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에너지분산형 X-선 형광분석기를 이용한 한약재의 무기질 분석 및 이에 의한 원산지 판별
Discrimination of Geographical Origin for Herbal Medicine by Mineral Content Analysis with Energy Dispersive X-Ray Fluorescence Spectrometer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0 no.2 = no.198, 2008년, pp.135 - 140  

정명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시험연구소) ,  이수복 (연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방풍, 시호, 천궁, 황기, 한약재 국산과 수입산 307점을 대상으로 분석과정에서 특별한 전처리 과정이 필요없는 간편하고 신속한 비파괴 분석법을 사용하여 식물 생장에 필수 원소인 다량 무기질 P, S, K, Ca의 함량을 EDXRF로 측정하고 정준판별분석을 실시한 후 원산지 판별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국산 방풍의 P, S, K, Ca 함량은 평균 12.67%, 7.51%, 60.21%, 19.61%이었고 수입산은 평균 9.72%, 20.66%, 50.29%, 19.33%였으며 국산 방풍에는 P, K 함량이 수입산에 비하여 높게 존재하였고 S는 수입산에 많았으며 Ca는 유사하였고 전체 75점의 시료 중 70점의 원산지를 정확히 판별하여 93.3%의 매우 높은 판별정확도를 나타냈다.국산 시호의 P, S, K, Ca 함량은 평균 8.91%, 6.42%, 50.18%, 34.48%였고 수입산 시호는 평균 4.35%, 12.16%, 43.40%, 40.09%이었다. 국산 시호에는 P, K 함량이 수입산보다 높았으며 S와 Ca는 수입산에서 더 높은 함량을 보였다. 국산과 수입산의 판별 정확도는 전체 70점의 분석 시료 중 67점의 원산지를 정확히 판별하여 95.7%의 높은 정확도를 나타냈다. 국산 천궁 P, S, K, Ca 함량은 평균 8.71%, 7.04%, 65.91%,18.33%이었고 수입산 천궁은 평균 11.05%, 13.79%, 51.48%, 23.69%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K 함량은 국산 천궁에서 수입산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냈고 P, S, Ca는 수입산에서 더 높은 함량을 보여 전체 82점의 시료 중 81점의 원산지를 정확히 판별하여 98.8%의 가장 높은 판별정확도를 나타냈다. 국산 황기의 P, S, K, Ca 함량은 평균 15.52%, 17.38%, 54.74%, 12.36%이고 수입산은 14.20%, 25.59%, 45.16%, 15.05%이었다. 국산에서 K함량이 수입산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S, Ca는 수입산 에서 국산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P는 큰 차이가 없이 유사하였다. 전체 80점의 황기를 분석하여 70점의 원산지를 정확하게 판별하여 87.5%의 판별정확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방풍, 시호, 천궁, 황기 모두에서 국산과 수입산간에 높은 판별정확도를 나타내 원산지 판별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macromineral content ratios of four herbal medicine samples(Saposhnikoviae Radix, Bupleuri Radix, Cnidii Rhizoma, and Astragali Radix) were analyzed to discriminate their geographical origins using an energydispersive x-ray fluorescence (EDXRF) technique. EDXRF is a rapid, non-d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아직까지 EDXRF를 이용해서 국산과 수입산 한약재의 무기질 함량비를 비교해 원산지 판별 방법을 연구한 사례는 없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식물성 한약재가 건조 및 절단되어 유통되어도 재배지 토양, 관리방법, 기후 등에 따라 무기질 함량에도 차이가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EDXRF를 이용하여 국산과 수입산 한약재의 다량 무기질 (macromineral) 함량비율을 분석하여 한약재의 원산지 판별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UNISTAT를 이용한 multivariate analysis중 canonical discriminant analysis를 실시하여 원산지 판별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품 목별 다량 무기질의 함량분석 결과값을 독립변수(판별변수)로 사 용 하고 국산은 1 group 수입산은 2 group의 숫자형 집단변수로 변환하였다. 그리고 판별분석 후 본래의 집단을 어느 정도 정확히 추정하는지의 결과를 원산지 판별정확도(정확분류비율 또는 분류정확도)로 나타내고 판별정확도 산출에 사용하지 않은 국산 과 수입산 시료 10점을 -1로 변수를 부여하고 원산지를 모르는 미지의 시료(unknown sample)로 가정하여 검증 시험하였다. 분석 결과 개개의 변수값을 판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독립변수 들의 선형결합을 판별함수라고 하며, 이 판별함수를 이용하여 얻어진 원산지별 각 품목의 정준판별점수를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won HS, Lee NY, Kim SJ, Chung SS, Kim JH. Discrimination of geographical origin and seed content in red pepper powder by near 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ic analysis. J. Am. Oil Chem. Soc. 16: 155-161 (1999) 

  2. Cho CH, Kim SJ, Kim HJ. Comparative studies on the discrimination of Angelicae gigantis radix by near-infrared spectroscopy, electronic nose and x-ray fluorescence spectrometry. Yakhak Hoeji 46: 161-167 (2002) 

  3. Kwon HS. Discrimination of oil seeds according to geographical origin using near 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J. Am. Oil Chem. Soc. 16: 21-24 (1999) 

  4. Noh BS, Ko JW, Kim SY, Kim SJ. Application of electronic nose in discrimination of the habitat for special agricultural 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051-1057 (1998) 

  5. Kim EY, Kim JH, Chung KS, Rhyu MR. Development of the discrimination methods for geographical origin of bracken (Pteridium aquilinum) by capillary electrophoresis. Anal. Sci. Technol. 17: 192-197 (2004) 

  6. Kang MR, Lee IH, Jun H, Kim YS, Lee SC. Elemental analysis in Astragali radix by using ICP - AES and determination of the original agricultural place of oriental medicine by using a chemometrics. Anal. Sci. Technol. 14: 316-321 (2001) 

  7. Lee SR, Yoon ES, Shin SC. The mineral content of medical wild plant resources in Korea(I). J. Oriental Bot. Res. 3: 107-114 (1990) 

  8. Lee SR, Yoon ES, Shin SC. The mineral content of medical wild plant resources in Korea(II). J. Oriental Bot. Res. 3: 115-121 (1990) 

  9. Hwang JB, Yang MO, Shin HK. Survey for approximate composition and mineral content of medicinal herb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671-679 (1997) 

  10. Lee SH, Kim HS, Kim YM, Kim WS, Won YJ, Chae GY, Kim OH, Park HJ, Jeong SW.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in herbal medicines. J. Environ. Sci. 15: 811-817 (2006) 

  11. Park HM, Choi KH, Jung JY, Lee SD. Metal exposure through consumption of herbal medicine, and estimation of health risk among Korean population. Korean J. Env. Hlth. 32: 186-191 (2006) 

  12. Park SH, Jeong JY, Ryoo JJ, Lee NR, Yu IJ, Song KS, Lee YH, Han JH, Kim SJ, Park JS, Jung HK. The non - destructive determination of heavy metals in welding fume by EDXRF. J. Korean Soc. Occup. Environ. Hyg. 11: 229-234 (2001) 

  13. Kim YM. X-ray fluorescence spectrometry. J. Korean Inst. Metals 25: 218-222 (1987) 

  14. Laursen J, Vestergaard BT, Pind N, Karlsen K, Hansen HCB. Rapid method for EDXRF analysis of clayey and sandy soil. X-Ray Spectrom. 30: 186-189 (2001) 

  15. Noda T, Tsuda S, Mori M, Takigawa S, Matsuura-Endo C, Kim S-J, Hashimoto N, Yamauchi H. Determination of the phosphorus content in potato starch using an energy-dispersive x-ray fluorescence method. Food Chem. 95: 632-637 (2006) 

  16. Ekinci N, Ekinci R, Sahin Y. Determination of iodine and calcium concentrations in the bread improver using EDXRF. J. Quant. Spectrosc. Ra. 74: 783-787 (2002) 

  17. Anjos MJ, Barroso RC, Lopes RT, De Jesus EFO, Simabuco SM, Castro CRF. EDXRF analysis of red and white wines from Brazil. X-Ray Spectrom. 33: 407-409 (2004) 

  18. Perring L, Andrey D. ED-XRF as a tool for rapid minerals control in milk-based products. J. Agr. Food Chem. 51: 4207-4212 (2003) 

  19. Dogan O, Tirasoglu E. Determination of potassium, calcium and chlorine in some vegetables by EDXRF. J. Quant. Spectrosc. Ra. 101: 141-145 (2006) 

  20. Park MK, Lee HJ, Kim KJ, Moon YS. The correlation of heavy metal contents in herbal medicines and their soils at north Gyeongbuk area. J. Environ. Sci. 14: 185-192 (2005) 

  21. KIOM. Studies on Security of Quality Control and Safety in Traditional Medicine Herbs. Korean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Korea. pp.121-137 (1998) 

  22. Shin MK, Rhu SK, Rhu HY. Research on the survey of district characteristic production of medical using for oriental medical treatment. Theses Wonkwang University, Korea. 14: 151-185 (1980) 

  23. Kim NJ, Sim SB, Ryu JW, Kim JW, Hong ND. Studies on contents and elution of metals from crude drugs. J. Kyung Hee Univ. Med. Cent. 12: 105-113 (1996) 

  24. Pereira AMT, Brandao PRG. Statistical validation of standardless and standard-based analysis by X-ray fluorescence spectrometry in iron ores characterisation. Miner. Eng. 14: 1659-1670 (2001) 

  25. Omote J, Kohno H, Toda K. X-ray fluorescence analysis utilizing the fundamental parameter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elemental composition in plant samples. X-ray Fluorescence Spectrom. 307: 117-126 (1995) 

  26. Yu IS. Analysis of minerals and pesticide residue in medicinal plants. PhD thesis, Graduate School Dankook University, Seoul, Korea (2006) 

  27. Lee SS. The study on trace elemental distribution in hair based on inhalation and ingestion environment. MS thesis,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2001) 

  28. Cho CH. Discrimination of umbelliferous herbal medicines by near-infrared spectrometry and pattern recognition method. PhD thesis, Graduate School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003) 

  29. Kim JH, Kim EY, JEong KS, Rhyu MR. Discrimination of geographical origin for Ligusticum root (Ligusticum wallichii) by capillary electrophoresis. J. Korean Agric. Chem. Soc. 46: 380-384 (2003) 

  30. Kim EY, Kim JH, Lee NY, Kim SJ, Lyu ML. Discrimination of geographical origin for Astragalus root (Astragalus membranaceus) by capillary electrophoresis and near-infrared spectroscopy.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818-824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