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탄소나노튜브 복합재의 수소저장특성
Hydrogen Storage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 Composites 원문보기

한국분말야금학회지 = Journal of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v.15 no.3, 2008년, pp.188 - 195  

안중호 (안동대학교 신소재공학부) ,  장민규 (안동대학교 신소재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arbon nanotube (CNT)/$Mg_2Ni$ composites were synthesized to enhance the hydrogen storage properties. The emphasis was made on the effect of different shortening methods of CNTs on the open-tip structure and the resulting properties. The use of open CNTs as a starting material resulted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수소저장재료로 부각되고 있는 탄소나노튜브와 마그네슘 합금인 Mg2Ni^ 두재료를 복합화하여 수소저장 특성을 조사하였다. 특히 네 종류의 각기 다른 탄소나노튜브 단편화 전처리 공정이 최종 CNT/Mg2Ni 복합재의 수소저장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첨단 수소저장재료로 많이 연구되고 있는 위의 두 재료를 복합화하여 그 수소저장 특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원재료인 탄소나노튜브는 염가의 양산이 가능한 CVD 방법으로 직접 제조하여 사용하였으며, 마그네슘 합금으로는 고에너지 볼밀링을 이용해 합성한 NfeNi를 사용하였다.
  • 일반적으로 Mg계 합금은 표면의 안정 산화물이 수소저장 특성을 떨어뜨리는 주요 원인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강한 Mg-0 결합을 완화시키는 미량의 Pt 첨가둥 별도의 표면 활성 방안이나 공정이 필요하다. 본연구는 초기 상태가 각기 다른 CNT와의 복합화 효과를 보기 위한 것이 주요 목적이었기 때문에 의수소 저장능을 향상 시키기 위한 별도의 최적화 처리를 행하지 않았다. 전기화학적 방전 특성으로 측정한 MgzNi만의 용량은 110 mAh/g으로 CNT/Mg2Ni 복합재에 비해 낮았다.
  • 그 외에 흘 보다는 덜 중요하나 튜브의 외벽도 높은 표면적과 결합에너지의 관점에서 볼 때간과 할 수 없는 중요한 흡착위치로 해석하고 있고, 다중벽 튜브의 경우 추가로 그라펜 층(graphene layei沪의 층간 간극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런 점을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CNT의 단편화를 통해 분말의 단면적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특히 튜브 선단부를 개봉하여 수소 저장능이 향상되는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그림 4의 수소기체 흡장값과 그림5의 전기화학적 측정치로 미루어 CNT의전처리 방법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었다.

가설 설정

  • 실제로 그림 3d의 523 K, 1 MPa 압력에서의 수소 흡장속도를 비교해보면 이력폭이 큰 C1 에 비해 폭이 작은 C2훨씬 빠르게 나타났다. 한편, 523 K 둥온곡선의 기울기를 비교해 보면(그림3 a, b), C2 시편이 C1비하여 다소 큰 것을 알 수 있다. 압력-조성 등온곡선 상의 기울기는 수소가 비평형 결정구조나 결함부 위치에 흡장 되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이.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S. Niyogi, M. A. Hamon, H. Hu, B. Zhao, P. Bhowmik, R. Sen, M. E. Itkis and R. C. Haddon: Acc. Chemical Research, 35 (2002) 12 

  2. P. M. Ajayan and O. Z. Zhou: Carbon Nanotubes, 80 (2001) 391 

  3. M. Damnjanovic, I. Milosevic, T. Vukovic and R. Sredanovic: Phys. Rev. B, 60 (1999) 2728 

  4. J.-P. Salvetat-Delmotte and A. Rubio: Carbon, 40 (2002) 1729 

  5. C. Zhou, K. Jing, E. Yenilmez and H. Dai: Science, 290 (2000) 1552 

  6. H. W. Postma, T. Teepen, Z. Yao, M. Grifoni and C. Dekker: Science, 293 (2001) 76 

  7. A. Bachtold, P. Hadley, T. Nakanishi and C. Dekker: Science, 294 (2001) 1317 

  8. G. L. Che, B. B. Lakshmi, C. R., Martin and F. R. Fisher: Langmuir, 15 (1999) 750 

  9. A. Chambers, C. Park, R. T. K. Baker and N. M. Rodriguez: J. Phys. Chem. B, 122 (1998) 4253 

  10. J. F. Colomer, C. Stephan, S. Lefrant, G. Van Tendeloo, I. Willems, Z. Konya, A. Fonseca, Ch. Laurent and J. B. Nagy: Chem. Phys. Lett., 317 (2000) 83 

  11. J. M. Bonard, H. Kind, T. Stockli and L. O. Nilsson: Solid-State Electron., 45 (2001) 893 

  12. F. Liu, X. Zhang, J. Cheng, J. Tu, F. Kong, W. Huang and C. Chen: Carbon, 41 (2003) 2527 

  13. A. Zuttel, P. Sudan, P. Mauron, T. Kiyobayashi, C. Emmenegger and L. Schlapbach: Int. J. of Hydrogen Energy, 27 (2002) 203 

  14. A.C. Dillon, K. E. H. Gilbet, P. A. Parilla, J. L. Alleman, G. L. Hornyak, K. M. Jones and M. J. Heben: C080401 (2002) 3393 

  15. M. Hirscher, M. Becher, M. Haluska, A. Quintel, V. Skakalova, Y. M. Choi, U. Dettlaff-Weglikowska and S. Roth and J. Fink: J. of Alloys and Compounds, 330 (2002) 654 

  16. J. J. Reiley and R. H. Wiswall: Inorg. Chem., 6 (1967) 2220 

  17. G. Friedlmeier: Fortschr. Ber. VDI, 5 (1997) 1 

  18. C. Iwakura, R. Shinya, K. Miyanohara, S. Nohara and H. Inoue: Electrochem. Acta, 46(2001) 2781 

  19. H. Inoue, T. Ueda, S. Nohara, N. Fujita and C. Iwakura: J. Electrochem., Acta, 43 (1998) 2215 

  20. Z. S. Wonsky: Int. Mater. Rev., 46 (2001) 1 

  21. X. Xiao, X. Wang, L. Gao, L. Wang and C. Chen: J. Of Alloys & Compounds, 413 (2006) 312 

  22. X. H. Chen, H. S. Yang, G. T. Wu, M. Wang, F. M. Deng, X. B. Zhang and W. Z. Li: J. of Crystal Growth, 218 (2000) 57 

  23. Y. Wang, J. Wu and F. Wei: Carbon, 41 (2003) 293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