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 경력자의 검시관 체험 연구
A Study on the Experiences of Nurse Coroners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8 no.2, 2008년, pp.310 - 320  

한진숙 (건양대학교 간호학과) ,  박인숙 (충남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essential structure of the postmortem- examination experiences of nurse career coroners (forensic investigators), to have a profound understanding of their experiences, and ultimately to lay the foundation for nurses' entry into the field of f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Colaizzi (1978) 방법에서 연구자는 모든 감각을 이용하여 대상자에게 인간적인 관심을 가지고 대상자의 경험을 순수하게 전체로써 접근하며 결과는 연구자에 의해 지각된 것으로서의 전체 행위에 대한 기술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 경력자들의 검시관으로서의 경험의 의미를 전체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 현상학적 연구 방법은 참여자의 진술을 통해 인간적으로 경험된 현상의 의미를 밝히는 경험의 연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사 경력자가 검시관이 되어 겪는 체험의 의미를 이해하고 그 본질적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개인의 경험을 생생하게 발견하여 그 본질을 깊이 이해하는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사 경력의 검시관이 체험한 경험의 본질적 의미를 파악하여 간호영역의 한 분야로써 검시관을 포함한 법의 간호학이 계발되고 확대되어 간호사들의 전문 활동 분야로 정착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안정된 공무원이라는 매력에 끌림 , 억울한 죽음을 밝혀내서 느끼는 성취감 , 피해자와 가해자를 가려주고 느끼는 자부심 , '무한한 발전 가능성이 보임, 등 4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사 경력자가 검시관을 시작하는 시점에서 먼저 간호사 경력자들이 검시관으로 활동하는 체험의 의미가 무엇인지 그 본질적 구조를 밝혀내고자 하였다. 현재 간호영역에서 검시관에 대한 연구가 전혀 없으며 처음 시작하는 상황이므로, 이를 바탕으로 법의간호학이 계발되고 발전되어 간호사들의 전문 활동 분야로 자리매김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간호학의 영역 확대 가능성이 많은 검시관에 관한 연구로 간호사 경력자가 검시관으로 체험하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현상학적 인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안정된 공무원이라는 매력에 끌림, 억울한 죽음을 밝혀내서 느끼는 성취감, 피해자와 가해자를 가려주고 느끼는 자부심, 무한한 발전 가능성이 보임' 등 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 본 연구의 간호학적 의의는 간호사 경력자들이 법의 간호학의 한 분야인 검시관에 진출하여 활동하면서 간호 영역을 넓히고 나아가 활동 영 역이 매우 넓은 법의학 관련 학문을 탐구하여 다양한 법의학 직종에 종사할 수 있도록 그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간호 교육학적인 측면에서 법의간호학을 간호학의 한 분야로 확장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는 자료가 되리라 생각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 경력자들이 검시관으로서 활동하는 체험의 의미가 무엇인지 그 의미를 이해하여 본질을 추구하고 현상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질문은 '간호사 경력자들의 검시관으로서의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 이다.
  • 그래서 검시관으로서 지속적으로 공부하여 우리나라에서 처음 시도되는 검시관의 자리를 확고하게 자리 매김하려고 노력하였다. 참여자들은 능력있는 검시관이 되어 법의간호학의 중심에 서고 싶어하며 사회 곳곳에서 할 일을 찾아 사회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참여자들은 법의학 분야에 동참을 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신분이 간호사들임을 강조하고 많은 간호인력 이 법의 분야에 진출하기를 바란다.

가설 설정

  • (3) 검시관 제도가 정착되기를 바라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ang, K. H. (2004). A Study on improvements in the Korean police's ability for scientific investig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sei University, Gunpo 

  2. Colaizzi, P. E. (1978). Ph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menologist views it. Existential Phe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3. Guba, E., & Lincoln, Y. (1989). Fourth generation evaluation. Newbury Park: Sage Publications 

  4. Gwag, S. G. (2004). The legal and systematic reflections on postmortem investigation system in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National University, Kwangjoo 

  5. Hwang, J. J. (2003). A study on efficient operation of a postmortem examination system (Report). Seoul: Police Science Institute 

  6. Kim, J. S. (2001). A study on the postmortem investigation in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Paichai University, Daejeon 

  7. Kim, S. J. (2005). The role model of forensic nurse as a death investigater in Korea funeral hom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8. Ko, J. W., & Yom, Y. H. (2003).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 265-274 

  9.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2005). Actual condition and improvement plan for a postmortem examination system. Unpublished manuscript 

  10.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Nursing Science (Eds.) (2002). Mosby's medical nursing &allied health dictionary (6th ed.). Seoul: Hyunmoonsa 

  11. Korean Society of Culture Theology (2004). Understanding in the field of death and life. Seoul: Handeul Publishing Company 

  12. Kwak, J. S., Lee, S. H., Lee, S. D., Chae, J. M., Choi, Y. S., & Han, K. L. (2002). A study on improvement plan for confirming a system of the cause of death (Research report, pp. 2-12). Seoul: Korean Academy of Legal Medical Science 

  13. Lee, B. S., Kang, S. R., Kim, H. O. (2007). Experience of job satisfaction in clinical nurse: Application of focus group methodolog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114-124 

  14. Lee, H. J. (2001). Predictors of job performance, work satisfaction, and productivity among Korean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1, 571-583 

  15. Lee, J. S. (Ed.). (2002). Law of Criminal Procedure (6th ed.). Seoul: Parkyoungsa 

  16. Lee, S. O. (2006). From A to Z in the field of advancing to a nurse. Koreanurse, 45(5), 20-23 

  17. Lim, K. O. (2003).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for Korea's postmortem examination system.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18. Lim, G. O., Park, H. K., Lee, S. A., Kwak, J. S., Kwak, Y. S., & Chae, J. M. (2003). Current issues on medical death investigation system in Korea and suggestions for future improvement. Journal of Criminology 14, 247-280 

  19. Moon, K. J. (1995). The new legal medical medicine. Seoul: Ilzokac 

  20. Park, S. S. (2002). Search for the improvement direction in a postmortem examination system through the joint presence of medical examiners (Research report, pp. 37-57). Seoul: Ministry of Government Affairs and Home Affairs 

  21. Shin, M. A. (2006). Publicity education of medical examiner. Unpublished manuscrip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m 

  22. The Korean Forklore Society (1995). Understanding of Korean Forklore. Seoul: Moonhack Academy 

  23. The National Assembly Secretariat Legislatile Counseling (1996). Reference source book for National Assembly's Inspection. Unpublished manuscrip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