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참죽나무 잎 추출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of Cedrela sinensis leaves 원문보기

한국생물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v.23 no.2, 2008년, pp.164 - 168  

신희준 (조선대학교 공과대학 생명화학공학과) ,  전영진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  신현재 (조선대학교 공과대학 생명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를 통하여 요즘 기능성 측면에서 관심을 끌고 있는 참죽나무 잎의 열수추출물과 유기용매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능과 면연증강능을 확인하였다. 열수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46.5-59.6 mg/100 g으로 유기용맹 추출물보다 그 수치가 더 높았다. 열수 추출물과 유기용맹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2,2-diphenyl-picryl-hydraryl (DPPH) radical 소거활성으로 6-33%로 기준물질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참죽나무 잎 추출물의 면역증강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박테리아 감염에 대항하는 숙주방어체계에 필요한 NO 생성능을 확인하였다. 열수 추출물은 마크로파지 세포주인 RWA 264.7의 NO 생성을 증가시켰다. 그러나 유기용매추출물은 별다른 변화를 가져오기 않았다. 항염효과를 증명하기 위하여 인지질다당류 (LPS) 유발 NO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NO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증명하였다. 즉, 면역증강능의 확인 실험을 통하여 참죽나무 잎의 열수추출 분획에 대식세포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성분이 포함되어 있고, 유기용매 추출 분획에서는 대식세포의 활성을 감소시키는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미루어 보았을 때, 참죽이 한 가지 식물인데도 불구하고 유효 성분에 대한 추출 방법에 따라 상이한 면역 증강 및 항균, 항염 작용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content of total polyphenol, antioxidative and immune activities of the extracts of Cedrela sinensis leaf. The content of total polyphenol of water extracts ranged from 46.5-59.6 mg/100 g, which was higher than other extracts using organic solvents such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구하여 산정하였다. DPPH의 농도는 MrOH에 희석하여 0.6 nN로 제조하여 대조군으로 사용한 butylated hydroxyanisole (BHA), 비탄민 E, 비타민 C를 사용하였고 각각 1/10, 1/20, 1/100, 1/125, 1/165, 1/250, 1/500, 1/1000로 희석한 대조군과 참죽나무 잎 추출물을 1/10로 희석한 시료를 사용하였다(1。). 제조된 0.
  • 또한 채취한 시기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Fig. 3에서 참죽나무로부터 주출한 시료에서 NO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각 분획을 LPS와 같이 생쥐 대식세포 주인 RAW 264.7에 처리하였다. 참죽나무로부터 열수 추출한 분획에서(m-H4) NO 생성의 증가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감소효능은 관찰되지 않았다.
  • EtOAc (Al, A2)나 hexane (HEX1)으로 추출한 시료에서는 LPS에 의한 NO 증가 활성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 4에서 참죽나무로부터 유기용매로 추출한 시료에서 NO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는지 정확하게 검증하기 위하여 유기용매 분획을 좀 더 희석하여 LPS와 같이 생쥐대식세포주인 RAW 264.7에 처리하였다. EtOAc (Al, A2)와 hexane으로 추출한 시료에서는 LPS에 의한 NO 증가 활성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이 water layer는 또 다시 EtOAc layer과 water layer로 분획하여 최종 추출물을 얻었다(Scheme 1). 면역증강 활성의 측정을 위해서 열수추출 분획과 EtOH추출 분획 및 기타 분획은 필요에 따라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를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열수추출 분획의 경우 日로, 주정추출 후 분리된 헥산 추출분획의 경우 HEX로, EtOAc 분획의 경우 A로 표시하였다.
  • 본 연구를 통하여 요즘 기능성 측면에서 관심을 끌고 있는 참죽나무 잎의 열수추출물과 유기용매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능과 면연증강능을 확인하였다. 열수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46.
  • 최근에는 여러 종류의 기능성 물질을 연구로 참죽나무 잎의 조리 시 quercitrin의 함량 변화(4), 화학성분 및 생리활성(5), 항염증 및 진통효과(6), 참죽나무 잎에서 flavonoid 성분의 분리(7), 계절에 따른 flavonoid 화합물의 변화(8) 등이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실제 식품에 적용 가능한 추출물을 대상으로 항산화능과 면역증강능을 연구한 사례는 아직 없다. 연구에서는 참죽나무 잎의 유용물질을 식품화하기 위한 전 단계로서 열수추출시료와 EtOH추출시료를 가지고 총 폴리페놀 함량을 비교하였으며 생리활성 중에서 항산화활성은 2, 2-dphenyl-picrykhydrazyl (DPPH) 에 대한 전자공여능 (electron donating ability)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조사하였으며, nitric oxide (NO) 활성측정을 통하여 면역증강능을 확인하였다.
  • 시료의 항산화 활성은 시료 첨가 후 시료의 환원력 평가를 2, 2-diphenyl-picryl-hydrazyl (DPPH)의 흡광도 감소에 대한값을 구하여 산정하였다. DPPH의 농도는 MrOH에 희석하여 0.
  • 일반적으로 플라보노이드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DPPH법을 사용하게 되는데, DPPH 는 짙은 자주색을 나타내며 그 자체가 질소 중심원력 의라디칼로 구성되어 있다. 시료의 항산화 활성은 시료 첨가 후 시료의 활성평가를 DPPH 흡광도 변화에 대한 값을 구하여 산정하였다.
  • 열수주줄의 경우 증류수 1 L을 이용하여 진탕 하였으며 진탕 후 원심분리 하여 추출액은 각각 550 ml (1 h 진탕)와 740 ml (2 h 진탕)가 남았으며, 80% 주정 추출의 경우 추출 후에 각 분획은 회전식 진공증발기로 분리 농축하였고 그 결과는 Table 1에 나타난 바와 같다.
  • 진행하였다. 우선 증류수를 이용하여 열수주줄한 경우는, 분쇄한 참죽나무 잎 분말 100 g에 증류수 1 L를 가하여 “1 h 진탕한 것”과 “2 h 진탕한 것”으로 나누었다. 진탕 후 냉장 보관으로 침전시킨 후 원심분리 (12,000 rpm, 15 min) 하여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 이 실험에서는 추출용매를 증류수와 EtOH 두 가지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우선 증류수를 이용하여 열수주줄한 경우는, 분쇄한 참죽나무 잎 분말 100 g에 증류수 1 L를 가하여 “1 h 진탕한 것”과 “2 h 진탕한 것”으로 나누었다.
  • 희석액 4 ml에 Folin reagent 1 ml을 가하고 5 min간 vortexing 시킨 후 20% NaCO3 1 ml 용액을 가하였다. 이 혼합액을 1 h 동안 정치 후 분광광도계 (Shhnadzu Mini 1240, Japan)를 사용하여 640 nm에서 흡광도를 즉정하고 각 대조시료를 측정하여 표준곡선으로 총 폴리페놀 함량을 구하였다. 추출단계 중 3번째 단계의 시료를 대상으로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여 나타내었다(9).
  • 자가면역기능 향상에 대한 부분을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에 서 분비 되는 면 역인자인 아질산염 (nitrite)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RAW 264.7 cells을 96-well 배양접시를 이용하여 5 x 105 cells/ml 로 조절하여 0.1 ml씩 분주한 다음, 24 h동안 37℃에서 lipopolysaccharide (LPS) 또는 참죽 추출물로 자극시켰다. 분리된 상층액과 Griess 시약 (1% sulfanilamide, 0.
  • 열수 추출물과 유기용맹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2, 2-diphenyLpicryl-hydrazyl (DPPH) radical 소거활성으로 6-33%로 기준물질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참죽나무 잎 추출물의 면역증강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박테리아 감염에 대항하는 숙주방어체계에 필요한 NO 생성능을 확인하였다. 열수 추출물은 마크로파지 세포주인 RWA 264.
  • 참죽나무 잎을 계절별로 채취하여 Scheme 1에 따라 추출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일반적으로 플라보노이드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DPPH법을 사용하게 되는데, DPPH 는 짙은 자주색을 나타내며 그 자체가 질소 중심원력 의라디칼로 구성되어 있다.
  • Chlorogenic acid와 caffeic acid을 기준으로 하여 산출한 폴리페놀 함량 또한 상반기 채취한 참죽나무의 여린 잎이 하반기 채취한 참죽나무 잎 보다 근소한 차이로 더욱 많은 함량이 검출되었다(data not shown).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표준물질을 caffeic acid, chlorogenic acid, catechin을 가지고 상대적인 값을 산출하였는데, 표준물질에 따라 근소한 차이로 서로 다른 값들이 도출되었다(data not shown).
  • 1% naphthylenthylenediamine dihydrochloride, 2% phosphoric acid)을 같은 부피로 섞고 실온에서 10분 동안 배양시켰다. 표준곡선을 만들기 위해 NaNCh를 사용하고, 아질산염 생산은 550 胴에서 흡광도로 판독해서 측정하였다.
  • 그러나 유기용매추출물은 별다른 변화를 가져오기 않았다. 항염효과를 증명하기 위하여 인지질다당류 (LPS) 유발 NO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NO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증명하였다. 즉, 면역증강능의 확인 실험을 통하여 참죽나무 잎의 열수추출 분획에 대식세포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성분이 포함되어 있고, 유기용매 추출 분획에서는 대식세포의 활성을 감소시키는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대상 데이터

  • RAW 264.7 세포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Bethesda, MD,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세포들은 10% 소태아혈청 (fetal bovine serum), 2 mM의 L-이utamine, 100 U/ml 페니실린과 100 陽/ml 스트렙토마이신이 함유된 DMEM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 대조군으로는 BHA, 비타민 E, 비타민 C를 40 ㎛/ml 농도로 사용하였다. 참죽나무 잎추출물의 DPPH 소거 활성도는 평균적으로 대조군의 20% 수준으로 나타났다.
  • 본 실험에 사용된 참죽나무 잎은 경상남도 함양군에서 2006년 5월경 (전반기)에 재배한 것과 10월경 (후반기)에재배한 것을 수집하여 수세 후 그늘에서 말려 분쇄하여 사용하였다.
  • 7 세포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Bethesda, MD,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세포들은 10% 소태아혈청 (fetal bovine serum), 2 mM의 L-이utamine, 100 U/ml 페니실린과 100 陽/ml 스트렙토마이신이 함유된 DMEM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세포들은 37℃에서 5% CO2 존재 하에 배양하였다.
  • 참죽나무 잎 추출물의 면역증강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박테리아 감염에 대항하는 숙주방어체계에 필요한 NO 생성능을 확인하였다. 열수 추출물은 마크로파지 세포주인 RWA 264.7의 NO 생성을 증가시켰다. 그러나 유기용매추출물은 별다른 변화를 가져오기 않았다.
  • Germany)를 사용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의 측정에는 F이in-Ciocalteu's phenol reagent (SIGMA-Aldrich Korea)를 사용하였으며 항산화력의 측정에는 2, 2-diphenyl-picryl-hydrazyl (DPPH, SIGMA-Aldrich Korea)를 사용하였다 세포배양에 사용된 시약은 Gibco BRL (Grand Island, NY)에서 구입하였다.

이론/모형

  • 6 nN로 제조하여 대조군으로 사용한 butylated hydroxyanisole (BHA), 비탄민 E, 비타민 C를 사용하였고 각각 1/10, 1/20, 1/100, 1/125, 1/165, 1/250, 1/500, 1/1000로 희석한 대조군과 참죽나무 잎 추출물을 1/10로 희석한 시료를 사용하였다(1。). 제조된 0.6 mM DPPH 1 ml와 각각의 시료 4 ml를 가한 후시간대 별로 (10, 12, 15, 20, 30 min)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시료군 흡광도와 무 첨가군 흡광도를 활성 계산법에 의해 산출하여 항산화 결과 값을 얻었다(11).
  • 총 페놀의 함량측정은 Folin-Dennis법에 준하여 실시하였으며, 기준 물질은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catechin을 사용하였고 각각 i/ioo, 1/125, 1/200, 1/250, 1/400, 1/500로 희석한 대조군과 참죽나무 잎 추출물의 1/10 희석액을 사용하였다. Caffeic acid의 경우 물에 잘 녹지 않아 용해 시에 sonicator를이용하여 분산시켰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Kim, H. Y., Y. J. Kwon, Y. E. Kim, and B. Nahmgung (2004), Changes of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ster scaber thunb extracts with different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conditions, Korean J. Food Preservation 11, 88-93 

  2. Pack, Y. H., G. Y. Jea (2004), Tree Story of Our Nation, 1st ed., p277, Ebilac Press, Seoul 

  3. Han, Y. B. (2003), Korean Wild Edible Plant Resources II, 1st ed., p297, Korea University Press, Seoul 

  4. Park, J. C., S. S. Chun, and S. H. Kim (1995), Changes on the quercitrin content in the preparation for the leaves of Cedrela sinensis, Korean J. Soc. Food. Sci. 11, 303-308 

  5. PArk, J. C., S. S. Chun, H. S. Young, and S. H. Kim (1993),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n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edible plants in Korea (II), J. Korean Soc. Food Nutr. 22, 581-585 

  6. Park, J. C., Y. B. Yu, J. H. Lee. and N. J. Kim (1994),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n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edible plants in Korea (VI), J. Korean Soc. Food Nutr. 23, 116-119 

  7. Park, J. C. and S. H. Kim (1995), Seasonal vari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the leaves of Cedrela sinensis, J. Korean Soc. Food Nutr. 24, 578-581 

  8. So, E. M., E. J. jung, C. C. Shin, S. H. Kim, S. O. Beak, Y. M. Kim. and I. K. Kim (2006), Antioxidant activities of Pu-erh tea, Anal. Sci. Technol. 19, 39-44 

  9. Chi, H. Y., K. H. Kim, W. S. Kong, S. L. Kim, J. A. Kim, I. M. Chung and J. T. Kim (2005),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mpounds of P. eyngii spp. extracts, J. Crop Sci. 50, 216-219 

  10. An, B. J., M. J. Bae, H. J. Choi, Y. B. Zhang, T. S. Sung, and C. Choi (2002), Isolation of polyphenol compounds from the leaves of Korean persimmon(Diospyrus kaki L. Folinn),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5, 212-217 

  11. An, B. J. (2002), An Industrial Application for Functional Materials and Polyphenols from the Korean Persimmon Leaves, Food Preservation and Processing Industr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