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급식 식단별 식재료 크기 설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Establishment of Food Material Size Specification Based on Elementary School Menu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8, 2008년, pp.1058 - 1068  

김은미 (한국식품연구원) ,  홍상필 (한국식품연구원) ,  이민아 (한국식품연구원) ,  정미경 (한국전통음식연구소) ,  조태옥 (세종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초등학교 학교급식 조리사를 대상으로 초등학생들에게 적합한 품목별 식재료의 크기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대부분이 일반 성인식으로 제공되는 크기보다 3/4(0.75배) 또는 2/4 정도 작게 제공하는 것이 적당하다고 응답하였다. 식재료 규격을 설정하고 실제로 현장에 적용하는 실험은 사진자료를 이용한 조사, 실제섭취량 조사 등 2가지 방법으로 초등학교에 6개교에서 학령별로 실시하였으며 전체적으로 크기에 따라 학생들의 실제 섭취량과 선호도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결과에 따라 식단별 식재료 규격을 3종류로 구분하고 크기가 표시된 흰색 아크릴판(가로${\times}$세로, $290{\times}210\;mm$)을 이용하여 식단별 연령별로 적합한 식재료크기를 설정하였으며 실제크기와 대조하여 사진자료로 작성하였다. 이들 자료를 다시 식단별로 분류하여 식재료 품목별 커팅 크기와 코드를 설정하였으며 설정된 식재료는 품목별로 나물 12종, 야채 15종, 김치 9종, 젓갈 2종, 튀김 8종, 육류 5종, 어류 19종, 건어물 5종로 최종결과는 책자로 제작이 가능하도록 편집전문가를 통한 수정작업으로 완성시켰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size specification of food material for elementary school meals, researched at school meal scene and surveyed with questionnaires about the management of food materials by workers devoted to preparing school meals. Most subjects (80.7%) answered that students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단체급식소에서 사용되는 식재료의 용도별 절단규격은 유통업체 간에도 판매되고 있는 식재료의 크기가 서로 다르고, 대부분 성인 기준의 크기로 설정되어 있어 초등학생 특히 저학생들을 위한 식재료 크기에 대한 고려가 기호도 측면에서 필요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단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기호도 및 식재료 규격과의 상관관계, 이와 관련된 업무 실태조사를 통해 식단별 식재료의 크기에 대한 규격안을 설정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 특히 학교급식에 대한 학생들의 기호도 향상을 위해서는 다양한 한식의 레시피 및 조리법을 이용한 식단의 다양화가 요구되며 식단의 다양화는 급식현장의 운영유형 및 사용기기 등을 동시에 고려하여 조정하는 것을 의미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각 급식소별 식단관리에 대한 지침이 동일하여야만 이를 활용하여 급식대상 학생의 기호와 영양권장량을 토대로 한 유형별 급식용 메뉴의 개발 및 적용, 전처리 식재료의 관리, 인력 및 시설의 효율적인 업무관리가 가능하다. 이에 식단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기호도 및 식재료 규격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식단별 식재료의 크기에 대한 규격안을 설정하여 향후 학교현장에서의 업무효율성을 도모하고자 하는 연구를 실시하게 되었으며 본 연구내용은 학교급식 조리종사원의 조리작업과 관련한 직무분석을 통하여 식재료 작업과 관련된 기본 직무 내용 및 세부작업을 파악하고자 실시한 내용 중 식재료 크기에 결정과정에 관한 내용으로, 향후학교급식 조리종사원의 조리 관련 작업 계획, 교육자료 개발 등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9,10).
  • 조리종사자를 대상으로 초등학생들에게 적합한 품목별 식재료의 크기에 대한 설문조사결과로 도출된 식재료 크기 규격안을 직접 학교급식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섭취량 조사를 통하여 권장규격의 적합성을 평가하고 식재료의 규격에 따른 기호도를 살펴봄으로써 초등학교 급식에 적합한 식재료의 크기 규격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설정된 식재료 규격을 실제로 학교급식현장에 적용하는 실험은 사진자료를 이용한 조사, 실제섭취량 조사 등 2가지 방법으로 초등학교에 6개교(교실배식 3개교와 식당배식 3개교)에서 학령별로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1)The size which is produced a general size in standard, for example 5/4 means 1.25 times as bigger as general size. The dark portion means frequency ratio (%) is high in same item.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령별 특징이나 식생활 및 급식환경의 변화 등을 고려한 식단관리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현재 학교급식에 대한 질적 관리 방안으로 HACCP시스템을 도입한 학교급식위생관리지침서와 학교급식 영양관리 모델 등을 적용하여 제시하고 있으나 선진국과 같이 학령별 특징이나 식생활 및 급식환경의 변화 등을 고려한 식단관리를 위해서는 좀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이는 현재 학교급식에서 제공되는 음식이 한식이 대부분이고 한식의 특성상 단체급식에 적합한 메뉴가 부족하여 메뉴의 단순화 경향이 두드러지고 특히 초등학교의 경우 성인 식생활 문화에 적응하는 시기로 식단에 대한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5-8). 특히 학교급식에 대한 학생들의 기호도 향상을 위해서는 다양한 한식의 레시피 및 조리법을 이용한 식단의 다양화가 요구되며 식단의 다양화는 급식현장의 운영유형 및 사용기기 등을 동시에 고려하여 조정하는 것을 의미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각 급식소별 식단관리에 대한 지침이 동일하여야만 이를 활용하여 급식대상 학생의 기호와 영양권장량을 토대로 한 유형별 급식용 메뉴의 개발 및 적용, 전처리 식재료의 관리, 인력 및 시설의 효율적인 업무관리가 가능하다.
학교급식에 대한 질적 관리 방안으로 도입된 시스템은 무엇인가? 현재 학교급식에 대한 질적 관리 방안으로 HACCP시스템을 도입한 학교급식위생관리지침서와 학교급식 영양관리 모델 등을 적용하여 제시하고 있으나 선진국과 같이 학령별 특징이나 식생활 및 급식환경의 변화 등을 고려한 식단관리를 위해서는 좀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이는 현재 학교급식에서 제공되는 음식이 한식이 대부분이고 한식의 특성상 단체급식에 적합한 메뉴가 부족하여 메뉴의 단순화 경향이 두드러지고 특히 초등학교의 경우 성인 식생활 문화에 적응하는 시기로 식단에 대한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5-8).
학교급식이 추진된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나라 학교급식은 성장기 학생의 건강증진과 학부모의 도시락 준비부담 해소를 위해 1992년부터 정책적으로 추진한 확대사업을 통해 2003년부터 전국 초·중·고교에서 전면 실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학교급식 정책도 양 중심의 ‘확대정책’에서 질 중심의 ‘운영의 내실화 정책’으로 전환하게 되어 우리 식생활문화와 국민건강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종합적인 개선대책마련이 필요한 시점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bott DD, George MB, Dorishowe C. 1958. Effectiveness of the school lunch in improving the nutritional status of school children, Univ. Florida Agr Expt Sta Bull 426-430 

  2. Lee KS, Choi KS, Yoon EY, Lee SY, Kim CI, Park YS, Mo SM, Lee WM. 1998. Effect of school lunch program on urban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 Nutr 21: 392-409 

  3. Lee KA. 1998. Evaluation of nutrition management in the elementary school lunch school program. Korean J Nutr 31: 191-205 

  4. Ministry of Education. 2007. The 2007 Schoolservice. http://www.moe.go.kr 

  5. Chyun JH, Choe EO, Hong SY, Woo KJ, Kim YA. 1999. A study on food service administration and nutritio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in Inchon. Korean J Dietary Culture 14: 417-429 

  6. Kim MH, Lee KA. 2003. A comparison of the perception of children and their mothers of the effects of school lunch programs on children's dietary behavio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636-644 

  7. An GS, Shin DS. 2001. A comparison of the food and nutrient intake of adolescents between urban areas and islands in south Kyungnam. Korean J Comm Nutr 6: 271-281 

  8. Kim EM, Joong MK. 2006. The study of children's and their parents' satisfaction for school lunch program in elementary schoo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809-814 

  9. Kim EM. 2005. The study on establishment of food material specification on the basis of elementary school menus.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report 

  10. Kim EM. 2006. The study on establishment of food material specification on the basis of elementary school menus.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report 

  11. Kim EM, Joong MK, Lee MA, Kim IH. 2006. Analysis on work and labor productivity in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systems. Korean J Food & Cookery Sci 22: 875-881 

  12. Hong WS, Chang HJ. 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food service satisfaction and plate wast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 390-395 

  13. Yang IS. 1997. Application of job analysis and work measurement through work sampling methodology for evaluating productivity in school foodservice systems. Korea science and engineering foundation report. p 1-40 

  14. Yang IS, Lee JM, Yi BS, Cha JA. 1997. Comparative analysis on work and labor productivity in school foodservice systems. Korean J Nutrition 30: 690-730 

  15. Kang HK, Kim KJ. 1996. A study on management of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in Pusan. J Korean Dietetic Assoc 2: 1-9 

  16. Hong WS, Kim HM. 2000. An analysis of dietician's foodservice performance assessment in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Foodservice Management Society of Korea 3: 245-262 

  17. Hong WS. 2005. The evaluation of foodservice employee' sanitary performance in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Foodservice Management Society of Korea 8: 179-189 

  18. Lee JH. 1997. A study on a improvement method in the elementary school feeding system. MS Thesis. Hannam Univ. p 24-32 

  19. Han KS. 2001. The job analysis of institutional foodservice cook. Study subject of department of school foodservice of Korean Cooks Association 

  20. Han KS, Chae YC, Kim SH, Pyo EY. 2002. The job analysis of cooks of school foodservice. Korean J Nutrition 35: 1104-1119 

  21. The agriculture, fisheries & livestock news. 2007. Foodservice industry. J Korean Foodstuffs. p 500-5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