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월드컵공원 하늘공원지구 현존식생 및 초본식생구조 변화연구
Change of Actual Vegetation and Herbaceous Vegetation Structure of Haneul Park District, in World Cup Park, Seoul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36 no.1, 2008년, pp.38 - 48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김지석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배정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이경재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herbaceous vegetation structure of Haneul Park District in World Cup Park, which had previously been used as a landfill for 15 years. The survey was carried out through actual vegetation and vegetation structures from 2003 to 2006, biannually. Firstl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늘공원지구 식재종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관리지역은 지속적 관리로 억새가 세력을 유지하고 있으나 띠는 자연발생종에게 피압되고 있어 띠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자연발생종을 지속적으로 제거하거나 띠보다 관리가 용이한 식물을 식재하여 관리해야 할 것이다.
  •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연구가 진행된 바 없는 식재 및 파종으로 조성된 초지를 관리지역과 비관리지역으로 구분하여 식생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하늘공원지구의 초본식생 특성을 바탕으로 식재종 문제와 관리방안을 제시하여 향후 초지 조성 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김광제, 김지홍(2000) 임도 절토사면의 침입 식생에 대한 계량 생태학적 분석. 삼림과학연구 16: 1-16 

  2. 김기대(2001) 서울 수도권 지역 쓰레기 매립지의 생태고조와 생태학적 복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생명과학부 이학박사학위논문 

  3. 나영은, 노기안, 이상범, 한민수, 박무언(1996) 휴경답 생태계의 토양 특성변화와 식생의 생태 천이. 한국토양비료학회지 29(2): 199-206 

  4. 박근제, 이종경, 윤세형, 김맹중, 김정갑(1998) 관리를 중단한 산지초지의 생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II. 관리를 중단한 산지초지의 식생천이에 관한 연구. 한국초지학회지 18(4): 337-344 

  5. 박수현(1998) 서울 난지도의 귀화식물에 관한 연구. 자연보존 106: 10-14 

  6. 박영순, 송호경, 이선, 이영숙(2001) 계룡산국립공원 계곡부 식생의 구조와 DCCA에 의한 식생과 환경과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임학회지 90(3): 249-256 

  7. 서울특별시(2002) 난지도 생태공원 조성공사 -준공도면-. 서울특별시. 도면번호 L-64, 65, 66, 67 

  8. 서울특별시(2003) 월드컵공원 건설지. 서울특별시 공원녹지관리사업소 

  9. 송호경, 박관수, 이미정, 김효정, 지윤위, 이준우(2003) 화강암질 풍화토 절토비탈면의 자생식물 선정 -충청도와 경상북도 임도를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6(5): 48-58 

  10. 여환주, 이상필, 백난영, 이재근(2005) 난지도 쓰레기 매립지 비탈면 생태복원 특성에 관한 연구 -자연표토복원공법과 원지반식생정착공법 시공지역을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8(3): 1-12 

  11. 오구균, 지용기(2001) 산림 벌채적지의 6년간 식생구조 변화(I) -광양시 백운산 연습림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임학회지 90(6): 673-682 

  12. 오구균, 최송현, 김성현, 최우경(2005) 월악산국립공원의 산림군집구조 -영봉 및 도락산 일원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9(2): 90-98 

  13. 우보명, 김남춘, 김경훈, 전기성(1996) 고속도로 절토비탈면의 식생천이과정에 관한 연구 -중부고속도로를 중심으로-. 한국임학회지 85(3): 347-359 

  14. 유영한, 이창석(2003) 제주도 저지대 묵밭 식물군락의 2차 천이. 한국생태학회지 26(4): 209-214 

  15. 이경재, 김정호, 기경석, 한봉호(2006b) 서울시 남산 주요 식생군락의 11년간(1994-2005년) 식생구조 변화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4): 448-463 

  16. 이경재, 오충현, 김지석(1997) 난지도 안정화공사 이후 생태계 복원을 위한 현존식생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1(1): 126-132 

  17. 이경재, 조재창, 우종서(1989) Ordination 및 Classification 방법에 의한 가야산지구의 식물군집구조분석. 응용생태연구 3(1): 28-41 

  18. 이경재, 최진우, 최운규, 한봉호(2006a) 가야산국립공원 홍류동 계곡 소나무림의 생태적 특성 및 15년간(1989년-2004년) 식생구조 변화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2): 188-199 

  19. 이경재, 한봉호(1998) 부천시 산림지역 아까시나무림 식물군집구조를 고려한 식생관리 모델. 한국조경학회지 26: 28-37 

  20. 이경재, 한봉호, 이옥하(1998) 설악산국립공원 자양천지역 소나무림 군집구조 및 생육거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1(4): 493-505 

  21. 이규송, 김준호(1995) 화전 후 묵밭의 식생 천이 진행에 따른 종조성의 변화. 한국생태학회지 18(2): 275-283 

  22. 이규송, 김준호(1998) 묵밭에서 교란처리구배에 따른 중간교란가설의 검증. 한국생태학회지 21(3): 233-241 

  23. 이규송, 정연숙, 김석철, 신승숙, 노찬호, 박상덕(2004) 동해안 산불 피해지에서 산불 후 경과 년 수에 따른 식생구조의 발달. 한국생태학회지 27(2): 99-106 

  24. 이미정, 이준우, 전권석, 김효정, 최윤호, 정도현, 송호경(2003) 임도사면의 생태적 녹화를 위한 자생식물 선정 -강원도지역 임도를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6(4): 24-32 

  25. 이영로(1996) 원색한국식물도감. 교학사 

  26. 이창복(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27. 이창석, 박현숙, 유영한, 홍선기(1998) 묵논의 식생천이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자연과학논문집 10: 29-43 

  28. 조영호, 김원(1983) 팔공산 내학동일대의 산화적지의 이차식생과 천이. 한국생태학회지 6(1): 22-32 

  29. 조우(1995) 도시녹지의 생태적 특성분석과 자연성 증진을 위한 관리모형 -서울시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252 

  30. 최송현, 권전오, 민성환(1996) 오대산 국립공원 노인봉지역 식물군집구조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9(2): 156-165 

  31. Armesto, J. J. and S. T. A. Pickett(1986) Removal experiments to test mechanisms of plant succession in oldfields. Vegetatio 66: 85-93 

  32. Bard, G. E.(1952) Secondary succession on the Piedmont of New Jersey. Ecological Monographs 22(3): 195-215 

  33. Carson, W. P. and G. W. Barrett(1988) Succession in old-field plant communities: Effection of contrasting types of nutrient enrichment. Ecology 69(4): 984-994 

  34. Corbet, S. A.(1995) Insect, plants and succession: advantages of long term set-aside. Agriculture, Ecosystems Environment 53: 201-217 

  35. Hansson, M. and H. Hagelfors(1998) Management of permanent set-aside on arable land in Sweden. J. Appl. Ecol. 35: 758-771 

  36. Hironaka, M. and E. W. Tisdale(1963) Secondary succession in annual vegetation in southern Idaho. Ecology 44(4): 810-812 

  37. Inouye, R. S., N. J. Huntly, D. Tilman, J. R. Tester, M. Stillwell and K. C. Zinnel(1987) Old-field succession on a Minnesota sand plain. Ecology 68(1): 12-26 

  38. Kosola, K. R. and K. L. Gross(1999) Resource competition and suppression of plants colonizing early successional old fields. Oecologia 118: 69-75 

  39. Oosting, H. J.(1942) An ecological analysis of the plant commuties of Piedmont, North Carolina. The American Midland Naturlaist 28(1): 1-126 

  40. Pickett, S. T. A.(1982) Population patterns through twenty years of oldfield succession. Vegetatio 49: 45-59 

  41. Wilcox, A.(1998) Early plant succession on former arable land. Agriculture, Ecosystems and Environment 69: 143-157 

  42. 長田武正(1976) 原色日本歸化植物圖鑑. 東京. 保育社: 4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문의처: helpdesk@kisti.re.kr전화: 080-969-4114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