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호스피스간호사의 영적갈등 경험: 현상학적 연구
Experience of Spiritual Conflict in Hospice Nurses: A Phenomenological Study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7 no.1, 2017년, pp.98 - 109  

이병숙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  곽수영 (계명문화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aim of this phenomenological study was to describe and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spiritual conflict in hospice nurses by identifying the meanings and structures of the experience. Methods: Participants were 12 nurses working for one year or more at hospice units of general hospital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적간호란 무엇인가? 영적간호는 이상과 같은 다차원적 관계성 속에서 유발되는 영적고통과 영적갈등을 해소함으로써 영적안녕을 획득하려는 전인적 간호 활동이다. 이러한 영적간호가 특히 필요한 상황으로는 인간의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질병, 임종 등에 노출된 상황이나 인간의 내면에 깊은 상처를 남긴 사건, 다양한 형태의 부조화, 그리고 딜레마를 야기하는 상황이 있다[4].
호스피스·완화 의료에 있어서 간호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호스피스·완화 의료에 있어서 간호사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호스피스간호사는 신체적 증상과 죽음에 대한 두려움으로 고통스러워하는 말기환자에게 전인적 돌봄을 제공함으로써 이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인간의 존엄성을 유지하도록 돕는 서비스를 제공한다[2]. 영성은 전인적 돌봄의 한 영역인 영적간호를 위해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인간의 측면이다.
영적간호가 특히 필요한 상황은 무엇이 있는가? 영적간호는 이상과 같은 다차원적 관계성 속에서 유발되는 영적고통과 영적갈등을 해소함으로써 영적안녕을 획득하려는 전인적 간호 활동이다. 이러한 영적간호가 특히 필요한 상황으로는 인간의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질병, 임종 등에 노출된 상황이나 인간의 내면에 깊은 상처를 남긴 사건, 다양한 형태의 부조화, 그리고 딜레마를 야기하는 상황이 있다[4]. 따라서 참기 어려운 신체적 고통과 코앞에 다가온 죽음의 두려움에 직면하고 있는 호스피스 대상자에게 영적간호는 간과되어서는 안 될,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National Cancer Cente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Internet]. Goyang: Author; 2015 [cited 2016 January 16]. Available from: http://www.ncc.re.kr/main.ncc?urimanage01_8. 

  2. Kim BH, Choe SO, Chung BY, Yoo YS, Kim HS, Kang KA, et al. Job analysis for role identification of general hospice palliative nurs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10;13(1):13-23. 

  3. Oh PJ, Kang KA. Spirituality: Concept 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0;30(5):1145-1155. 

  4. Kang SR. Concept analysis of spiritual ca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6;36(5):803-812. 

  5. Belcher A, Griffiths M. The spiritual care perspectives and practices of hospice nurses.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Nursing. 2005;7(5):271-279. 

  6. Lee WH. Total pain of patient with terminal cancer.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00;3(1):60-73. 

  7. Kang SY, Koh MH, Choi JS. The experience of hospice nurses on spiritual care: The process of untying a knot of mind.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2008;8(2):111-119. 

  8. Yoon MO. The spiritual well-being and the spiritual nursing care of nurses for cancer patients.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09;12(2):72-79. 

  9. Kim J, Lee SJ, Lee WH.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ity and fighting spirit among cancer patient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05;17(4):583-591. 

  10. Choe MA, Kim KW. English-Korean Mosby's medical, nursing & allied health dictionary. Seoul: Hyunmoon; 2002. 

  11. Kim K, Yong J. Spirituality, death anxiety and burnout levels among nurses working in a cancer hospital.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13;16(4):264-273. http://dx.doi.org/10.14475/kjhpc.2013.16.4.264 

  12. Choi YE. Predictors of burnout among hospice nurses [master's thesis]. Daegu: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3. p. 1-59. 

  13. Shin MH, Shin SR. Predictors of burnout among oncology nurses.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2003;3(1):75-84. 

  14. Kang SY, Lee BS. The lived experience of nursing care for the dying patients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1;7(2):237-251. 

  15. Lee YS, Tae YS. The lived experience of the burnout of nurses working in oncology wards. Asian Oncology Nursing. 2012;12(1):100-109. http://dx.doi.org/10.5388/aon.2012.12.1.100 

  16. Sandelowski M. The problem of rigor in qualitative research. Advances in Nursing Science. 1986;8(3):27-37. 

  17. Martin J, George R. What is the point of spirituality? Palliative Medicine. 2016;30(4):325-326. http://dx.doi.org/10.1177/0269216316631931 

  18. Woo YW, Kim KH, Kim KS. Death anxiety and terminal care stress among nurses and the relationship to terminal care performanc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13;16(1):33-41. http://dx.doi.org/10.14475/kjhpc.2013.16.1.033 

  19. Brewer BB, Watson J. Evaluation of authentic human caring professional practices.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5;45(12):622-627. http://dx.doi.org/10.1097/NNA.0000000000000275 

  20. Kim SJ. Death anxiety and terminal care attitudes of nurses in hospice palliative units. Nursing Science. 2015;27(1):23-34. 

  21. Shin DW, Choi JY, Nam BH, Seo WS, Kim HY, Hwang EJ, et al. The current status of utilization of palliative care units in Korea: 6 month results of 2009 Korean terminal cancer patient information system.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10;13(3):181-189. 

  22. Carpenito LJ. Nursing diagnosis: Application to clinical practice. 14th ed.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2. p. 664-666. 

  23. Kim KM, Lee BS. The conceptual analysis of spiritual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998;10(3):460-468. 

  24. Baldacchino DR. Nursing competencies for spiritual car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6;15(7):885-896.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6.01643.x 

  25. McEwen M. Spiritual nursing care: State of the art. Holistic Nursing Practice. 2005;19(4):161-168. 

  26. Ji SI, You HS. The impact of clinical nurses' terminal care attitude and spiritual health on their terminal care stress.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14;17(4):232-240. http://dx.doi.org/10.14475/kjhpc.2014.17.4.232 

  27. Highfield ME. Providing spiritual care to patients with cancer. Clinical Journal of Oncology Nursing. 2000;4(3):115-120. 

  28. Seo I, Yong J, Park J, Kim J. Spiritual and psychosocial effects of the spirituality promotion program o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4;44(6):726-734. http://dx.doi.org/10.4040/jkan.2014.44.6.726 

  29. Chochinov HM, Cann BJ. Interventions to enhance the spiritual aspects of dying. Journal of Palliative Medicine. 2005;8(Suppl 1):S103-S115. http://dx.doi.org/10.1089/jpm.2005.8.s-1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