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미백 작용에 관한 연구
Antioxidant Activity and Whitening Effect of Cedrela sinensis A. Juss Shoots Extracts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36 no.3, 2010년, pp.175 - 182  

김선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자연생명과학대학 정밀화학과) ,  김채린 (한성과학고등학교) ,  김현민 (한성과학고등학교) ,  공명 (한성과학고등학교) ,  이지희 (한성과학고등학교) ,  이현준 (한성과학고등학교) ,  임명선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자연생명과학대학 정밀화학과) ,  조나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자연생명과학대학 정밀화학과) ,  박수남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자연생명과학대학 정밀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과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기능성 화장품에서의 이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의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저해활성($FSC_{50}$)은 ethyl acetate 분획($3.54\;{\mu}g/mL$)과 aglycone 분획($2.15\;{\mu}g/mL$) 모두 지용성 항산화제인 (+)-$\alpha$-tocopherol ($8.98\;{\mu}g/mL$)에 비해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luminol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_2O_2$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참죽나무 추출물의 총항산화능은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0.15\;{\mu}g/mL$)과 aglycone 분획($0.12\;{\mu}g/mL$)에서 모두 L-ascorbic acid ($1.50\;{\mu}g/mL$) 보다 약 10배 더 큰 것으로 나타내었다.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의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을때 ethyl acetate 분획과 aglycone 분획 모두 농도 의존적($5{\sim}25\;{\mu}g/mL$)으로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Tyrosinase의 활성 저해 효과($IC_{50}$)는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과 aglycon 분획에서 각각 $48.00\;{\mu}g/mL$, $5.88\;{\mu}g/mL$으로 나타났으며 aglycone 분획의 경우 강력한 미백제인 arbutin ($226.88\;{\mu}g/mL$)에 비해 약 40배정도 더 우수한 활성을 갖는다. 이상의 결과들은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이 활성산소종을 소거하고 활성산소종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태양 자외선에 의해 손상된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가리키며, tyrosinase 저해활성으로부터 미백 기능성 화장품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antioxidative effects, inhibitory effects on tyrosinase of Cedrela sinensis extracts were investigated.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extract ($3.54\;{\mu}g/mL$) and aglycone fraction of extract ($2.15\;{\mu}g/mL$) showed more excellent free radical (1,1-dip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참죽나무 새순을 구입하여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과 분획을 제조하고 이들 추출물(혹은 분획)의 1O2으로 유도된 세포손상에 대한 보호활성과 free radical 소거활성, Fe3+-EDTA/H2O2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에 대한 총항산화능, 그리고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하여 ROS에 의한 피부 노화를 방지하는데 효과가 있는 항산화 화장품, 그리고 미백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활성산소종 중 생체 내에서 처리 가능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들에는 무엇이 있는가? 이들은 정상적 대사과정을 포함하는 다양한 생체반응, 자외선에 의한 광반응으로 생성될 수 있다[5-7]. O2·-와 H2O2는 반응성이 크지 않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생체 내에는 이들을 처리할 수 있는 효소(superoxide dismutase, catalase)가 발달되어 있으나 1O2,과 O2·-를 처리할 수 있는 효소는 생체 내에 존재하지 않는다. 특히 1O2은 수명이 짧은 해로운 분자이며, 주로 광증감반응으로 피부에서 생성되고, 광노화에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8].
활성산소종은 무엇인가? 자외선을 통해 생성되는 활성산소종(ROS)과 이로 인한 피부의 광산화적 손상과 광노화는 실질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활성산소종이란 단백질, 지질, DNA와 같은 세포 성분을 산화시키고, 산소장해를 일으키며 삼중항 상태의 산소(3O2)보다도 반응성이 훨씬 큰 산소종을 일컫는다[1-4]. 비라디칼종인 1O2, H2O2와 산소중심의 라디칼인 O2·-, ·OH, 그리고 이들 활성산소종과의 생체성분들과의 반응으로 발생된 ROO·, RO·, ROOH 및 HOCl 등이 활성산소종에 포함된다.
참죽나무 잎에는 어떤 화합물들이 함유되어 있는가? 참죽에는 카로틴 및 비타민 B와 비타민 C가 함유되어 있으며 칼슘과 칼륨도 다량 함유되어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14]. 또한 참죽나무 잎에는 (+)-catechin, quercetin, afzelin, quercitrin, isoquercitrin 등의 페놀성 화합물이 포함되어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15-17]. 참죽나무에 관한 또 다른 연구로는 종자성분 연구, 김치로 가공했을 때의 저장중의 화학성분의 변화, 참죽나무잎의 조리시 quercitrin의 함량 변화[18] 등의 연구가 보고 되어있을 뿐,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을 이용하여 피부 노화 과정에 깊이 관여하는 활성산소인 1O2으로 유도된 세포손상에 대한 항산화적 보호 작용이나 각종 ROS (H2O2, O2·- , ·OH 등)가 생성되는 계에서의 이들 ROS에 대한 총항산화능 및 미백작용에 관한 연구는 아직 되어있지 않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D. Harman, Free radical theory of aging, Mutat. Res., 275 (1992). 

  2. B. A. Jurkiewicz and G. R. Buettner, Ultraviolet light-induced free radical formation in skin: An electron paramagnetic resonance study, Photochem Photobiol., 59(1) (1994). 

  3. L. Packer, Ultraviolet radiation (UVA, UAB) and skin antioxidants, In Free Radical Damage and its Control, 239, C. A. Rice-Evans and R. H. Burdon, Elsivier Science B. V. (1994). 

  4. B. A. Jurkiewicz, D L. Bissett, and G. R. Buetter, Effect of topically applied tocopherol on ultraviolet radiation-mediated free radical damage in skin, J. Invest. Dermatol., 104(484) (1995). 

  5. E. Cadenas, Biochemistry of oxygen toxicity, Ann. Rev. Biochem., 58(79) (1989) 

  6. A. Naqui, B. Chance, and E. Cadenas, Reactive oxygen intermediate in biochemistry, Ann. Rev. Biochem., 55(137) (1986). 

  7. J. C. Fantone and P. A. Ward, Role of oxygen- derived free radicals and metabolites in leukocyte dependent inflammatory reaction, Ann. J. Path., 107(397) (1982). 

  8. A. Oikarinen, J. Kavonen, J. Uitto, and M. Hannuksela, Connective tissue alterations in skin exposed to natural and terapeutic UV-radiation, Photodermatology, 2(15) (1985). 

  9. C. Joshi, C. Carrarob, and A. Pathak, Involvement of reactive oxygen species in the oxidation of tyrosine and dopa to melanin and in skin tanning,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142(1) (1987). 

  10. J. M. McCord and I. Fridovich, Superoxide dismutase an enzymic function for erythrocuprein, J. Biol. Chem., 244(22) (1969). 

  11. A. L. branen, Toxicology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J. AOCS, 52, 59 (1975). 

  12. Y. J. Choi, How to use and methods of cultivation of wild greens, Osung, Seoul (1992). 

  13. K. Yoshimura, Irradiance heterogeneity within crown affects photosynthetic capacity and nitrogen distribution of leaves in Cedrela sinensis, Plant Cell Environ., 33(5) (2010). 

  14. M. H. Lee, J. K. Cho, K. S, Kim, B. Y. Kim, and K. S. Park, Survey on the content go calcium, copper, lead and zinc in edible herbs in Korea, Nongsa Sihom Yongu pogo, 25(69) (1983). 

  15. I. S. Lee, C. W. T. T, K. S. Song, Y. H. Seong, and K. H. Bae, Antioxidant constituents from the leaves of Cedrela sinensis A. Jus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4(5) (2006). 

  16. J. C. Park and S. H. Kim, Seasonal vari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the leaves of Cedrela sinensis, Korean J. Soc. Food Nutr., 24(4) (1995). 

  17. J. C. Park, H. S. Young, Y. B. Yu, and J. H. Lee,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n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edible plants in Korea(I), Yakkak Hoeji, 37(3) (1993). 

  18. J. C. Park, S. S. Chun, and S. H. Kim, Changes on the quercitrin content in the preparation for the leaves of Cedrela sinensis, Korean J. Soc. Food Sci., 11(3) (19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