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동의 장소성 구축가능성으로 본 초등학교시설의 외부공간계획 분석: 사용자 점유이전의 공간계획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Outdoor Space in Elementary School Design based on the Possibility of Forming a Sense of Place for Children: With Focus on the Spatial Planning before the Occupation 원문보기

敎育施設 : 韓國敎育施設學會誌 = Review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v.15 no.5, 2008년, pp.13 - 20  

이선영 (서울시립대 건축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ense of place at school environment becomes more important as children increasingly spend more time in school and children's attachment to the environment affects the cognition development of children.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that enhance the sense of place fo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계획자의 의도 없이 저절로 장소성이 형성되는 것은 학교와 같은 규율적 공간에서는 가능성이 희박하므로 본 분석에서는 ‘교육시설’에 발표된 계획연구보고와 관련 보고서의 상세내용을 중심으로 이러한 장치들의 충족여부를 살펴보았다.
  • 이러한 개별적 경험을 분석한 결과물에서 공통 사항들에 주목하여 이를 수용하는 계획안을 만드는 것이 학교시설의 설계자 입장에서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거주 후 평가 이전 단계에서도 계획 안을 기준으로 미리 검토되어야 하는 물리적인 공간구성의 성격이 존재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점검을 통하여 일차적으로 아동의 장소성 구축에 도움이 되는 공간요소 들을 환기시키는 것이 본 연구의 범위이다.
  • 본 연구는 아동들의 장소성 구축을 돕는 공간의 속성을 찾고 이를 적극 반영하는 계획안의 발굴을 주된 내용으로 한다. 건축에서 ‘장소’ 개념은 현상학적 접근을 그 기반으로 하고 있으므로 아동 개개인의 특정 공간에 대한 개별적인 경험을 질적 연구를 통하여 규명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 표준설계학교를 경험한 우리나라의 교육시설관련 입안자와 의사결정그룹, 설계자들이 공간의 질로 볼 때 과거에 비하여 확연히 높아진 기준으로 질적 다양성이 부여될 수 있는 시스템이 확보된 현재에도 교육시설을 바라보는 시각이 여전히 과거의 경직된 공간 구성에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출발한다. 아동들이 부모의 간섭 없이 또래들과 어울리고 쉴 수 있는 안전한 피난처로 학교시설을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2)은 학교가 아동들에게 하나의 중요한 장소로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 당위성을 제공하고 있거니와 장소성의 구축이 아동의 인지발달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피아제의 이론에 비추어 볼 때 성장기 아동들이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고 앞으로 방과 후 교실운영 등으로 점점 더 많은 시간에 노출될 초등 학교시설이 아동들의 장소성 구축에 어느 정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방향으로 계획되고 있는가를 알아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그러나 이러한 중요성과는 달리 초등학교 시설에 관한 작금의 연구들이 교과과정변화에 따른 기능적 재편이나 효율성에 집중해 왔고 인지발달의 측면에서나 정서발달의 측면에서 초등학교 시설을 주목한 연구가 드물다는 사실은 학교를 단순한 학습의 장으로 보아왔던 시각을 그대로 대변한다고 할 수 있다. 표준설계학교를 경험한 우리나라의 교육시설관련 입안자와 의사결정그룹, 설계자들이 공간의 질로 볼 때 과거에 비하여 확연히 높아진 기준으로 질적 다양성이 부여될 수 있는 시스템이 확보된 현재에도 교육시설을 바라보는 시각이 여전히 과거의 경직된 공간 구성에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출발한다. 아동들이 부모의 간섭 없이 또래들과 어울리고 쉴 수 있는 안전한 피난처로 학교시설을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2)은 학교가 아동들에게 하나의 중요한 장소로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 당위성을 제공하고 있거니와 장소성의 구축이 아동의 인지발달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피아제의 이론에 비추어 볼 때 성장기 아동들이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고 앞으로 방과 후 교실운영 등으로 점점 더 많은 시간에 노출될 초등 학교시설이 아동들의 장소성 구축에 어느 정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방향으로 계획되고 있는가를 알아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진행된 교육시설관련 연구의 50% 이상이 초등학교에 집중되어 있는 이유는? 교육시설과 관련된 우리나라의 연구동향을 분석한 최근의 논문은 지난 20년간 우리나라에서 진행된 교육시설관련 연구의 50% 이상이 초등학교에 집중되어 있다는 사실을 밝히고 있는데1) 이는 아동기에서 청소년기로 이행하는 시기에 6년이라는 기간이 가지는 의미에서나 아동 개인의 성장발달의 속도에서 초등학교가 가지는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이기도 하다.
장소란? ‘장소’란 일반적으로 개인이나 그룹차원에서 특별한 의미가 부여된 특정지점을 칭하는 것으로 한 개인이 일생을 거치며 수많은 공간을 경험하더라도 진정한 장소로 남게 되는 부분은 극히 일부일 뿐만 아니라 어린 시절의 장소 일수록 그 중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어린 시절의 장소는 한 개인의 자기정체성을 만들어내고 세상과 소통하는 방식을 결정짓는다.
건축에서 ‘장소’ 개념은 현상학적 접근을 그 기반으로 하고 있으므로 아동 개개인의 특정 공간에 대한 개별적인 경험을 질적 연구를 통하여 규명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건축에서 ‘장소’ 개념은 현상학적 접근을 그 기반으로 하고 있으므로 아동 개개인의 특정 공간에 대한 개별적인 경험을 질적 연구를 통하여 규명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이러한 개별적 경험을 분석한 결과물에서 공통 사항들에 주목하여 이를 수용하는 계획안을 만드는 것이 학교시설의 설계자 입장에서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거주 후 평가 이전 단계에서도 계획 안을 기준으로 미리 검토되어야 하는 물리적인 공간구성의 성격이 존재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점검을 통하여 일차적으로 아동의 장소성 구축에 도움이 되는 공간요소 들을 환기시키는 것이 본 연구의 범위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류호섭.최병관, 학교건축계획 연구의 동향에 관한 고찰, 교육시설 제12권 5호 pp.35-46, 2005 

  2. Stuart Aitkin, Putting children in their plac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Washington D.C. 1994 

  3. Bernardi 외, Environmental Comfort in School Buildings: A Case Study of Awareness and Participation of Users, Environmen and Behavior, Vol.38 No.2, pp.155-172, 2006 

  4. Louise Chawla, Childhood Place Attachments in Altman & Low (eds.) Place Attachment New York: Plenum Press, 1992 

  5. Edith Cobb, The Ecology of Imagination in Childhood, Columbia University Press, New York, 1977 

  6. Korpeladhl, Restorative experience, Self-regulation, and Children's Place Preference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Vol.22 Issue 1, pp.387-398, 2002 

  7. Clare Cooper Marcus, Remembrance of Landscapes Past, Landscape, Vol.22 No.3, pp.35-43, 1978 

  8. M.H. Mattews, Making Sense of Place: Children's understanding of large-scale environments, Barns & Noble Books, Savage, Maryland, 1992 

  9. Robin Moore 외, Childhood Outdoors: Toward a Social Ecology of the Landscape in Altman & Wohlwill, Children and the Environment, Plenum Press, New York, 1978 

  10. S. Rieh, Creating Sense of Place in School Environments, Arch. D Thesis, University of Hawaii, 2007 

  11. Rachel Sebba, The Landscapes of Childhood: The Reflection of Childhood's Environment in Adult Memories and in Children's Attitudes, Environment and Behavior, Vol.23 No.4, pp.395-422, 1991 

  12. David Sobel, A Place in the World: Adult's Memories of Childhood's Special Places, Children's Environments Quarterly, Vol.7(4), pp.5-12, 1990 

  13. Zacharias 외, Spatial Behavior in San Francisco's Plaza: The effects of Microclimate, Other People, and Environmental Design, Environment and Behavior, Vol.36 No.5, pp.638-658,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