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곡(水穀)의 운화(運化)와 배출 -"황제내경(黃帝内经)"을 중심으로-
The movement and transformation of the food and drink and its transpiration 원문보기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v.21 no.4, 2008년, pp.249 - 260  

오재근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  윤창열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croding to "Hwangjenaegyeong(黃帝內經)", when the food and drink[水穀] enter the mouth, they divided into two different things with solid food[食] and liquid food[飮], then transformed and absorbed into Jeong(精), Gi(氣), and Jinaek(津液) and spread to the entire body. The movement and transformation[運化] of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렇지만 대부분의 논문들이 『黃帝內經』의 설명 뿐 아니라 후대 의가들의 여러 의견들을 중첩하여 소개하고 있어 수곡의 흡수 運化 및 배출에 대한 논의는 여전히 확연하게 드러나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이하에서는 체내로 들어간 水穀이 어떤 과정을 통해 섭취되고 어떻게 체내를 運化하며 체외로 배설되는지에 대해 『黃帝內經』의 내용을 중심으로 고찰해보려고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氣는 무엇인가? 그 전체적 관계를 형성하게 하는 토대가 되는 관념이 바로 감응(感應)으로 감응 관념은 氣 사상과 아주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氣란 죽은 물질이 아니라 시간의 흐름 속에서 살아 움직이는 생명의 힘이자 에너지를 지칭하는 단어이고, 우주와 인간 전체가 같은 기로 구성되어 있음에서 한발 더 나아가 우주 안에 있는 인간을 포함한 개별적 사물이 어떻게 움직이고 관계를 형성해가는지에 대한 개념이 바로 감응이라 할 수 있다2). 『黃帝內經』은 이런 관점을 분명하게 드러내고 있는데 “하늘의 기는 肺와 통하고, 땅의 기운은 목구멍(嗌)과 통하며, 바람의 기운은 肝과 통하고, 우레의 기운은 心과 통하며, 곡식의 기운은 脾와 통하고, 비의 기운은 腎과 통한다”3)는 식으로 사람의 몸과 天地를 感應의 관계로써 설명한다.
五藏 중에서 胃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水穀의 흡수 운화 및 배출에 가장 관련이 깊은 藏”는 脾와 胃로 飮食을 氣와 津液으로 변화시키고 糟粕을 大小腸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胃는 小腸, 大腸, 三焦, 膀胱 등과 함께 水穀을 받아들이고 내보내는 작용을 하여 水穀의 섭취와 배설을 담당한다. 五藏 중에서 胃와 膜을 두고 연접해있는 脾가 가장 주도적인 작용을 담당하는데 食으로부터 흡수한 精과 氣를 肝이나 心, 胃에서 넘쳐난 飮은 肺의 관련 藏으로 보내기도 하고, 津液을 움직이는 작용을 수행하기도 한다.
감응은 무엇인가? 그 전체적 관계를 형성하게 하는 토대가 되는 관념이 바로 감응(感應)으로 감응 관념은 氣 사상과 아주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氣란 죽은 물질이 아니라 시간의 흐름 속에서 살아 움직이는 생명의 힘이자 에너지를 지칭하는 단어이고, 우주와 인간 전체가 같은 기로 구성되어 있음에서 한발 더 나아가 우주 안에 있는 인간을 포함한 개별적 사물이 어떻게 움직이고 관계를 형성해가는지에 대한 개념이 바로 감응이라 할 수 있다2). 『黃帝內經』은 이런 관점을 분명하게 드러내고 있는데 “하늘의 기는 肺와 통하고, 땅의 기운은 목구멍(嗌)과 통하며, 바람의 기운은 肝과 통하고, 우레의 기운은 心과 통하며, 곡식의 기운은 脾와 통하고, 비의 기운은 腎과 통한다”3)는 식으로 사람의 몸과 天地를 感應의 관계로써 설명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