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추잎 추출물의 항산화 및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Pepper (Capsicum annuum L.) Leav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8, 2008년, pp.1079 - 1083  

전건욱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한지영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최용민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선미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흥태 (충북대학교 식물의학과) ,  이준수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고추잎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과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을 분석하고 각 추출물에 따른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추출물의 항산화력은 ABTS와 DPPH 라디칼 제거능, 환원력 및 금속이온 제거능을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암세포 증식 억제능은 유방암, 대장암 및 위암 세포주를 이용하였다. 각 추출물 중 70% acetone 추출물의 경우 polyphenol 함량(56.6 mg GAE/g residue)과 총 항산화력(450.8 mM TEAC/g residue), DPPH 라디칼 제거능(230.3 mM TEAC/g residue), 환원력(0.5 A700) 측정에서 모두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또한 암세포 증식억제활성 측정 결과 대장암세포(HCT116)에서는 70% acetone 추출물이 1 mg/mL의 농도에서 96.2%의 증식억제 활성을 나타냈고 유방암세포(MCF7)에서는 methanol 추출물이 78.4%의 활성을 나타냈으며, 위암세포(MKN45)에서는 water 추출물이 89.7%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는 점차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천연 항산화 항암제로서의 고추잎에 대한 활성연구에 있어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예상되며, 주산물인 고추열매에 비해 그 활용도가 극히 적은 고추잎에 대한 소비촉진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aimed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water, methanol, and 70% acetone extracts from pepper leaves.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evaluated by AB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reducing power, and chelating effect. Moreover,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극성이 높고 널리 이용되고 있는 추출 용매인 methanol과 함께 70% acetone, water를 각각 추출용매로 이용하여 각 추출용매에 따른 수율 및 생리활성 차이를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고추잎 용매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항산화 성분 및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을 측정하고 항산화 활성과 함암활성 간의 상관성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고추잎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과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을 분석하고 각 추출물에 따른 차이를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추잎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과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을 분석하고 각 추출물에 따른 차이를 비교분석한 연구 결과는 어떻게 되는가? 본 연구에서는 고추잎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과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을 분석하고 각 추출물에 따른 차이를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추출물의 항산화력은 ABTS와 DPPH 라디칼 제거능, 환원력 및 금속이온 제거능을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암세포 증식 억제능은 유방암, 대장암 및 위암 세포주를 이용하였다. 각 추출물 중 70% acetone 추출물의 경우 polyphenol 함량(56.6 mg GAE/g residue)과 총 항산화력(450.8 mM TEAC/g residue), DPPH 라디칼 제거능(230.3 mM TEAC/g residue), 환원력(0.5 A700) 측정에서 모두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또한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 측정 결과 대장암세포(HCT116)에서는 70% acetone 추출물이 1 mg/mL의 농도에서 96.2%의 증식억제 활성을나타냈고 유방암세포(MCF7)에서는 methanol 추출물이 78.4%의 활성을 나타냈으며, 위암세포(MKN45)에서는 water 추출물이 89.7%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는 점차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천연 항산화·항암제로서의 고추잎에 대한 활성연구에 있어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예상되며, 주산물인 고추열매에 비해 그 활용도가 극히 적은 고추잎에 대한 소비촉진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기대된다.
고추는 무엇인가? 고추(Capsicum annuum L.)는 한국의 음식문화를 대표하는 김치와 고추장의 주원료로 세계적으로도 널리 이용되는 향신료의 하나이다. 고추열매의 경우 phenolic acid, flavonoids 등과 비타민 C, E의 좋은 급원으로 항산화 활성 또한 상당히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4,5).
고추의 매운맛 성분인 capsaicin은 무슨 효과가 있는가? 고추열매의 경우 phenolic acid, flavonoids 등과 비타민 C, E의 좋은 급원으로 항산화 활성 또한 상당히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4,5). 특히 고추의 매운맛 성분인 capsaicin은 당뇨병성 신경성증이나 관절염, 대상포진 후 신경통, 피부건선 등의 치료 효과가 보고되어 있으며, 항암 활성에 대한 연구도 많이 진행되어있다(6,7). 인구 기준으로 볼 때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고추를 가장 많이 소비하는 국가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그 생산량도 높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Garcia M, Jemal A, Ward EM, Center MM, Hao Y, Siegel RL, Thun MJ. 2007. Global cancer facts & figures 2007. American Cancer Society, Atlanta, GA, USA 

  2. Lee SH, Lee SK, Seo JH, Kwack KK, Chung SJ, Lee KH, Park YS, Hwang JH, Kim JW, Jung SH, Kim NY, Lee DH, Jung HC, Song IS. 2007. Characteristics of colorectal cancer in elderly patients in comparison with younger patients.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34: 76-82 

  3. Doll R, Peto R. 1981. The causes of cancer: quantitative estimates of avoidable risks of cancer in the United States today. J Natl Cancer Inst 66: 1191-1308 

  4. Howard LR, Talcott ST, Brenes CH, Villalon B. 2000. Changes in phytochemica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elected pepper cultivars (Capsicum species) as influenced by maturity. J Agric Food Chem 48: 1713-1720 

  5. Hasler CM. 1998. Functional foods: their role in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Food Technol 52: 63-69 

  6. Zhang WY, Po ALW. 1994. The effectiveness of topically applied capsaicin. Eur J Clin Pharmacol 46: 517-522 

  7. Mori A, Lehmann S, O'Kelly J, Kumagai T, Desmond JC. 2006. Capsaicin, a component of red peppers, inhibits the growth of androgen-independent, p53 mutant prostate cancer cells. Cancer Res 66: 3222-3229 

  8. Kim TH, Yoon TY, Choi YY. 2007.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griculture based on international agricultural statistics.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M82, Seoul, Korea 

  9. Anderson JA. 2002. Catalase activity, hydrogen peroxide content and thermotolerance of pepper leaves. Sci Hortic 95: 277-284 

  10. Choi JG, Hur JM, Cho HW, Park JC. 2007. Phenolic compounds from Capsiccum annuum leaves showing radical scavenging effect. Kor J Pharmacogn 38: 258-262 

  11. Ra KS, Jeong SC, Suh HJ, Park HS, Baik HS, Choi JW, Lee YS. 2002.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omplement system activating polysaccharides from the hot water extract of the leaves of Capsicum annuum L.. Korean J Life Sci 12: 87-95 

  12. Kim JH, Jeong CH, Shim KH. 2003. Biological activities of solvent fraction of Capsicum anuum leaves. Korean J Food Pre 10: 540-546 

  13. Velioglu YS, Mazza G, Cao L, Oomah BD. 1998.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in selected fruit, vegetables, and grain products. J Agric Food Chem 46: 4113-4117 

  14.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15. Kim DO, Lee KW, Lee HJ, Lee CY. 2002. Vitamin C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VCEAC) of phenolic phytochemicals. J Agric Food Chem 50: 3713-3717 

  16. Mau JL, Lin HC, Song SF. 2002. Antioxidant properties of several specialty mushrooms. Food Res Int 35: 519-526 

  17. Mosmann T. 1983.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s. J Immunol Meth 65: 55-63 

  18. Siddhuraju P, Becker K. 2003. Antioxidant properties of various solvent extracts of total phenolic constituents from three different agroclimatic origins of drumstick tree (Moringa oleifera Lam.) leaves. J Agric Food Chem 51: 2144-2155 

  19. Scalbert A, Johnson IT, Saltmarsh M. 2005. Polyphenols: antioxidants and beyond. Am J Clin Nutr 81: 215S-217S 

  20. Sakihama Y, Cohen MF, Grace SC, Yamasaki H. 2002. Plant phenolic antioxidant and prooxidant activities: phenolicsinduced oxidative damage mediated by metals in plants. Toxicology 177: 67-80 

  21. Cho SY, Han YB, Shin KH. 2001.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edible pla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33-137 

  22. Chung YZ. 2003. Apoptotic effects of some plants on MCF-7 mammary gland adenocarcinoma cells. Korean J Life Sci 14: 61-6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