연구에서는 기질적 낙관성을 통해 낙관성을 측정하고자 한다. 또한 낙관성의 반대는 낙관성의 부재이지 비관성을 의미하지는 않으므로(Marshall et al., 1992), 낙관성과 비관성을 나누어 측정하지 않고 낙관성만을 알아보고자 한다. 낙관성 척도의 총 문항 수는 10문항으로, 이 중 긍정적 진술문항이 3문항, 부정적 진술문항 3문항이 있으며, 부정적 진술 문항은 역채점한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낙관성과 가족통제감이 노인부양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에서, 미래의 주 부양자가 될 대학생을 대상으로 개인 및 가족의 성숙 차원에서 낙관성과 가족통제감이라는 자원이 노인부양의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높은 자아존중감과 긍정적 평가 및 낙관적 견해 등과 같은 강인한 인성 특성이 적응력 향상에 기여하며(허정무, 1998; Seligman, 1990; Walsh, 2002), 가족통제감 역시 가족의 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송자경, 2003; Antonovsky & Sourani, 1988)결과를 토대로 볼 때, 낙관성 및 가족통제감이 전반적인 가족 적응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뿐 아니라 나아가 낙관성과 가족통제감이 노인부양의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원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았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실제로 Helton 등 (2000)은 낙관적인 사람과 비관적인 사람 간에 정서적 차이가 있음을 주장하면서, 비관적인 사람들이 낙관적인 사람들보다 자신감과 상황에 대한 통제감이 더 적은 것으로 보고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개인이 가진 낙관성이 가족 통제감에 실제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더 나아가 개인의 낙관성과 가족통제감이 노인부양의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나아가 개인의 낙관성과 가족통제감의 관련성을 살펴보거나, 이들 변인들이 노인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의 낙관성과 가족통제감이 노인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 및 그 경로를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향후 노인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뿐 아니라 노인부양체계 재 정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는데 궁극적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가족과 사회 환경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가족 내의 모든 신념은 모든 개인에게 반드시 공유되는 것이 아니라(Busell & Reiss, 1993), 출생순위나 성 등으로 인해 상이한 관점이 나타날 수 있다(김안자, 2005)는 측면을 고려하여, 연구대상자의 성별, 연령, 출생순위, 종교 유무를 배경변인으로 선택하였다. 이외에 본 연구가 대학생의 노인부양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제반 요인들의 영향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기에, 노인부양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변인, 즉 노인복지수업 수강 여부, 조부모의 생존 여부, 조부모와의 동거경험 유무를 포함시켰다. 이는 기존의 관련 선행연구(김영주 외, 2004; 조성희, 2003)에 의하면, 조부모와의 동거경험 유무에 따라 노인부양의식이 달라질 수 있으며, 또한 노인관련 연구들에 따르면, 노인복지수업 수강 여부 등의 변인이 노인에 대한 태도(서병숙, 김수현, 1999; 이영숙, 박경란, 2002)에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낙관성은 무엇을 뜻하는가? 낙관성은 앞으로 좋은 일이 많이 생길 것이며 나쁜 일은 잘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는 보편적인 기대감을 뜻하는 용어로(Scheier & Carver, 1992),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 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삶에 대한 성격적 특성이며(김경희, 2000), 개인의 사고, 판단, 행동에 아주 광범위하고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 저항자원에는 무엇이 포함되는가? 스트레스적 상황에서 긴장을 성공적으로 다루는 자원들을 통상적으로 일반적 저항자원(generalized resistance resourses -GRRs)이라 한다. 여기에는 지식과 기능, 자아의 강도, 대처전략의 통어력, 사회적 지지, 사회적 집단에의 위탁, 문화적 안정성, 철학 또는 종교로부터의 가치와 믿음의 안정적 체계, 건강에 대한 예방적 인식, 태생적 강점, 또는 구성된 강점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일반적 저항 자원을 유용한 것으로 인지하는 것은 통제감을 강화시킬 수 있다(송자경, 2003).
일반적 저항자원은 어떤 자원인가? 스트레스적 상황에서 긴장을 성공적으로 다루는 자원들을 통상적으로 일반적 저항자원(generalized resistance resourses -GRRs)이라 한다. 여기에는 지식과 기능, 자아의 강도, 대처전략의 통어력, 사회적 지지, 사회적 집단에의 위탁, 문화적 안정성, 철학 또는 종교로부터의 가치와 믿음의 안정적 체계, 건강에 대한 예방적 인식, 태생적 강점, 또는 구성된 강점 등이 포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0)

  1. 김경희 (2000). 어머니의 미숙아에 대한 고정관념, 낙관주의 그리고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8(8), 111-124. 

  2. 김미옥 (2001). 장애아동가족의 적응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관한 연구 -가족탄력성 (Family Resilience)의 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민정 (2006). 낙관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사회적 지지를 매개 변인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송애, 조병은 (1991). 가족주의 가치관과 노부모부양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9(2), 303-322. 

  5. 김안자 (2005). 가족레질리언스가 한부모가족의 가족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영주, 공인숙, 이주리, 민하영, 이점숙 (2004). 대학생의 가족주의 가치와 아동기 양육경험에 따른 부모 부양의식 및 피부양기대. 한국생활과학회지, 13(5), 701-709. 

  7. 김종숙 (1986). 한국 노인의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김지영 (2002). 대학생의 노인 부양 의식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태현 (1981). 한국에 있어서의 노인부양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서명석 (2005). 장애인 형제의 사회적응에 관한 가족탄력성 효과. 대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서병숙, 김수현 (1999).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이미지 연구. 한국노년학, 19(2), 97-111. 

  12. 송자경 (2003). 간질아동과 가족의 적응에 관한 연구 -가족통정감(Family Coherence)과 가족강인성(Family Hardiness)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신건호 (2005). 청소년의 자아개념, 불안, 희망과 낙관성이 종교정향발달에 미치는 효과. 종교교육연구, 20, 147-166. 

  14. 신현숙, 류정희, 이명자 (2005). 청소년의 낙관성과 비관성: 1-요인 모형과 2-요인 모형의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2(1), 79-97. 

  15. 오승아 (2001). 장애아동가족의 Resiliency Model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옥경희 (1996). 중년기 자녀의 노부모 부양: 의무에서 성숙의차원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2), 265-276. 

  17. 우미경 (1988). 노후부양의식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유성진, 권석만 (2000). 걱정이 많은 사람들의 성격특징. 심리과학, 9(1), 15-37. 

  19. 이선애 (2004). 만성질환아동가족의 가족탄력성이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이성희, 이성미 (2003). 노부모 부양자 교육프로그램의 적용과 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1), 25-36. 

  21. 이영숙, 박경란 (2002). 노년학 교육이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1(3), 29-41. 

  22. 이지연 (2006). 성인 애착과 대학생의 우울과의 관계: 낙관성과 비관성의 매개효과.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학식, 임지훈 (2005). SPSS 12.0 매뉴얼. 서울: 법문사. 

  24. 전유진 (2007). 한부모가족의 청소년 자녀가 지각하는 가족탄력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모, 부자 가족의 비교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전혜성 (2007). 정신장애인 배우자 스트레스가 부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부부신념체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조성희 (2003). 대학생의 노인부양의식에 관한 연구: 노인에 대한 인식, 가족기능, 부양의무감을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조윤주, 이숙현 (2004). 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부모와의 정서적 관계와 부모 부양 의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3), 63-74 

  28. 조하나 (2003). 낙관성 수준에 따른 우호/적대상황에서의 대인관계도식 차이.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최정혜 (1997). 대학생의 효의식과 가족주의가치관 및 부모 부양의식. 대한가정학회지, 35(6), 55-69. 

  30. 한경혜, 윤성은 (2002). 한국 성인 남녀의 부양지원 제공 실태와 특성.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1), 65-73. 

  31.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8). 1998년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32. 허보연 (2005). 지각된 통제감 수준에 따른 낙관주의와 스트레스 대처방식간의 관계.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허정무 (1998). 교원의 정년퇴직 준비과정과 퇴직 후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4. 홍달아기, 하근영 (2002). 조부모-손자녀 유대관계가 노인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1(2), 107-121. 

  35. 2005년도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결과 발표 (2005. 2. 17). 연합뉴스. 

  36. 2005년 한국 가족의 풍경은... (2006. 3. 3). 중앙일보. 

  37. Antonovsky, A. (1987). Unraveling the mystery of health. San Francisco: Jossey-Bass. 

  38. Antonovsky, A., & Sourani, T. (1988). Family sense of coherence and family adaptio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0, 79-92. 

  39. Antonucci, T. C. (1985). Social support: Theoretical advances, recent findings, and possible issues. In G. Sarason & B. Sarason(Eds.). Social Support: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 Boston: Martinus Nijhff. 

  40. Aspinwall, L. G., & Taylor, S. E. (1992). Individual differences, coping,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 A longitudinal study of college adjustment and performa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3, 989-1003. 

  41. Berman, J. J. (1987). Adult children and their parents: Irredeemable obligation and irreplaceable loss.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ork, 10, 21-34. 

  42. Brissette, I., Scheier, M. F., & Carver, C. S. (2002). The role of optimism in social network development, coping,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during a life transi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2, 102-111. 

  43. Brody, E. M. (1981). Women in the middle and family help to older people. The Gerontologist, 21, 19-29. 

  44. Brody, E. M. (1985). Parent care as a normative stress. The Gerontologist, 25, 19-29. 

  45. Brody, E. M., Johnsen, P. T., & Fulcomer, M. C. (1984). What should adult children do for elderly parents and opinions and preferences of three generations of women. Journal of Gerontology, 39(6), 736-746. 

  46. Busell, D., & Reiss, D. (1993). Genetic influences on family process. In F. Walsh(Ed.), Normal family process(2nd ed.). New York: Guilford Press. 

  47. Carver, C. S., Kus, L. A., & Scheier, M. F. (1994). Effects of good versus bad mood and optimistic versus pessimistic outlook on social acceptance versus rejection.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13, 138-151. 

  48. Chang, E. C., Maydeu-Olivares, A., & D'Zurilla, T. J. (1997). Optimism and pessimism as partially independent constructs: Relationship to positive and negative affectiv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3(3), 433-440. 

  49. Chang, E. C., Sanna, L. J., & Yang, K. M. (2003). Optimism, pessimism, affectivity,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in US and Korea: A test of a mediation model.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 34, 1195-1208. 

  50. Cohen, S. Z., & Gans, B. M. (1978). The other generation gap: The middle-aged and their aging parents. Chicago: Follett Publishing Co. 

  51. Compton, W. C. (2004). An Introduction to Positive Psychology. Wadsworth Publishing. 

  52. Creed, P. A., Patton, W., & Bartrum, D. (2002). Multidimensional properties of the Lot-R: Effects of optimism and pessimism on career and well-being related variables in adolescent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0(1), 42-61. 

  53. Hauser, B. B., & Beckman, S. L. (1984). Aging parent/mature child relationship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6, 295-299. 

  54. Helton, W. S., Dember, W. N., Warm, J. S., & Matthews, G. (2000). Optimism, pessimism, and false failure feedback : Effects on vigilance performance. Current Psychology, 18, 311-322. 

  55. Hobfoll, S. E. (2002). Social and psychological Resource and Adaption.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6, 307-324. 

  56. Lazarus, R.,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Y: Springer. 

  57. Marks, N. F., & Lambert, J. D. (1997). Family caregiving: Contemporary trends and issues. NSFH Working Paper No.78. Madison: A National Survey of Families and Households. 

  58. Marshall, G. N., Wortman, C. B., Kusulas, J. W., Hervig, L. K., & Vickers, R. R. (1992). Distinguishing optimism from pessimism: Relations to fundamental dimensions of mood and personalit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2, 1067-1074. 

  59. Norem, J. K., & Chang, E. C. (2000). A very full glass: Adding complexity to our thinking about the implications and applications of optimism and pessimism research. In E. C. Chang (Ed.), Optimism & pessimism: Implications for theory, research, and practice(pp. 347-367).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0. Peterson, C. (2000). The future of Optimism.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55, 44-55. 

  61. Pita de Melo, A. M. (1981).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Beliefs Judgement of Teaching Practices, and Behavial Inten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Rural Settings, Pennsylvania State Univ. Ph. D. dissertation. 

  62. Scheier, M. F., & Carver, C. S. (1985). Optimism, coping and health: Assessment and implications of generalized outcome expectancies. Health Psychology, 4, 219-247. 

  63. Scheier, M. F., & Carver, C. S. (1991). Dispositional optimism and adjustment to college. Unpublished raw data. 

  64. Scheier, M. F., & Carver, C. S. (1992). Effects of optimism on psychological and physical well-being: Theoretical overview and empirical update. Cognitive Theory and Research, 16, 201-228. 

  65. Scheier, M. F., Carver, C. S., & Bridges, M. W. (1994). Distinguishing optimism from neuroticism(and trait anxiety, self-mastery, and self-esteem): A revaluation of the Life Orientation Tes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7, 1063-1078. 

  66. Seligman, M. E. P. (1990). Learned helplessness. Sydney: Griffin Press Limited. 

  67. Sheehan N. W., & Nuttall, P. (1988). Conflict, emotion, and personal strain among family caregivers. Family Relations, 37, 92-98. 

  68. Strutton, D., & Lumpkin, J. (1992).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coping and coping strategies in the work environment. Psychology Reports, 71, 1179-1186. 

  69. Tuckman, J., & Lorge, I. (1953). Attitudes toward Old people.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37, 249-260. 

  70. Walsh, F. (2002). Family resilience framework: Innovative practice applications. Family Relations, 51(2), 130-1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