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전자빔 조사를 이용한 고분자량 혼성배열 폴리(비닐 알코올) 수화젤의 제조
Preparation of High Molecular Weight Atactic Poly(vinyl alcohol) Hydrogel by Electron Beam Irradiation Technique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2 no.6, 2008년, pp.587 - 592  

김경식 (영남대학교 디스플레이화학공학부) ,  이영재 (영남대학교 섬유패션학부) ,  류원석 (영남대학교 섬유패션학부) ,  노석균 (영남대학교 디스플레이화학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분자량 폴리 (비닐 알코올) (poly(vinyl alcohol), PVA)에 전지빔 (electron beam, EB)을 조사하여 상처치료용 드레싱으로 응용이 기대되는 수화젤을 성공적으로 제조하였다. 다양한 겔화율, 물에서의 팽윤도, 겔강도, 및 신도를 가지는 수화젤을 제조하기 위해 수평균 중합도($P_n$)가 1700과 4000인 두 종류의 PVA를 이용하였으며, PVA 수용액 농도와 EB 조사선량은 5$\sim$20%와 30$\sim$100 kGy의 범위로 각각 조절되었다. 제조된 PVA 수화젤의 겔화율과 겔강도는 PVA의 분자량과 수용액의 농도 및 EB 조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반면에, PVA 수화젤의 팽윤도와 신도는 감소하였다. PVA 수화젤의 가교밀도에 따른 열적특성과 결정성의 변화는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와 X-ray diffraction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igh molecular weight poly(vinyl alcohol) (PVA) hydrogel to be expected as a candidate material for the wound-dressing was successfully prepared by electron beam (EB) irradiation. To produce PVA hydrogels with various gel fractions, degrees of swelling in water, gel strengths, and elongations, two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수한 생체적합성과 기계적 물성을 가지는 PVA에 전자빔을 조사하여 상처치료용 수화젤을 만드는데 중점을 두었으며, PVA의 분자량과 용액의 농도 조사선량을 달리하여 겔화율과 팽윤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전자빔 조사를 이용하여 PVA의 분자량 및 농도 조사선량 등의 제조조건에 따른 겔화율, 팽윤도 겔강도 열적특성 및 결정성을 고찰하였다. 겔화율은 PVA의 농도와 분자량, 전자빔의 조사 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팽윤도는 겔화율과는 반대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S. J. Kim, K. J. Lee, S. I. Kim, K. B. Lee, and Y. D. Park, J. Appl. Polym. Sci., 90, 86 (2003) 

  2. F. Lim and A. M Sun, Science, 210, 908 (1980) 

  3. J. M. Rosiak, J. Control. Release, 31, 9 (1994) 

  4. K. Toyoshima, Poly(vinyl alcohol), C. A. Finch, Editor,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p 339-388 (1973) 

  5. I. Sakurada, Poly(vinyl alcohol) Fibers, M. Lewin, Editor, Marcel Dekker, New York, p. 3-9 and p. 361-386 (1985) 

  6. M. Masuda, Poly(vinyl alcohol)-Development, C. A. Finch, Editor,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p. 403-422 and p. 711 (1991) 

  7. A. B. Lugao and S. M. Malmonge, Nuclear Instruments and Methods in Physics Research B, 185, 37 (2001) 

  8. M. Sen and E. N. Avci, J. Biomed. Mater. Res., 74, 187 (2005) 

  9. J. M. Rosiak and F. Yoshii, Nuclear Instruments and Methods in Physics Research B, 151, 56 (1999) 

  10. F. Yoshii, K. Makuuchi, D. Darwis, T. Iriawan, M. T. Razzak, and J. M. Rosiak, Radiat. Phys. Chem., 46, 169 (1995) 

  11. F. Yoshii, Y. Zhanshan, K. Isobe, K. Shinozaki, and K. Makuuchi, Radiat. Phys. Chem., 55, 133 (1999) 

  12. W. S. Lyoo, S. G. Lee, J. P. Kim, S. S. Han, and C. J. Lee, Colloid Polym. Sci., 276, 951 (1998) 

  13. W. S. Lyoo and H. W. Lee, Colloid Polym. Sci., 280, 835 (2002) 

  14. D. Zhao, G. Liao, G. Gao, and G. Liu, Macromolecules, 39, 1160 (2006) 

  15. H. J. Lim, S. J. Lee, H. G. Choi, J. A. Kim, C. S. Yong, S. S. Han, S. K. Noh, J. H. Jang, and W. S. Lyoo, J. Appl. Polym. Sci., 106, 3268 (2007) 

  16. W. S. Lyoo, Y. J. Kwak, and W. S. Ha, J. Kor. Fib. Soc., 33, 321 (1996) 

  17. S. G. Kim, W. S. Lee, S. M. Jo, B. C. Kim, W. S. Lyoo, and J. R. Han, J. Kor. Fib. Soc., 36, 354 (1999) 

  18. M. Christie, H. Peppas, and N. A. Peppas, Macromolecules, 32, 2472 (2000) 

  19. Z. Ajji, I. Othman, and J. M. Rosiak, Nuclear Instruments and Methods in Physics Research B, 299, 375 (2005) 

  20. A. M. Atta, A. M. Elsayed, and H. I. Shafy, J. Appl. Polym. Sci., 108, 1706 (2008) 

  21. R. Ricciardi, F. Auriemma, C. D. Rosa, and F. Laupretre, Macromolecules, 37, 1921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