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관상동맥 중재술 후 심질환 재발장지를 위한 통합적 증상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an Integrated Symptom Management Program for Prevention of Recurrent Cardiac Events afte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8 no.2, 2008년, pp.217 - 228  

손연정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n integrated symptom management program for prevention of recurrent cardiac events afte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Methods: Subjects consisted of 58 CAD patients (experimental group: 30, control group: 28). The e...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캘리포니아 간호대학 증상관리 연구 교수진 (UCSF Symptom Management faculty group)에 의해 개발 수정된(Dodd, Janson, Facion, Faucett, & Froelicher, 2001) 증상관리 모델(Symptom Management Model)을 기초로, 의료진과 환자 간의 상호작용에 중점을 둔 통합적인 증상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시도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의료진중심의 중재전략과 환자 중심의 자가관리 전략으로 구성되며, 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각 회복단계별(입원 기간-퇴원 직전-퇴원 후)로 대상자와의 상호작용이 용이한 증상관리 전략들로 구성하여 지속적, 역동적으로 교육 및 모니터링하고, 대상자의 신체적, 심리사회적 증상에 대한 중재전략까지 포함하고 있는 측면이 기존의 프로그램과는 다르다.
  • 또한, 국내 간호계에서는 관상동맥 질환자의 급성기 치료에 주로 관심이 집중된 반면(Kim, 1998; Kim & Park, 2000), 관상동맥 중재술 후심질환 재발을 줄이기 위한 중재 연구는 매우 부족하였고, 관상동맥 중재술을 시행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비교적 긴 시간인 6 개월간에 걸쳐 중재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심질환 재발을 전향적으로 조사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관상동맥 중재술을 시행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회복단계별 통합적 증상관리 프로그램을 적용함으로써 관상동맥 중재술 후 심질환 재발을 예방하고, 관상동맥 질환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기여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관상동맥 중재술 후 심질환 재발 방지를 위해, 통합적 증상관리 프로그램 (Integrated Symptom Management) Program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로써, 본 프로그램의 적용이 대상자의 심질환 재발률, 증상 경험, 생리적 지표, 자가관리 이행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6개월간의 전향적 연구실시를 통해 규명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개념적 기틀은 캘리포니아 간호대학 증상관리 연구 교수진에 의해 1994년 처음 개발되어져, 최근 수정된(Dodd et al., 2001) 증상관리 모델(Symptom Management Model)을 기초로, 본 연구의 목적이 통합적인 증상관리를 통해 궁극적으로 관상동맥 질환자의 자가관리 능력을 증진시켜, 심질환 재발방지를 포함한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하므로 이 모델이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이 모델에서, 증상관리의 목표는 의료진 중심의 중재전략 및 환자 중심의 자가관리 전략을 통해서 부정적결과가 초래되는 것을 막는데 있다.
  • 본 연구는 관상동맥 중재술 후 심질환 재발을 예방하기 위해통합적 증상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로써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 설계에 의한 유사 실험 연구이다(Fi即re 2). 대조군의 경우 대상자 모집에 어려움이 있어, 실험군과 유사한 처치상황에 있는 3차 의료기관을 대조군으로선정하였는데 이는 비록 입원 시 병원 혹은 의사마다 치료성향의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퇴원 후 약물치료 등의 추후관리에서의 기본 지침은 유사하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 조사하였다. Lipid pannele 관상동맥 질환의 생리적 위험인자로 널리 알려져(Kop, 1997), 입원 기간 중이나 외래방문 시 지속적으로 측정되는 생리적 지표이기에 본 연구에서 조사하였다.
  • 수 있도록 격려하였다. 또한, 환자 자신이 위험 인자를 스스로인식할 수 있고 그 위험인자를 관리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방법 중심으로 교육하였다. 교육의 구성은 심혈관 질환에대한 이해/관상동맥 질환과 관련된 위험요인 및 건강한 생활습관(혈압 및 혈중 지질농도 조절, 체중조절, 당뇨 및 식이 조절, 금연, 이완요법과 심호흡을 통한 스트레스 관리)/가정 내 운동교육 및 시범/올바른 복약지도/가정 내에서의 자가 심박수 측정과 자가 혈압측정이 가능하도록 교육 및 시범/심장발작과 같은응급상황에서의 대처법/허용 가능한 일상활동 등으로 하였으며, 5인의 전문가 타당도를 거쳐 완성된 교육용 소책자는 그림이나 사진을 많이 활용하여 제작하였고 교육 후 무료로 제공하였다.
  • 본 연구는 관상동맥 중재술 후 심질환 재발 방지를 위해 통합적 증상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로써, 1단계는 2005년 7월부터 8월까지 진행되었으며 문헌고찰및 전문가 타당도를 거쳐 소책자를 이용한 개별교육 내용, 전화상담 및 모니터링, 자가관리 이행일지를 중심으로 통합적 증상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2단계는 효과검증 단계로서 2005년 8월부터 2006년 6월까지 이루어졌으며, 대상자 선정은 C시에 소재한 3차 종합병원 두 곳에 관상동맥 질환으로 진단받고 입원한 환자를 유한모집단으로 하여 각각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6개월간 추적관찰을 시 행하였다.

가설 설정

  • 첫째, 통합적 증상관리 프로그램을 제공받군 이하이하 실험군)과 제공받지 않은 군(이하 대조군) 간에 심질환 재발률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둘째,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측정 시기에 따른 증상경험 점수의 변화양상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둘째,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측정 시기에 따른 증상경험 점수의 변화양상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셋째,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측정 시기에 따른 생리적 지표의 변화양상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셋째,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측정 시기에 따른 생리적 지표의 변화양상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넷째,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측정 시기에 따른 자가관리 이행점수의 변화양상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넷째,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측정 시기에 따른 자가관리 이행점수의 변화양상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다섯째,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측정 시기에 따른 삶의 질 점수의 변화양상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심질환 재발률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의 가설 1의 검정 결과, 관상동맥 중재술을 시행받은 시점으로부터 6개월째의 심질환 재발률은 실험군이 1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ppels, A., Bar, F., Lasker, J., Flamm, U., & Kop, W. (1997). The Effect of a psychological intervention program on the risk of a new coronary event after angioplasty: a feasibility study.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43, 209-217 

  2. Barnason, S., Zimmerman, L., Nieveen, J., Schmaderer, M., Carranza, B., & Reilly, S. (2003). Impact of a home communication intervention fo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patients with ischemic heart failure on self efficacy, coronary disease risk factor modification, and functioning. Heart &Lung, 32, 147-158 

  3. Barnason, S., Zimmerman, L., Brey, B., Catlin, S., & Nieveen, J. (2006). Patterns of recovery following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a pilot study. Applied Nursing Research, 19, 31-37 

  4. Black, J. M., & Matassarin-Jacobs, E. (1997). Medical-Surgical Nursing (5th ed.). Philadelphia: Saunders Co 

  5. Bogaty, P., Poirier, P., Simard, S., Boyer, L., Solymoss, S., & Dagenais, G. (2001). Biological profiles in subjects with recurrent acute coronary events compared subjects with long standing stable angina. Circulation, 103, 3062-3068 

  6. Brown, S. J., Lieberman, D. A., Germeny, B. A., Fan, Y. C., Wilson, D. A., & Pasta, D. J. (1997). Educational video games for juvenile diabetes: results of a controlled trial. Medical Informatics, 22, 77-89 

  7.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 (2nd ed.).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ion Pub 

  8. Dodd, M., Janson, S., Facion, N., Faucett, J., Froelicher, E. S. (2001). Advancing the science of symptom management.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3, 668-676 

  9. Fernandez, R. S., Griffiths, R., Juergens, C., Davidson, P., & Salamonson, Y. (2006). Persistence of coronary risk factor status in participants 12 to 18 months afte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The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21, 379-387 

  10. Gulanick, M., Blileu, A., Perino, B., & Keough, V. (1998). Effects of intensive multiple risk factor reduction on coronary atherosclerosis and clinical cardiac events in men and women with CAD. Circulation, 89, 975-990 

  11. Hanssen, T. A., Nordrehaug, J. E., Eide, G. E., & Hanestad, B. R. (2007). Improving outcomes after myocardial infarct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evaluating effects of a telephone follow up intervention. European Journal of Cardiovascular Prevention and Rehavilitaion, 14, 429-437 

  12. Kim, G. Y. (1998). Development of a critical pathway for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8, 117-131 

  13. Kim, H. S., & Park, M. J. (2000).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and educational needs related to recurrence in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0, 549-559 

  14. Koh, S. B., Chang, S. J., Kang, M. G., Cha, B. S., & Park, J. K. (1997). Reliability and validity on measurement instrument on health status assessment in occupational workers. Kore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30, 251-266 

  15. Kop, W. J. (1997). Acute and chronic psychological risk factors for coronary syndromes: moderating effects of coronary artery disease severity.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43, 167-181 

  16.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6). 2005 Etiology of mortality in Korea. Retrieved November 10, 2006 from http://www.nso.go.kr 

  17. Lee, Y. W., Kim, H. S, & Cho, E. Y. (2002). The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 behavior of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2, 40-49 

  18. Lerakis, S., El-chami, M. F., Patel, A. D., Veledar, E., Alexopoulos, E., Zacharoulis, A., et al. (2006). Effects of lipid levels and lipid lowering therapy on restenosis after coronary artery stenting. The American Journal of Medical Sciences, 331, 270-273 

  19. Lichtman, J. H., Amatruda, J., Yarri, S., Cheng, S., Smith, G. L., Mattera, J. A., et al. (2004). Clinical trial of an educational intervention to achieve recommended cholesterol levels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American Heart Journal, 147, 522-528 

  20. Odell, A., Grip, L., & Hallberg, L. R. (2006). Restenosis afte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experiences from the patient's perspective. European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5, 150-157 

  21. Park, J. A. (2003). The comparative study on stress and the compliance of sick role behavior according to the restenosis of coronary artery intervention pati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22. Sinclair, A. J., Conroy, S. P., Davies, M., & Bayer, A. J. (2005). Post discharge home based support for older cardiac patie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ge and Ageing, 34, 338-343 

  23. Slavin, L., Chhabra, A., & Tobis, J. M. (2007). Drug-eluting stents: preventing restenosis. Cardiology in Review, 15, 1-12 

  24. Taylor, C. B., & Miller, N. H. (1991). Education of the coronary patient and family: the behavioral approach. In N. K. Wenger & H. K. Hellerstein (3rd ed.), Rehabilitation of coronary patient. New York: Churchill Livingstone 

  25. Ware, J. E., & Sherboune, C. D. (1992). The Mos 36-item short form health survey (SF-36). Medical Care, 30, 473-483 

  26. Wong, M. S., & Chair, S. Y. (2007). Changes i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following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a longitudinal study. Internal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4, 1334-1342 

  27. Zimmerman, L., Barnason, S., Schulz, P., Nieveen, J., Miller, C., Hertzog, M., et al. (2007). The effects of a symptom management intervention on symptom evaluation, physical functioning, and physical activity for woman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22, 493-50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