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분무건조 방법으로 제조된 미립구에서 Sibutramine의 방출거동
Sibutramine Release Behavior from Microspheres Prepared by Spray-Dry Method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2 no.3, 2008년, pp.193 - 198  

박정수 (BK-21 고분자 BIN 융합 연구팀) ,  오정수 (BK-21 고분자 BIN 융합 연구팀) ,  오재민 (BK-21 고분자 BIN 융합 연구팀) ,  김윤태 (BK-21 고분자 BIN 융합 연구팀) ,  이준희 (BK-21 고분자 BIN 융합 연구팀) ,  모종현 (BK-21 고분자 BIN 융합 연구팀) ,  이해방 (한국화학연구원 생체분자전달제어팀) ,  강길선 (BK-21 고분자 BIN 융합 연구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시부트라민은 비만을 치료하기 위한 식욕억제제로서 높은 결정성을 갖는 난용성 약물이다. 이러한 난용성 약물의 용해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고체분산법을 바탕으로 한 분무건조기를 이용하여 미립구를 제조할 수 있었다. 제조된 미립구는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제조시 사용한 용매에 따른 미립구 형태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용매증발 속도가 빠를수록 구형을 이루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X선 회절기를 이용하여 제조된 미립구에서 시부트라민의 결정성이 10%이하로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제조된 미립구는 pH 1.2와 pH 6.8에서 방출을 실시하였으며 시부트라민이 pH에 따라서 용해도 차이가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경필 캡슐을 이용한 것이 정제형태보다 방출이 약 4배 정도 빠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제형의 형태에 따라 방출거동이 조절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butramine is a highly crystalline and poorly water soluble drug as the appetite depressant for obesity treatment. In order to increase water solubility of sibutramine, microspheres including sibutramine were prepared by solid dispersion method using a spray dryer. The crystallinity and morpholog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분무건조기를 이용하여 미립 구를 제조하고 약물을 고체분산화시켜 결정성을 감소시키고 약물의 용해도를 증기시켜서 경구용제제로 이용하기 위한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미립구를 제조하기 위하여 본 실험에서 이용한 Eu-dragit RS는 아크릴과 메타크릴산 에스터로 공중합된 생체적합성 고분자로서 물에 대한 투과도가" pH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팽윤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난용성 약물인 시부트라민을 분무건조기를 이용하여 약물을 고체분산화하여 약물의 용출률을 증가시키고자 하였으며 난용성 약물의 용출률을 증가시키기 위한 첨가제인 PVP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미립구를 제조하기 위하여 약물 전달 매트릭스 약물 및 부형제를 분무건조하기 위해 사용한 용매를 달리하여 용매의 종류에 따라 용출이 달라질 수 있는지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미립구를 제조하기 위하여 약물 전달 매트릭스 약물 및 부형제를 분무건조하기 위해 사용한 용매를 달리하여 용매의 종류에 따라 용출이 달라질 수 있는지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P. G. Kopelman and F. N. Reply,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5, 1405 (2001) 

  2. N. Finer, Best Pract. Res. Clin. Endocrinol. Metab., 16, 717 (2002) 

  3. M. E. J. Lean, Medicine, 34, 515 (2006) 

  4. G. H. Brundtland, "The World Health Report 2002", WHO, Geneva (2002) 

  5. R. S. Padwal and S. R. Majumdar, Lancet, 369, 71 (2007) 

  6. J. C. G. Halford, Appetite, 46, 6 (2006) 

  7. J. Lee, T. Teoh, and T. Lee, J. Psychosom. Res., in press (2008) 

  8. G. A. Bray, G. L. Blackburn, J. M. Ferguson, F. L. Greenway, A. K. Jain, C. M. Mendel, J. Mendel, D. H. Ryan, S. L. Schwartz, M. L. Scheinbaum, and T. B. Seaton, Obes Res., 7, 189 (1999) 

  9. C. A. Luque and J. A. Rey, Pharmacotherapy, 26, 222s, (2006) 

  10. Y. J. Park and Y. J. Son, Korea Patent 10-0008787 (2007) 

  11. H. R. Jeon, D. W. Kwon, B. S. Lee, S. H. Oh, D. Y. Oh, J. S. Park, and S. K. Yu, Korea Patent 10-0627687 (2006) 

  12. Z. Abolfathi, J. Couture, F. Vallee, M. LeBel, M. Tanguay, and E. Masson, J. Pharm. Pharmaceut Sci., 7, 345 (2004) 

  13. J. Y. Youn, J. Ku, S. Y. Lee, B. S. Kim, M. S. Kim, B. Lee, G. Khang, and H. B. Lee, Polymer(Korea), 31, 329 (2007) 

  14. M. Iwata and H. Ueda, Drug Dev. Int. J. Pharm., 22, 1161 (1996) 

  15. W. G. Lu, Y. Zhang, Q. M. Xiong, Y. C. Bao, and Q. H. Chen, Chin. Pharm. J., 30, 24 (1995) 

  16. K. P. Chowdary and K. V. Ramesh, Indian Drugs, 32, 477 (1995) 

  17. T. K. An, H. J. Kang, D. S. Moon, J. S. Lee, H. Seong, J. K. Jeong, G. Khang, and H. B. Lee, Polymer(Korea), 26, 670 (2002) 

  18. W. Y. Jang, S. H. Kim, I. W. Lee, M. S. Kim, J. M. Rhee, G. Khang, and H. B. Lee, Tissue Eng. Regen. Med., 2, 100 (2005) 

  19. K. S. Seo, K. D. Hong, H. Hyun, M. S. Kim, G. Khang, and H. B. Lee, Tissue Eng. Regen. Med., 2, 109 (2005) 

  20. G. Khang, M. S. Kim, S. H. Cho, I. Lee, J. M. Rhee, and H. B. Lee, Tissue Eng. Regen. Med., 1, 9 (2004) 

  21. S. K. Kim, K. D. Hong, S. H. Kim, M. S. Kim, G. Khang, I. W. Lee, C. W. Han, H. K. Lee, and H. B. Lee, Tissue Eng. Regen. Med., 2, 130 (2005) 

  22. K. J. Cho, D. K. Song, S. H. Oh, Y. J. Koh, S. H. Lee, M. C. Lee, and J. H. Lee, Tissue Eng. Regen. Med., 2, 115 (2005) 

  23. J. S. Lee, J. H. Shin, J. K. Jeong, J. M. Rhee, H. B. Lee, and G. Khang, Polymer(Korea), 27, 9 (2003) 

  24. T. S. Chung, J. Membrane Sci., 126, 19 (1997) 

  25. J. K. Vasir, K. Tambwekar, and S. Garg, Int. J. Pharm., 255, 13 (2003) 

  26. K. Masters, Spray Drying Handbook, 4th ed., George Goodwin, Ltd., London (1985) 

  27. C. Yan, J. H Resau, and J. Hewetson, J. Control. Release, 32, 231 (1994) 

  28. J. P. McGee, M. Singh, and X. M. Li, J. Microencapsul., 14, 197 (1997) 

  29. E. J. A. M. Schlicher, N. S. Postma, and J. Zuidema, Int. J. Pharm., 153, 235 (1997) 

  30. J. Oh, J. K. Jeong, J. Kim, S. H. Cho, G. Khang, J. S. Lee, and H. B. Lee, Macromol. Chem. Symp., 15, 4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