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적외선분광분석기 및 에너지 분산형 X선 형광분석기를 이용한 청국장 원산지 판별
Identification of the geographical origin of cheonggukjang by using fourier transform near-infrared spectroscopy and energy dispersive X-ray fluorescence spectrometry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8 no.5, 2016년, pp.418 - 423  

강동진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시험연구소) ,  문지영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시험연구소) ,  이동길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시험연구소) ,  이성훈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시험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근적외선분광분석기와 에너지 분산형 X선 형광분석기를 이용한 분석방법을 개발하여 각각 97.5, 98.0%의 높은 정확도의 판별식을 확립하였고, 시중 유통 시료를 분석하여 검증한 결과 각각 96.3, 95.0%의 판별 정확도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근적외선분광분석기와 에너지 분산형 X선 형광분석기를 이용하여 청국장 원산지 판별이 가능함을 확인하였고 이는 유기성분 함량에 따른 근적외선 흡광도와 무기성분 함량에 따른 X선 형광에너지 강도가 국내산과 수입산 간에 차이가 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geographical origin of soybeans in Cheonggukjang by analyzing its organic components and inorganic elements with Fourier transform near-infrared spectroscopy (FT-NIRS) and with energy dispersive X-ray fluorescence (ED-XRF) coupled with multivariate statistic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국장의 원산지를 판별하고자 근적외선 분광분석기와 에너지 분산형 X선 형광분석기를 이용하여 원산지 판별법 개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표적인 발효 식품은 무엇인가? 청국장은 콩을 이용한 대표적인 발효 식품 중의 하나로 최근 웰빙식품으로 인식되면서 소비·유통이 증가 추세에 있다. 청국장은 대두를 물에 불려서 삶은 후 Bacillus subtilis를 접종하여 2-3일 발효시켜 만든 식품으로 발효과정 중의 독특한 향기와 함께 생성되는 여러 가지 생리활성 물질이 혈전 용해, 항암 및 산화방지 기능의 효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청국장 소비와 유통이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청국장은 콩을 이용한 대표적인 발효 식품 중의 하나로 최근 웰빙식품으로 인식되면서 소비·유통이 증가 추세에 있다. 청국장은 대두를 물에 불려서 삶은 후 Bacillus subtilis를 접종하여 2-3일 발효시켜 만든 식품으로 발효과정 중의 독특한 향기와 함께 생성되는 여러 가지 생리활성 물질이 혈전 용해, 항암 및 산화방지 기능의 효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청국장을 과학적으로 원산지를 판별하는 방법은 무엇이 있고 단점이 있다면 설명해보시오. 청국장은 외형으로 원산지를 구분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과학적으로 원산지를 판별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Zheng 등(3)의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국내산 청국장과 중국산 청국장에서의 아이소플라본 함량의 차이를 분석한 연구에 따르면 콩의 아이소플라본 daidzein 함량이 국내산 3.55±0.28 μg/g, 중국산 6.37±0.55 μg/g이며, 청국장의 아이소플라본 daidzein 함량은 그 보다 약 10배 많은 국내산 38.14±1.49 μg/g, 중국산 68.08±6.38 μg/g라고 보고되어 원산지 간에 1.7배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이 방법을 실제 분석에 활용하기에는 여러 단계의 복잡한 전처리 과정이 수반되어 장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비해 본 연구에서의 근적외선분광분석기와 X선 형광분석기를 이용한 원산지 판별 방법은 국내산과 수입산 간의 유기성분 또는 무기성분 함량의 상대적 비교 분포도를 이용한 방법으로 전처리가 간단하고 분석이 신속한 장점을 갖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Kang MJ, Kim JI, Kwon TW. Effect of chungkookjang on blood glucose and lipid profile in neonatal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Food Sci. Biotechnol. 12: 544-547 (2003) 

  2. Son MY, Kim TH. Soybean. Vol. 636. In: Agriculture outlook.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Seoul, Korea. pp. 2-8 (2015) 

  3. Zheng J, Jin Y, Row KY. Analysis of isoflavones from Korea and Chinese soybean and processed product by HPLC. J. Korean Chem. Soc. 49: 349-354 (2005) 

  4. Kown YS, Cho RK. Identification of geographical origin of sesame seeds by near infrared spectroscopy. Agri. Chem. Biotechnol. 41: 240-246 (1998) 

  5. Kim EY, Kim JH, Lee NY, Kim SJ, Rhyu MR. Discrimination of geographical origin for Astragalus root (Astragalus membranaceus) by capillary electrophoresis and near-infrared spectroscopy.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818-824 (2003) 

  6. Pei Wang, Zhiguo Yu. Species authentication and geographical origin discrimination of herbal medicine by near infrared spectroscopy: A review. J. Pharmaceut. Anal. 5: 277-284 (2015) 

  7. Choi JY, Bang KH, Han KY, Noh BS. Discriminant analysis of the geographical origin of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503-525 (2012) 

  8. Lee DY, Kim SH, Kim HJ, Sung SH. Discrimination of Alismatis rhizoma according to geographical origin using near infrared spectroscopy. Korean J. Pharmacogn. 44: 344-349 (2013) 

  9. Lee NY, Bae HR, Noh BS. Discrimination of geographical origin of mushroom (Tricholoma matsutake) using near infrared spectroscopy.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835-837 (2006) 

  10. Gonalez-Martin MI, Moncada GW, Gonzalez-Perez C, Nelson Martin NZS, Lopez-Gonzalez F, Ortega IL, Hernandez-Hierro JM. Chilean flour and wheat grain: Tracing their using near infrared spectroscopy and chemometrics. Food Chem. 145: 802-806 (2014) 

  11. Ahn HG, Kim YH. Discrimination of Korean domestic and foreign soybeans using near 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Korean J. Crop Sci. 57: 296-300 (2012) 

  12. Moon JY, Lee YJ, Kang JM, Cho SJ, Noh BS. Discrimination of geographical origin for Scutellaria baicalensis using energy dispersive X-ray fluorescence spectrometer.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484-487 (2012) 

  13. Jeong MS, Lee SB. Discrimination of geographical origin for herbal medicine by mineral content analysis with energy dispersive X-ray fluorescence spectrometer.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135-140 (2008) 

  14. Ann YG. Changes in components and peptides during fermentation of cheonggookjang. Korean J. Food Nutr. 24: 124-131 (2011) 

  15. Sung NJ, Ji YA, Chung SY. Changes in nitrogenous compounds of soybean Chungkookjang koji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Nutr. 13: 275-284 (1984) 

  16. Chang YS, Yang SY, Chung HW, Kang KY, Choi JW, Choi IG, Yeo HM. Development of moisture content prediction model for Larix kaempferi sawdust using near infrared spectroscopy. J. Korean Wood Sci. Technol. 43: 304-310 (2015) 

  17. Mukaka MM. A guide to appropriate use of correlation coefficient in medical research. Malawi Med. J. 24:69-71 (2012) 

  18. Pereira AMT, Brandao PRG. Statistical validation of standardless and standard-based analysis by X-ray fluorescence spectrometry in iron ores characterization. Miner. Eng. 14: 1659-1670 (2001) 

  19. Omote J, Kohno H, Toda K. X-ray fluorescence analysis utilizing the fundamental parameter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elemental composition in plant samples. Anal. Chim. Acta. 307: 117-126 (1995) 

  20. Kim KH, Dong HM, Han HJ, Moon JY, Bang KH, Noh BS. Analysis of geographical origin of red ginseng extract using mass spectrometer-based electronic nose.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652-656 (2013) 

  21. Osborne BG, Fearn T, Hindle PH, Williams P, Norris K. Group frequencies in the near-infrared region. pp. 335-339. In: Nearinfrared spectroscopy. Siesler HW, Ozaki Y, Kawata S, Heise HM (eds). Wiley-VCH Verlag GmbH, Weinheim, Germany (2002) 

  22. Sandorfy C, Buchet R, Lachenal G. Principle of molecular vibrations for near-infrared spectroscopy. pp. 25-27. In: Near-infrared spectroscopy in food science and technology. Ozaki Yukihiro, Fred McClure W, Christy Alfred A (eds). Wiley-interscience A John Wiley & Sons Inc. Publication, Hoboken, NJ, USA (2007) 

  23. Lee BY, Kim DM, Kim KH.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viscous substance extracted from chungkook-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599-604 (19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