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기자생과를 이용한 구기자청 제조시 당첨가량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dded Sugar Ratio on Gugija-Sugar Leaching by Using Gugija (Lycii fructus) Raw Frui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6, 2008년, pp.744 - 751  

이가순 (충남농업기술원 금산인삼약초시험장) ,  김관후 (충남농업기술원 금산인삼약초시험장) ,  김현호 (충남농업기술원 금산인삼약초시험장) ,  이희철 (충남농업기술원 청양구기자시험장) ,  백승우 (충남농업기술원 청양구기자시험장) ,  이석수 (충남농업기술원 청양구기자시험장)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생구기자를 수확 후 건조하지 않고 바로 가공용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데치기 처리 유무에 따라 저온($5^{\circ}C$)에서 5개월간 당침 숙성하여 구기자청을 만든 후, 첨가당량에 따른 구기자청 제조 시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데치기 처리를 하지 않은 구기자청에서 구기자에 대하여 첨가당량이 80%일 때, 77.5%의 회수율로 가장 높았다. 색도에서는 당첨 가량이 많을수록 L값(밝기)이 증가하였으며 pH는 첨가당량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으나 총산도는 첨가당량이 많을수록 감소하였다. 생구기자 장명의 주된 유기산은 tartaric acid, citric acid, malic acid 및 succinic acid로 각각 0.63, 0.57, 0.54 및 0.3%를 함유하고 있었으며, 구기자청 제조 시 당첨가량이 증가할수록 citric acid와 succinic acid는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tartaric acid와 malic acid는 증가하는 경향으로 특히 malic acid가 눈에 띄게 증가하여 UPRGSL-4(당 80% 첨가 구기자청)에서 가장 높았다. 폴리페놀성 물질베타인 함량은 데치기 처리를 하지 않은 구기자청에서는 당첨가량에 따라 비례적으로 낮은 함량을 보였으나 사용된 생구기자량과 비교해보면 거의 같은 수준으로 함유하고 있었으며, 데치기 처리를 행한 구기자청은 당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베타인 함량이 급격히 감소하여 80%와 100% 당첨가 청액에서는 정량되지 않았다. 생구기자의 유리아미노산은 총 15종이 검출되었으며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아미노산은 serine으로 218.1 mg/100 g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총유리아미노산 함량이 601.6 mg/100 g이었다. 데치기 처리를 한 구기자청(PRGSL-4)은 총 6종의 아미노산이 검출되지 않아 총량이 383.3 mg/100 g으로 약 반량이 감소되었고, 데치기 처리를 하지 않은 구기자청(UPRGSL-4)은 17종 모두 검량되었고 생구기자보다 약간 높은 함량을 보여 총유리아미노산 함량이 705.7 mg/100 g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ugija-sugar leaching were investigated by adding sugar ratio on Gugija (Lycii fructus) raw fruit. Gugija were prepared by parboiling ($40{\sim}50$ sec at $85^{\circ}C$) and unparboiling. Gugija-sugar leaching were leached after preserving (5 mon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동안 충남 구기자시험장에서 주로 육종된 품종으로는 다수성, 대과 및 내병충해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명안, 불로, 청대, 장명, 청운의 5품종인데, 그 중 최근 2004년도에 장명과 청운을 각각의 수분수로서 함께 재배한 것 중장명이 청운보다 색이 더 붉지 않고 수분함량이 높아 건구기자로 이용할 경우 경제적, 상품적 가치가 타 품종에 비하여 떨어지는 단점과 열과 발생률이 타 품종에 비하여 덜 되고 과육이 더 두껍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15). 이에 구기자 품종 중 장명이 생과용으로 적당할 것으로 생각되어 생과로서의 생과를 당 첨가량에 따라 당침하여 얻어진 구기자청의 이화학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기자의 주요 약효성분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구기자는 맛이 달며 성질은 차고 간과 신장에 작용하여 시력을 개선시키고 근육과 뼈를 강하게 한다(2). 구기자의 주요 약효성분을 보면 주된 성분으로 betaine을 비롯하여, zeaxanthin, β-sitosterol, physalien, choline 등이 있다(3). 그동안 구기자의 좋은 약효성분을 이용하기 위하여 건조 및 추출특성에 대한 연구(4-8), 구기자 추출물에 대한 약리활성 연구로 구기자추출물이 항산화효과, 혈당강하작용, 고지혈증 및 고혈압예방효과, 간독성 보호효과 등 다양하게 약리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다(9-14).
구기자의 좋은 약효성분을 이용한 식품으로서 어떤 연구들이 진행되었는가? 그동안 구기자의 좋은 약효성분을 이용하기 위하여 건조 및 추출특성에 대한 연구(4-8), 구기자 추출물에 대한 약리활성 연구로 구기자추출물이 항산화효과, 혈당강하작용, 고지혈증 및 고혈압예방효과, 간독성 보호효과 등 다양하게 약리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다(9-14). 이에 따라 구기자의 좋은 성분을 이용하여 식품으로서 이용하고자 전통차(15), 구기자맥주(16), 구기자분말을 이용한 생면(17), 구기자고추장(18), 구기자요쿠르트(19), 구기자인절미(20), 쿠키(21), 구기자전통주(22) 등이 연구개발 보고되었다. 지금까지 구기자는 주로 약재로 사용하여왔고 또한 수확기가 일시에 이루어짐과 동시에 구기자가 함유하고 있는 당 함량이 높아 수확 후 바로 건조과정을 거치지 않으면 쉽게 부패하기 쉬운 과실에 속하므로, 그동안 구기자는 수확 후 바로 건조작업을 거쳐 건조형태로 유통되어온것이 대부분이다.
구기자나무는 분류학적으로 어디에 속하는가? 구기자나무(Lycium chinensis Mill)는 가지과(Solanaceae)에 속하는 낙엽송 소관목으로서 온대, 아열대 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므로 우리나라 충남 청양군을 비롯하여 중국, 대만, 일본 및 유럽 등지에서 자생하거나 재배되고 있다. 구기자나무는 열매인 구기자(Lycii fructus)뿐만이 아니라 구기엽(Lycii folium), 뿌리껍질인 지골피(Lycii cortex) 모두 약효의 특성이 각각 인정되어 한방에서 상약재로 이용되고 있는 주된 약재에 속하기도 한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Yook CS. 1997. Colored Medicinal Plants of Korea. 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p 486 

  2. Mellor JD. 1978. Fundamentals of freeze drying. Academic Press, London, England. p 244-250 

  3. Cho IS, Paik SW, Lee BC, Seo GS, Yoon ST. 1995. Screening of chemicals for control of colletrotrichum gloeosporioides in Lycium chinensis Miller. Korean J Med Crop Sci 3: 9-11 

  4. Cho IS, No JG, Park JS, Li RH. 1996. Effect of drying methods on the quality in Lycii fructu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4: 283-287 

  5. Lee BY, Kim EJ, Choi HD, Kim YS, Kim IH, Kim SS. 1995.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oxthorn (Lycii fructus) hot water extracts by roasting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768-772 

  6. Lee SD, Lee MH, Son HJ, Bok JY, Seung CK, Oh MJ, Kim CJ. 1996. Component changes of Lycii fructus extract by hot treatment. Agric Chem Biotechnol 39: 268-273 

  7. Kim PJ, Lee JC, Ko KH, Lee CH. 2004. Effects of drying and extraction condition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water extract of Lycii chinense Miller. Food Eng Prog 8: 105-110 

  8. Kim HK, Na GM, Ye SH, Han HS. 2004. Extraction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Lycii chinense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1: 352-357 

  9. Kim NJ, Whang GY, Hong ND. 1994. Pharmacological effects of Lycii chinense. Korean J Pharmacogn 25: 264-271 

  10. Kim KS, Shim SH, Jeong GH, Cheong CS, Ko KH, Park JH, Huh H, Lee BJ, Kim BK. 1998. Anti-diabetic activity of constituents of Lycii fructus. J Appl Pharmacol 6: 378-382 

  11. Park JS, Park JD, Lee BC, Choi KJ, Ra SW, Chang KJ. 2000. Effects of extracts from various parts of Lycii chinense Mill. on the proliferation of mouse spleen cells. J Medicinal Crop Sci 8: 291-296 

  12. Chung HK, Choi CS, Yang EJ, Kang MH. 2004. The effect of Lycii fructus beer intake on serum lipid profile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rats. Korean J Food Culture 19: 52-60 

  13. Cho JH, Sin JS, Kim EJ, Shin SH, Jang JY, Shin KS, Kim YB, Kang JK, Hwang SY. 2004. Protective effect of Lycii fructus extract against hepatotoxicity induced by carbon tetrachloride. Korean J Lab Animal Sci 20: 187-193 

  14. Kang KI, Jung JY, Koh KH, Lee CH. 2006. Hepatoprotectiveeffects of Lycii chinense Mill fruit extracts and fresh fruit ju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99-103 

  15. Joo HK. 1988. Study on development of tea by utilizing Lycii chinense and Cornus officinalis. Koreaan J Dietary Culture 3: 377-384 

  16. Kang MH, Choi CS, Chung HK. 2003. Phys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Lycii fructus beer. Koreaan J Food Culture 18: 569-574 

  17. Lim YS, Cha WJ, Lee SK, Kim YJ.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 with Lycii fructus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77-83 

  18. Kim DH, Ahn BY, Park BH. 2003. Effect of Lycii chinense fruit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461-469 

  19. Cho IS, Bae HC, Nam MS. 2003. Fermentation properties of yogurt added by Lycii fructus, Lycii folium and Lycii cortex.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3: 250-261 

  20. Lee HG, Cha GH, Park JH.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Injeulmi by different ratios of kugija (Lycii fructu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0: 409-417 

  21. Park BH, Cho HS, Park SY. 2005. A study on the antioxidative effec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made with Lycii fructu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94-102 

  22. Lee DH, Park WJ, Lee BC, Lee JC, Lee DH, Lee JS. 2005. Manufacture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Korean traditional wine by using gugija (Lycii fructu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789-794 

  23.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8. Screening of dietary carotenoids and carotenoid-rich fruit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ities applying 2,2'-azinobis(3-ethylene benzothiazolin-6-sulfonic acid)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Method Enzymol 299: 379-389 

  24. Park SJ, Park WJ, Lee BC, Kim SD, Kang MH. 2006. Antioxidative activity of different species Lycium chinense Miller extracts by harvest tim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146-1150 

  25. Park WJ. 1995. Chemical components of Gugija and physiology of its extract. PhD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p 35-36 

  26. Cha YJ, Lee SM, Ahn BJ, Song NS, Jeon SJ. 1990. Substitution effect of sorbitol for sugar on the quality stability of Yuja Cheong (citron product). J Korean Soc Food Nutr 19: 13-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