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UV경화형 아크릴계 점착제의 박리 에너지 변화
The Peel Energy Behavior of UV-Cured Acrylic PSAs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2 no.4, 2008년, pp.313 - 321  

손희철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고분자공학과) ,  김호겸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고분자공학과) ,  이동호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고분자공학과) ,  민경은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고분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UV개시에 의해 광경화형 아크릴 공중합체를 합성하고 제조된 아크릴 점착제(PSA)의 박리 에너지와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때 acrylic acid(AA)의 함량을 변화시켜 점착제의 물성을 변화시켰으며, 피착제의 표면 거칠기, 표면 요철방향, 점착제의 두께를 변화시킴으로써 박리 에너지의 변화 추이를 조사하였다. 공단량체인 acrylic acid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표면 거칠기가 낮은 피착제가 높은 박리 에너지를 보였으며 점착제의 두께가 두꺼워 질수록 증가하였다. 또한 피착제 표면의 요철방향이 박리방향과 수평일 때 특히 높은 박리 에너지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점착제의 두께 감소와 피착제 표면 거칠기의 증가가 wetting의 감소를 초래하지만 박리 시 저항력은 오히려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기 때문일 것이라는 예상과도 잘 일치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PSA) was prepared by UV radiation curing and the peel energy and physical properties of PSA were investigated. The increase of amount of acrylic acid leads to improve the peel energy, associated with the substrate having smooth surface and high layer thickness.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표면 거칠기는 연마 방향에 무관하게 거의 유사하다는 것을알 수 있다. 따라서 피착제의 표면 거칠기 및 요철 방향에 따른 박리강도의 비교기. 정량적으로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박리 에너지 AA의 함량과 점착제의 박리 에너지간의 상관관계를살펴봄에 있어 우선 피착제의 표면 거칠기와 점착제의 두께가 이들의 상관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Table 5는 AA의 함량에따른 박리 시 파괴 형태(fracture mode)를 나타낸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UV경화형 아크릴계 점착제를 제조함에 있어 공 단량체인 아크릴산(acrylic acid, AA) 의 함량게 따른 점착 물성과 박리 에너지의 관계를 조사하고 특히 피착제의 표면 거칠기와 점착제의 두께, 피착제의 표면 요철 방향의 변화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가설 설정

  • (a) storage modulus and (b) loss modulu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D. Satas, Handbook of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echnology, 2nd edition, Van Nostrand Reinhold, New York, 1989 

  2. Istvan Benedek, Pressure-Sensitive Adhesives and Applications, 2nd edition, Marcel Dekker, New York, 2004 

  3. A. Pizzi and K. L. Mittal, Adhesive Technology and Application, Marcel Dekker, New York, 2003 

  4. A. J. Kinloch, Adhesion and Adhesives, Science and Technology, Lausanne, 1986 

  5. Z. Czech, J. Appl. Polym. Sci., 81, 3212 (2001) 

  6. Alphonsus V. Pocius, Adhesion and Adhesives Tech-nology, Carl Hanser Verlag, Munich, 2002 

  7. J. H. Hong, UV Radiation Curing, Chosun University Press, 2002 

  8. Polymer Science & Technology, 6, 545 (1995) 

  9. Junko Asahara and Naruhito Hori, J. Appl. Polym. Sci., 87, 1493 (2003) 

  10. Z. Czech, Int. J. Adhes. Adhes., 24, 503 (2004) 

  11. A. Aymonier and D. Leclercq, J. Appl. Polym. Sci., 89, 2749 (2003) 

  12. P. Tordjeman and E. Papon, J. Appl. Polym. Sci., 38, 1201 (2000) 

  13. A. Dupre, Theorie Mecanique de la Chaleur, Gauthier-Villars, Paris, p. 369 (1869) 

  14. A. N. Gent and J. Schultz, Proc. 162nd ACS Meeting, 31, 113 (1971) 

  15. A. N. Gent and J. Schultz, J. Adhes., 3, 281 (1972) 

  16. D. E. Packham, Handbook of Adhesion, 2nd edition, John Wiley & Sons, Ltd, New York, 2005 

  17. Y.-Y. Wang, C.-J. Li, and A. Ohmori, Thin Solid Films, 485, 141 (2005) 

  18. M. Shahid and S. A. Hashim, Int. J. Adhes. Adhes., 22, 235 (2002) 

  19. A. F. Harris and A. Beevers, Int. J. Adhes. Adhes., 19, 445 (1999) 

  20. O. Ben-Zion and A. Nussinovitch, J. Adehsion Sci. Technol., 16, 599 (2002) 

  21. A. Chiche et al., C. R. Acad. Sci. Paris, t. 1, Serie IV, p.1197 (2000) 

  22. T. Sekercioglu et al., Journal of Materials Processing Technology, 142, 82 (2003) 

  23. J. P. Sargent, Int. J. Adhes. Adhes., 26, 151 (2006) 

  24. J. W. Kwon and D. G. Lee, J. Adhes. Sci. Technol., 14, 1085 (2000) 

  25. D. G. Lee, S. Kim, and I. Yong-Taek, J. Adhes., 35, 39 (1991) 

  26. Posco Catalogue, Stainless, Pohang, 2001 

  27. D. K. Owens and R. C. Wendt, J. Appl. Polym. Sci., 13, 1741 (1969) 

  28. F. M. Fowkes, Ind. Eng. Chem., 56, 40 (1964) 

  29. D. K. Owens and R. C. Wendt, J. Appl. Polym. Sci., 13, 1740 (1969) 

  30. D. H. Kaelble and K. C. Uy, J. Adhes., 2, 50 (1970) 

  31. P. Tordjeman, E. Papon, and J-J. Villenave, J. Chem. Phys., 113, 10712 (2000) 

  32. N. Morel, Ph. Tordjeman, J. Duwattez, and E. Papon, Journal of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280, 374 (2004) 

  33. W. H. Yang, J. Appl. Polym. Sci., 55, 64 (1995) 

  34. M. F. Tse, J. Adhes. Sci. Technol., 3, 551 (198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