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수의 개념에 대해 아직 배우지 않은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비형식적 지식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이러한 비형식적 지식이 분수 개념 지도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등분할, 동치분수, 단위 분수의 크기 비교에 대한 면담 문항을 제시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분수를 배우지 않은 학생들은 분수와 관련된 활동을 할 때 비형식적 지식을 가지고 문제를 해결하며, 그 형태는 매우 다양하다는 것과 둘째, 분수의 기초 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비형식적 지식 중에는 올바른 지도를 통하지 않을 경우 오개념을 유도할 수 있는 것도 존재한다는 것, 그리고 셋째, 분수의 개념에 대한 확고한 이해를 위해 학생들의 다양한 비형식적 지식을 분수 개념 지도에 활용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분수의 개념에 대해 아직 배우지 않은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비형식적 지식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이러한 비형식적 지식이 분수 개념 지도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등분할, 동치분수, 단위 분수의 크기 비교에 대한 면담 문항을 제시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분수를 배우지 않은 학생들은 분수와 관련된 활동을 할 때 비형식적 지식을 가지고 문제를 해결하며, 그 형태는 매우 다양하다는 것과 둘째, 분수의 기초 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비형식적 지식 중에는 올바른 지도를 통하지 않을 경우 오개념을 유도할 수 있는 것도 존재한다는 것, 그리고 셋째, 분수의 개념에 대한 확고한 이해를 위해 학생들의 다양한 비형식적 지식을 분수 개념 지도에 활용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and analyze students' informal knowledge before they learned formal knowledge about fraction concepts and to see how to apply this informal knowledge to teach fraction concepts. According to this purpose, research questions were follows. 1) What is the stud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and analyze students' informal knowledge before they learned formal knowledge about fraction concepts and to see how to apply this informal knowledge to teach fraction concepts. According to this purpose, research questions were follows. 1) What is the students' informal knowledge about dividing into equal parts, the equivalent fraction, and comparing size of fractions among important and primary concepts of fraction? 2) What are the contents to can lead bad concepts among students' informal knowledge? 3) How will students' informal knowledge be used when teachers give lessons in fraction concepts? To perform this study, I asked interview questions that constructed a form of drawing expression, a form of story telling, and a form of activity with figure. The interview questions included questions related to dividing into equal parts, the equivalent fraction, and comparing size of fraction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when students before they learned formal knowledge about fraction concepts solve the problem, they use the informal knowledge. And a form of informal knowledge is vary various. Second, among students' informal knowledge related to important and primary concepts of fraction, there are contents to lead bad concepts. Third, it is necessary to use students' various informal knowledge to instruct fraction concepts so that students can understand clearly about fraction concep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and analyze students' informal knowledge before they learned formal knowledge about fraction concepts and to see how to apply this informal knowledge to teach fraction concepts. According to this purpose, research questions were follows. 1) What is the students' informal knowledge about dividing into equal parts, the equivalent fraction, and comparing size of fractions among important and primary concepts of fraction? 2) What are the contents to can lead bad concepts among students' informal knowledge? 3) How will students' informal knowledge be used when teachers give lessons in fraction concepts? To perform this study, I asked interview questions that constructed a form of drawing expression, a form of story telling, and a form of activity with figure. The interview questions included questions related to dividing into equal parts, the equivalent fraction, and comparing size of fraction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when students before they learned formal knowledge about fraction concepts solve the problem, they use the informal knowledge. And a form of informal knowledge is vary various. Second, among students' informal knowledge related to important and primary concepts of fraction, there are contents to lead bad concepts. Third, it is necessary to use students' various informal knowledge to instruct fraction concepts so that students can understand clearly about fraction concepts.
따라서 학생들은 분모가 늘어나면 양이 줄어든다는 것도 이해하기 어려워지고 분수의 크기에 대한 감각도 없이 결국 분수의 의미를 외우게 되는 것이다. 신준식(1996)도 분수 학습의 어려움으로 분수는 여러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고 이것을 모두 이해하고 그것들 사이의 상호 관계도 파악할 수 있어야 분수 개념이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학생들은 분수의 개념을 어렵게 생각한다고 말하고 있다. 신준식(1996)은 학생들이 일상 생활에서 자주 경험하는 개념을 활용하지 않고 학생들이 경험하여 비형식적으로 획득하고 있는 분수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활용하지 않는다는 점 또한 언급하고 있다.
분수를 부분-전체의 개념으로 이해하기 위해 교과서의 분수 학습에 무엇을 가장 먼저 제시하는가?
분수를 부분-전체의 개념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연속량을 같은 크기를 갖는 조각으로 분할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교과서에서는 등분할이 분수의 학습에서 가장 먼저 제시되고 있으며, 부분-전체의 개념은 분수의 이름 도입에 적절하기 때문에 분수의 개념을 도입할 때 이용하고 있다. 동치 분수에 대한 이해는 분수 개념의 이해를 바탕으로 해야 한다.
비형식적 지식의 특징은 무엇인가?
이러한 것을 통하여 비형식적 지식의 특징을 살펴보면, 첫째 어린이들의 비형식적 전략은 기호 조작에 의존하기 보다는 구체적 상황이나 문맥을 통해 시각적으로 이루어진다(Hiebert & Behr, 1988). 둘째, 비형식적 지식은 구체적이고 직관적이며, 특수하고 일상의 언어를 사용한다(백선수, 2004). 셋째, 학생들의 비형식적 지식은 종종 구체물이나 기억에 의존하며 수가 점점 커지면서 한계를 지닌다(이진영, 1998).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