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단체급식소 나트륨 섭취감소를 위한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Sodium Reduction in Foodservice Operations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3 no.2, 2008년, pp.216 - 227  

신은경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혜진 (대구광역시 건강증진사업지원단) ,  전소윤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윤영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은정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안문영 (대구광역시 보건위생과) ,  이연경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dietary salt reduction using various nutrition education materials. The effect of a 5-week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n salty taste assessment, nutrition knowledge, salt attitude for a high-salt diet, salt content in foo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주차 미각 판정 스티커를 부착한 보드를 프로그램 실시 기간 내내 비치하였으며, 미각판정 결과 약간 싱겁게 먹는 편과 싱겁게 먹는 편으로 판정받은 직원들에 대해서는 ‘Best 싱싱이’라는 제목으로 사진을 게시판에 부착하여 계속 싱겁게 먹도록 유도하고, 짜게 먹는 동료들에게 싱겁게 먹으려는 동기를 유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 개발한 나트륨 섭취를 줄이기 위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은 단체급식소의 직장인과 조리종사자를 대상으로 설계되었다. 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패널, 팸플릿, 배너, 스티커, 동영상, 노래 등 다양한 매체를 개발하고, 이를 인터넷 웹사이트에 탑재하여 저염 섭취의 중요성을 비롯한 교육 내용들을 지속적으로 홍보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단체급식소 직원 및 조리종사자를 대상 으로 다양한 교육 매체를 개발하여 나트륨 섭취 감소를 위한 영양교육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5주간의 단기간 교육 프로그램으로 짠맛에 대한 미각과 고염식태도의 변화를 목적으로 하였는데, 고혈압의 완화, 심혈관질환의 발병 또는 그로 인한 사망률 감소 효과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후속조치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인쇄 및 영상 매체를 활용한 5주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관련 내용을 수록한 웹사이트를 제작하였다. 또한 개발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교육 전후에 짠맛 미각 판정, 영양지식도, 고염식태도 및 음식 중 소금(나트륨) 함량을 측정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성인의 하루 소금 평균 섭취량은 얼마나 되는가? 우리나라 성인의 하루 소금 평균 섭취량은 13.5 g으로 미국 8.6 g, 영국 9.
소금에 대한 세계보건기구 권장량 및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의 목표량은 어떻게 되는가? 0 g, 일본 10.7 g에 비하여 높은 편인데 (American NHANES 1999-2000; British NDANS 2000; Japanese NHANS 2004; Korean NHANES 2005), 이는 세계보건기구 권장량 및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의 목표량인 5 g에 비하면 2.7배에 해당하는 것으로 약 8.
나트륨 섭취가 높을수록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가? 여러 국가의 인구별 역학조사 결과 소금섭취량이 높을수록 고혈압 발병률이 증가되는 현상을 보였으며(Dahl 1997), 위암, 골다공증, 심혈관질환, 뇌혈관질환 등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Itoh 등 1999; Chobanian & Hill 2000; Wardner & MacGreger 2002; Tsugane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ppel LJ, Moore TJ, Obarazanek E, Vollmer WM, Svetkey LP, Sacks FM et al (1997). A Clinical trial of the effects of dietary patterns on blood pressure. DASH Collaborative Research Group. N Engl J Med. 336(16): 1117-1124 

  2. Chobanian AV, Hill M (2000):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workshop on sodium and blood pressure. A critical review of current scientific evidence. Hypertension 35(4): 858- 863 

  3. Christine G (2001): Don't pass the salt. Time 157(issue 2): 141 

  4. Cindy M (1998): The shakedown on sodium. Current Health 24(5): 22-24 

  5. Cook NR, Cohen J, Hebert PR, Taylor JO, Hennekens CH (1995): Implications of small reductions in diastolic blood pressure for primary prevention. Arch Intern Med 155(7): 701-709 

  6. Dahl LK (1997): Salt intake and hypertension. In: Hypertension: physiopathology and Treatment. 548-559. ed by Genest J, Koiw E, Kuchel E, McGraw-Hill Book Co., N. Y 

  7. Elliott P, Stamler J, Nicholas R (1996): Intersalt revisited : further analysis of 24-hour sodium excretion and blood pressure within and across populations. BMJ 312(7041): 1249-1253 

  8. Frigly MJ (1983): Estimates of sodium and potassium intake. Ann Intern Med 98(5 pt 2): 792-799 

  9. Glanz K, Rimer BK, Lewis RM (2002):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pp49-68, Jossey-Bass 

  10. Heinich R, Molenda H, Russel J, Smadino S (1996): Instructional media and the new technologies for learning. Macmillan Publishing Co., New York 

  11. Howe P (2000): Why are we ignoring the salt guideline?. Aust J nutr Diet 57(4): 225-226 

  12. Itoh R, Suyama Y, Oguma Y, Yokota F (1999): Dietary sodium, independent determinant for urinary deoxypyridinoline in elderly women. A cross-sectional study on the effect of dietary factors on deoxypyridinoline excretion in 24-h urine specimens for 763 free-living healthy Japanese. Eur J Clin Nutr 53(11): 886-890 

  13. Kim YS, Paik HY (1987): Measurement of the intake in Korean adult females. Korean J Nutr 20(5): 341-349 

  14. Kore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6):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 

  15. Lee YK, Lee JJ, Lee HY, Shin EK (2005): Health promotion report of Daegu metropolitan city in 2005 

  16. Lee YK, Lee JJ, Lee HY, Shin EK (2006): Health promotion report of Daegu metropolitan city in 2006 

  17. Mattes RD (1984): Salt taste and hypertension: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J Chron Dis 37(3): 195-208 

  18.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3): Dietary target for Korean, 2003 Health plan 2010 

  19. Nancy RC, Jeffrey AC, Eva O, Julie EB, Kathryn MR, Shiriki KK, Lawrence JA, Paul KW (2007): Long term effects of dietary sodium reduction on cardiovascular disease outcomes: observational follow-up of the trials of hypertension prevention (TOHP). BMJ 334(7599): 885-892 

  20. National Statical Office (2006): Korea Statistical Yearbook Repiblic of Korea 

  21. Shin EK, Lee HJ, Ahn MY, Lee YK (2008):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validity of salty taste assessment tool, Korean J Nutr 41(2): 184-191 

  22. Son SM, Lee KH, Kim KW, Lee YK (2007): Practice of nutrition education and counselling - focus on child and adolescent, pp10- 11, Life Science, Seoul 

  23. Tsugane S (2005): Salt, salted food intake, and risk of gastric cancer: epidemiologic evidence. Cancer Sci 96(1): 1-6 

  24. Vollmer WM, Sacks FM, Ard J, Appel LJ, Bray GA, Simons-Morton DG, Conlin PR, Svetkey LP, Erlinger TP, Moore TJ, Karanha Njeri (2001): Effect of diet and sodium intake on blood pressure: subgroup analysis of the DASH-Sodium trial. Ann Intern Med 135(12): 1019-1028 

  25. Wardener de HE, MacGregor GA (2002): Harmful effects of dietary salt in addition to hypertension. J Hum Hypertens 16(4): 213-223 

  26. Whelton PK, Appel LJ, Espeland MA, Applegate WB, Ettinger WH Jr, Kostis JB, Kumanyika S, Lacy CR, Johnson KC, Folmar S, Cntler JA (1998): Sodium reduction and weigt loss in the treatment of hypertension in older person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honpharmacologic intervetions in the elderly (TONE). TONE Collaboratine Research Group. JAMA 279(24): 839-846 

  27. Whelton PK, He J, Appel LJ, Cutler JA, Havas S, Kotchen TA, Roccella EJ, Stout R, Vallbona C, Winston MC, Karimbakas J; National High Blood Pressure Education Program Coordination Committee (2002): Primary prevention of hypertension: clinical and public health advisory from The National High Blood Pressure Education Program. JAMA 288(15): 1882-1888 

  28. 윤은경 (2005): 영양교육용 콘텐츠의 개발과 활용, 2005년도 영 양취약집단 영양교육용 콘텐츠개발 세미나자료집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