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머위(Petasites japonicus) 엽병으로부터 항산화 물질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nt Substances from the Stems of Butterbur (Petasites japonicu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8, 2008년, pp.979 - 984  

김민영 (동아대학교 식품과학부) ,  이정현 (동아대학교 식품과학부) ,  황윤이 (동아대학교 식품과학부) ,  송경식 (경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전미라 (동아대학교 식품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머위 엽병에탄올 추출물을 용매 극성에 따라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및 n-butanol로 분배한 분획물에 대해 전자공여능, 지질과산화 억제능 및 lipoxygenase 저해효과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분획물 중 ethyl acetate 분획물의 경우 $100\;{\mu}g/mL$ 농도에서 전자공여능, 지질과산화 억제능 및 lipoxygenase 저해능에서 각각 65.41%, 37.04%, 50.67%로 가장 우수한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이를 근거로 하여 ethyl acetate 분획물로부터 머위 엽병의 항산화 활성 성분을 규명하기 위하여 open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화합물 PJ-4를 분리, 정제하였으며, 1H- 및 13C-NMR 분석을 통해 kaempferol로 동정하였다. 단리된 kaempferol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앞에서 언급한 세 가지 항산화 측정법을 통해 실험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특히 $100\;{\mu}g/mL$의 농도에서 전자공여능, TBARS에 의한 지질과산화 억제 및 lipoxygenase 저해실험에서 각각 65.76%, 43.47%, 58.60%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kaempferol은 머위 엽병의 항산화 활성에 있어서 기여하는 물질일 것으로 보이며, 이로써 머위엽병을 이용한 천연항산화제 개발 및 활용에 긍정적인 가능성을 제시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ems of P etasites japonicus were extracted with ethanol and then partitioned with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n-butanol and water, successively. The antioxidant potency of five crude fractions were determined using (1)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ssay, (2)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과산화지질은 oxygen radical이 세포막의 불포화지방산에 작용하여 생성되고, 세포막의 손상이나 세포괴사 등의 독성을 일으키며, 성인병, 암, 염증 및 노화 등 여러 질병들의 원인이 될 수 있다(21). 따라서 본 실험은 머위 엽병의 분획물이 지질의 과산화를 억제시켜 과산화물을 감소시키는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항산화 활성을 검증하였다(Table 1). DPPH 라디칼 소거능 실험에서와 마찬가지로 최종농도 100μg/mL에서 ethyl acetate 분획물(37.
  • 따라서 본 연구는 예로부터 약용 및 식용으로 사용되는 머위 중 잎에 비하여 효용가치가 다소 부족한 엽병의 항산화 활성을 탐색할 뿐만 아니라 activity-guided fractionation에 의해 활성 성분을 분리하고, 1H- 및 13C-NMR 분석을 통해 화학적 구조를 동정하고자 한다. 또한 머위 엽병 용매 분획물 및 순수 분리한 화합물의 항산화 효과를 검토함으로써, 미활용 식물자원인 머위 엽병의 기능성식품 소재 개발의 기초자료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C-NMR 분석을 통해 화학적 구조를 동정하고자 한다. 또한 머위 엽병 용매 분획물 및 순수 분리한 화합물의 항산화 효과를 검토함으로써, 미활용 식물자원인 머위 엽병의 기능성식품 소재 개발의 기초자료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Lipoxygenase 저해능 측정: DPPH free radical 소거능과 TBA에 의한 지질과산화 억제능을 살펴봄으로써 in vitro에서 머위 엽병 분획물의 항산화력을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in vivo에서의 머위 엽병의 항산화 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해 머위 엽병 용매 분획물의 in vitro lipoxygenase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Lipoxygenase는 체내에서 linoleic acid의 산화를 촉진시켜 leukotrien류 등의 유해산물을 다량 생성하여 천식, 관절염, 심근경색 등의 만성질환의 주요 원인이 된다(23).
  • 본 연구에서는 머위 엽병의 에탄올 추출물을 용매 극성에 따라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및 n-butanol로 분배한 분획물에 대해 전자공여능, 지질과산화 억제능 및 lipoxygenase 저해효과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분획물 중 ethyl acetate 분획물의 경우 100 μg/mL 농도에서 전자공여능, 지질과산화 억제능 및 lipoxygenase 저해능에서 각각 6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머위는 어디에서 자생 또는 재배하고 있는가? 머위(Petasites japonicus)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식물로 중국, 일본 및 우리나라에서 자생 또는 재배되고 있으며, 예로부터 어린잎은 채취하여 쌈과 생채로 이용하고 엽병은 나물로 이용하거나 말려서 탕의 원료로 이용하였다(5). 또한 민간요법이나 한방에 따르면 새순은 건조한 후 달여서 마시거나 태워 연기를 쐬는 방법으로 기침과 천식의 치료에 이용하였고, 일부 지역에서는 엽병을 옻나무에 의한 알레르기 치료에 사용하여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6).
머위란 어느 과에 속하는 식물인가? 머위(Petasites japonicus)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식물로 중국, 일본 및 우리나라에서 자생 또는 재배되고 있으며, 예로부터 어린잎은 채취하여 쌈과 생채로 이용하고 엽병은 나물로 이용하거나 말려서 탕의 원료로 이용하였다(5). 또한 민간요법이나 한방에 따르면 새순은 건조한 후 달여서 마시거나 태워 연기를 쐬는 방법으로 기침과 천식의 치료에 이용하였고, 일부 지역에서는 엽병을 옻나무에 의한 알레르기 치료에 사용하여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6).
민간요법이나 한방에 따르면 머위의 새순은 어떻게 이용하였는가? 머위(Petasites japonicus)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식물로 중국, 일본 및 우리나라에서 자생 또는 재배되고 있으며, 예로부터 어린잎은 채취하여 쌈과 생채로 이용하고 엽병은 나물로 이용하거나 말려서 탕의 원료로 이용하였다(5). 또한 민간요법이나 한방에 따르면 새순은 건조한 후 달여서 마시거나 태워 연기를 쐬는 방법으로 기침과 천식의 치료에 이용하였고, 일부 지역에서는 엽병을 옻나무에 의한 알레르기 치료에 사용하여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Hamilton-Koch W, Snyder RD, Lavelle JM. 1986. Metalinduced DNA damage and repair in human diploid fiblasts and Chinese hamster ovary cell. Chem Biol Interact 59: 17-28 

  2. Kim HJ, Jin CB, Lee YS. 2007.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henolic compounds isolated from Inonotus obliquus. Kor J Pharmacogn 38: 1-16 

  3. Kang JH, Cha JH, Han JH, Lee SW, Kim HJ, Kwon SH, Ham IH, Hwang BS, Whang WK. 2005. Isolation of antioxidant from domestic Crataegus pinnatifida Bunge leaves. Kor J Pharmacogn 36: 121-128 

  4. Kuk JH, Ma SJ, Moon JH, Park KH. 2003.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ignans as antioxidant from leaves of Catalpa ovata G. Don. Korean J Biotechnol Bioeng 18: 511-516 

  5. Bang MH, Park JK, Song MC, Yang HJ, Yoo JS, Ahn EM, Kim DK, Baek NI. 2005. Development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 from edible plant sources-XV. Isolation of triterpene glycosides from the leaf of Petasites japonicu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 421-424 

  6. Cho BS, Lee JJ, Lee MY. 2007.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Petasites japonicus Max of hepatic antioxidative systems in alcohol treated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298-304 

  7. Kikuchi M. 1973.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the flower stalk of Petasites japonicus Maxim on the components of the volatile oil. Yakugaku Xasshi 93: 123-126 

  8. Yaoita Y, Kikuchi M. 1994. Eremopetasidione a norsesquiterpenoid from the rhizomes of Petasites japonicus. Phytochem 37: 1765-1766 

  9. Yaoita Y, Kikuchi M. 1994. Petasiphenone a phenolic compound from rhizomes of Petasites japonicus. Phytochem 37: 1773-1774 

  10. Yaoita Y, Kikuchi M. 1994. Structures of six new eremophilenolides from the rhizomes of Petasites japonicus. Chem Pharm Bull 42: 1944-1947 

  11. Park JY. 2007. The effect of Petasites japonicus extract on hepatotoxicity in rats. Kor J Env Hlth 33: 202-206 

  12. Jee YH, Lee CS. 1996. Pathological changes on rats and mice fed with Petasites japonicus Maxim. Korean J Vet Res 36: 417-428 

  13. Oh SH, Yang YH, Kwon OY, Kim MR. 2006. Effects of diet with added butterbur (Petasites japonicus Maxim) of the plasma lipid profiles and antioxidant index of mic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6: 399-407 

  14. Choi OB. 2002. Anti-allergic effects of Petasites japonicus. Korean J Food Nutr 15: 382-385 

  15.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3 

  16. Ottolenghi A. 1959. Interaction of ascorbic acid and mitochondrial lipids. Arch Biochem Biophy 79: 355-461 

  17. Block E, layer R, Grisoni S, Saha C, Belman S, Lossing FP. 1988. Lipoxygenase inhibitors from the essential oil of garlic. Markovnikov addition of the allyl dithiol radical to olefins. J Am Chem Soc 110: 7813-7827 

  18. Lee KD, Chang HK, Kim HK. 1997. 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of edible mushroom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432-436 

  19. Mizushina Y, Ishidoh T, Kamisuki S, Nakazawa S, Takemura M, Sugawara F, Yoshida H, Sakaguchi K. 2003. Flavonoid glycoside: a new inhibititor of eukaryotic DNA polymerase α and a new carrier for inhibitor-affinity chromatography Biochem Biophy Res Commun 301: 480-487 

  20. Ohakawa H, Ohishi N, Yagi K. 1979. Assay for lipid peroxidase in animal tissues by thiobarbituric acid reaction. Anal Biochem 95: 351-358 

  21. Hur JM, Lee JH, Choi JW, Hwang GW, Chung SK, Kim MS, Park JC. 1998. Effect of methanol extract and kaempferol glycosides from Armoracia rusticana on the formation of lipid peroxide in bromobenxene-treated rats in vitro. Kor J Pharmacogn 29: 231-236 

  22. Comporti M. 1987. Glutathione depleting agents and lipid peroxidation. Chem Phys Lipids 45: 143-169 

  23. Cho SY, You BJ, Lee SJ, Sung NJ. 1994. Screening for potato lipoxygenase-1 inhibitor in unused marine resources by the polarographic method. J Korean Soc Food Nutr 23: 959-963 

  24. Qu GZ, Si CL, Wang MH. 2006. Antioxidant constituents from Leonurus japonicus. Natural Product Sciences 12: 197-200 

  25. Huong DTL, Dat NT, Cai XF, Shen G, Bae KH, Kim YH. 2004. Phenolic components from the leaves and twigs of Phamnus taquetii . Kor J Pharmacogn 35: 139-142 

  26. Lee MS, Lim SK, Park HJ. 1994. Phthalate ester and flavonoids isolated from leaves of Erythronium japonicum. Korean J Med Crop Sci 2: 67-72 

  27. Lee HJ, Lee SK, Choi YJ, Jo HJ. 2007. Extractives from the Allium victorials. J Korean For Soc 96: 620-624 

  28. Chang BS, Kwon YS, Kim CM. 2004. The chemical structure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of the components isolated from the heartwood of Hemiptelea davidii. Kor J Pharmacogn 35: 80-87 

  29. Park Y, Lee HJ, Lee SS, Choi DH. 2003. Studies on biological activity of wood extractives-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leaves of Sophora japonica. Modchae Konghak 31: 43-48 

  30. Rice-Evans DA, Miller NJ, Paganga G. 1996. Structure antioxidant activity relationships of flavonoid and phenolic acids. Free Radical Biol Med 20: 933-956 

  31. Park YK, Jeon EJ, Kang MH. 2003. Protective effect of flavonoids on lymphocyte DNA damage using comet assay. Korean J Nut 36: 125-1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