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X-선 형광 분석방법을 이용한 숙지황의 무기원소 함량분석과 지리적 특성 규명
Discrimination of Geographic Origin by Trace Elements Contents in Rehmannia Radix Preparat using X-ray Fluorescence Analysis 원문보기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58 no.4, 2015년, pp.345 - 348  

배혜리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  이시경 (Graduate school of agriculture & animal science, Konkuk university) ,  황인재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  강정미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  이진호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  김정한 (Department of agricultural Bio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산 및 중국산 숙지황(Dried Rehmannia Radix Preparat)의 지리적 원산지에 따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X-선 형광분석기(X-ray fluorescence spectrometry)를 이용하여 미량 원소 함량을 측정하였다. 143종의 시료에서 검출된 K, P, S, Cl, Si, Al, Fe, Sn 등 35종의 원소를 정준판별분석한 결과 평균 판별 정확도는 92.3%로 나타났으며, 유의수준(p=)은 0.0001 미만으로 나타났다. 통계분석에 사용하는 원소수를 35종에서 8종, 3종으로 줄였을 때 판별정확도는 각각 88.1, 84.6%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산내에서의 판별정확도는 94.6-96.0%였으나 한국산내에서의 판별정확도는 72.5-89.9%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ried Rehmannia Radix Preparat, produced in different geographic origins of Korea and China, were investigated for the trace element contents using X-ray fluorescence spectrometry. When the estimated data for 35 kind of elements including K, P, S, Cl, Si, Al, Fe, Sn, etc on 143 samples were analyz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실험에는 실온 근처에서도 이상적인 감도를 보이고 실험실 환경에 의한 영향이 적으면서 유도체화나 산분해 등의 별도의 전처리 과정이 필요 없이 간단 건조하여 측정이 가능한 ED-XRF로 무기원소 함유량을 분석하였다. 총 69종의 원소(Ag, Al, As, Au, Ba, Bi, Br, Ca, Cd, Ce, Cl, Co, Cr, Cs, Cu, Dy, Er, Eu, Fe, Ga, Gd, Ge, Hf, Hg, Ho, I, In, Ir, K, La, Lu, Mg, Mn, Mo, Na, Nb, Nd, Ni, Os, P, Pb, Pd, Pr, Pt, Rb, Re, Rh, Ru, S, Sb, Sc, Se, Si, Sm, Sn, Sr, Ta, Tb, Te, Th, Ti, Tl, U, V, W, Y, Yb, Zn, Zr)를 시료로부터 방출되는 형광의 감도가 높은 진공상태에서(Kim 등, 2011) 측정하였다(Table 1).
  • 본 연구는 한약재 원료로서 소비량이 많고 증숙 가공 과정을 거침에 따라 국가간 이동으로 가격차가 많이 발생할 수 있는 숙지황에 잔류하는 미량무기원소의 종류와 함량의 차이를 이용해서 원산지 판별을 시도하였는데, 실리콘 여기 검출기 (Silicon Drift Detector)를 장착한 에너지 분산형 X-선 형광분석기(EDXRF, energy dispersive x-ray fluorescence spectrometer, S2 RANGER, Brucker, Germany)를 활용하여 무기원소의 종류별 함량을 분석하고, 정준판별분석(canonical variate analysis)법으로 다변량 통계처리하여 원산지 판별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숙지황이란 무엇인가? 숙지황(熟地黃, Rehmannia Radix Preparat, prepared Rehmannia root)(Fig. 1)은 중요 한약재 50종의 하나로서 현삼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지황(Rehmannia glutinosa)의 근경(根莖)를 증숙하여 건조한 것을 말하며, 날것을 생지황, 말린 것을 건지황이라 하고 특히 술에 담갔다가 쪄서 말리기를 9번 되풀이하여 만든 것은 구지황이라 하여 그 약효를 으뜸으로 친다. 숙지황의 맛은 달면서도 쓴맛이 돌고 따뜻한 성질이 있어 혈을 보(補)하고 정(精:생명이 발생하고 활동하는 데 기본이 되는 물질)을 보충해서 허리와 무릎이 시리고 아픈 증상이나 월경이상, 어지럼증 등을 치료하고 머리를 검게 하는 효능이 있다고 한다.
무기원소를 동시분석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ICP-AES 나 ICP-MS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한약재 식물은 토양, 수질 등에서 생장을 위해 필수원소를 비롯한 다양한 무기화합물을 흡수하므로 원산지별 재배지 토양의 무기원소 함유량과는 연계성이 있고 비료나 기후, 수확시기 등 재배환경에 따라 흡수되는 무기영양 성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im 등 1996; KIOM, 1998; Park 등, 2005). 일반적으로 다양한 무기원소를 동시분석하기 위해서는 ICP-AES 나 ICP-MS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를 위해서는 질산 등의 유해한 화학물질을 이용한 산분해과정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므로 숙련된 인력이 요구되고 시간과 비용이 추가적으로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에 XRF는 ICP-AES나 ICP-MS만큼 감도가 높지 않다는 단점도 있지만(Vandecasteele와 Block, 1993), 시료를 건조하여 분말화한 후 5 mm 내외의 디스크형 시편으로 만들거나 용기에 담아 측정하면 되므로 소량의 시료로도 측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국산 숙지황의 경우 중국산에 비해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원산지판별이 필요한데,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농산물의 원산지판별법은 무엇인가? 한국산 숙지황의 경우는 중국산에 비하여 2−4배 정도 가격이 높아서 중국 중국산과 한국산의 판별이 요구된다. 농산물의 원산지판별은 시장 등 단속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오감(五感, 시각, 청각, 촉각, 미각, 후각)에 의한 관능분석방법을 기본으로, N-H, O-H, C-H, S-H 등의 유기물질 함량차이로 판별하는 근적외선 분광분석법(near infrared spectrometry) (Kim 등, 2003; Lee 등, 2006; Hayan Y 등, 2007), 휘발성 향 성분 차이를 활용한 전자코(e-Nose) 분석법(Lim 등, 2008; Son 등, 2009; Choi 등, 2012), neutron activation analysis (Camargo 등, 2010), 동위원소분석기 등을 활용한 원소량 차이에 의한 분석법(Franke 등, 2008), ICP-MS, XRF 등 무기원소 함량분석법(Kang 등, 2001; Kaoru 등, 2004; Galgano 등, 2008; Pilgrim 등, 2010; Otaka 등, 2014), 유리아미노산 분석법 (Campo 등, 2009), 동위원소 비율에 의한 분석법(Fortunato 등, 2004) 등과 XRF에 의한 무기원소의 종류와 함량차이를 이용한 판별법(Jeong과 Lee, 2008; Kara, 2009; Moon 등, 2012)이 보고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amargo AB, Resnizky S, Marchevsky EJ, and Luco JM (2010) Use of the Argentinean garlic (Allium sativum L.) germplasm mineral profile for determining geographic origin. J Food Compost Anal 23(6), 586-91. 

  2. Campo CP, Garde-Cerdan T, Sanchez AM, Maggi L, Carmona M, and Alonso GL (2009) Determination of free amino acids and ammonium ion in saffron (Crocus sativus L.) from different geographic origins. Food Chem 114(4), 1542-8. 

  3. Choi JY, Bang KH, Han KY, and Noh BS (2012) Discrimination analysis of the Geographical origin of Foods. J Food Scl Technol 44(5), 503-25. 

  4. Food and Drug statistical year book (2014)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orea. 

  5. Franke BM, Hadorn R, Bosset JO, Gremaud G, and Kreuzer M (2008) Is authentication of ther geographic origin of poultry meat and dried beef improved by combining multiple trace element and oxygen isotope analysis? Meat Sci 80(3), 944-7. 

  6. Galgano F, Favati F, Caruso M, Scarpa T, and Palma A (2008) Analysis of trace elements in southern Italian wines and their classification according to provenance. LWT - Food Science and Technology 41(10), 1808-15. 

  7. Hayan Y, Ying Z, Xianping F, Lijiuan X, and Yibin Y (2007) Discrimination between chinese rice wines of different geographic origins by NIRS and AAS Eur Food Res Technol 225, 313-20. 

  8. Jeong DJ and Seo YB (2001) Experimental studies on the haematoporetic effects of the Rehmanniae Radix Preparat., Kor J Herbology 16(1), 73-89. 

  9. Jeong MS and Lee SB (2008) Discrimination of geographical origin for herbal medicine by mineral content analysis with energy dispersive Xray fluorescence spectrometer. Korean J Food Sci Technol 40(2),135-40. 

  10. Kang MR, Lee IH, Jun H, Kim YS, and Lee SJ (2001) Elemental analysis in Astragali Radix by using ICP-AES and determination of the origin agricultural place of oriental medicine by using a chemometrics. Analytical Sci & Technol 14(4), 311-6. 

  11. Kaoru A, Hiroshi H, and Akemi Y (2004) Chemometric technique on inorganic elements composition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geographic origin of welsh onion. Anal Sci 20, 871-7. 

  12. Kara D (2009) Evaluation of trace metal concentrations in some herbs and herbal teas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ood Chem 114(1), 347-54. 

  13. Kim EY, Kim JH, Lee NY, Kim SJ, and Rhyu MR (2003) Discrimination of Geographical Origin for Astragalus Root (Astragalus membranaceus) by Capillary Electrophoresis and Near-Infrared Spectrometry Korean J Food Sci Technol 35(5), 818-24. 

  14. Kim NJ, Sim SB, Ryu JW, Kim JW, and Hong ND (1996) Studies on contents and elution of metals from crude drugs. J Kyung Hee Univ Med Cent 12, 105-13. 

  15. Kim SS, Youn SL, Kim DY, and Ko DS (2011) Study for Enhancement of the Detection Sensitivity in Hand-Held X-Ray Fluorescence Device.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20(6), 409-15. 

  16. KIOM (1998) Studies on security of Quality Control and Safety in Traditional Medicine Herbs. Korean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Korea. 

  17. Lee NY, Bae HR, and Noh BS (2006) Discrimination of Geographical Origin of Mushroom (Tricholoma matsutake) using Near Infrared Spectroscopy. Korean J Food Sci Technol 38(6), 835-7. 

  18. Lim CL, Son HJ, Hong EJ, and Noh BS (2008) Discrimination of Geographical Origin of Beef Using Electronic Nose Based on Mass Spectrometer. Korean J Food Sci Technol 40(6), 717-20. 

  19. Moon JY, Lee YJ, Kang JM, Cho SJ, and Noh BS (2012) Discrimination of geographical origin for Scutellaria baicalensis Using energy dispersive X-ray fluorescence spectrometer. Korean J Food Sci Technol 44(4), 484-7. 

  20. Otaka A, Akiko H, and Izumi N (2014) Determination of trace elements in soybean by X-ray fluorescence analysis and its application to identification of their production areas. Food chem 147, 318-26. 

  21. Park MK, Lee HJ, and Moon YS (2005) The correlation of heavy metal contents in herbal medicines and their soils at north Gyeongbuk area. J Environ Sci 14, 185-92. 

  22. Pilgrim TS, Waltingm RJ, and Grice K (2010) Application of trace element and stable isotope signatures to determine the provenance of tea (Camelliasinensis) samples. Food chem 118(4), 921-6. 

  23. Son HJ, Kang JH, Hong EJ, Lim CL, Choi JY, and Noh BS (2009) Authentication of Sesame Oil with addition of perilla oil using Electric Nose Based on Mass Spectrometry. Korean J Food Sci Technol 41(6), 609-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