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토양으로 분리된 Bacillus thuriniensis subsp. kurstaki CAB133균주의 생물학적 특성
Bioactive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thuriniensis subsp. kurstaki CAB133 Isolated from Domestic Soil 원문보기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v.47 no.2, 2008년, pp.175 - 184  

최수연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학과) ,  조민수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학과) ,  김태환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학과) ,  김진수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학과) ,  백승경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학과) ,  윤영남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학과) ,  홍순성 (농업과학기술원 농약평가과) ,  유용만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의 난방제 해충에 선택적으로 생물활성을 나타내는 균주를 선발하기 위하여 작물재배 지역의 토양으로부터 채취한 115개의 토양샘플 중 46개의 Bacillus thuringiensis 균주를 분리하였다. 이러한 B. thuringiensis균주를 사용하여 난방제 농업해충에 생물활성을 검정한 결과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에 CAB119을 포함한 35균주, 파밤나방(Spodoptera litura)에는 CAB128, CAB141균주가,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exigua)은 CAB133과 CAB159균주가 효과를 나타냈으며 CAB162균주는 3종류의 모든 해충에 높은 활성을 보였다. 분리된 B. thuringiensis CAB133 균주는 H serotype에 의한 혈청학적 동정과 SDS-PAGE를 통한 독소 단백질 패턴에서 B.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3abc)로 동정되었다. 담배거세미나방 2령 유충에 대한 활성검정의 결과 B.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3abc) CAB133, CAB162의 두 균주에 대한 $LD_{50}$ 값은 각각 0.089, $3.144{\mu}g/ml$로 높은 활성을 나타났다. 담배거세미나방의 령기에 따른 생물실험에서 CAB133 균주 $1.5{\times}10^6(cfu/ml)$에서 1령의 경우 3일, 2령은 5일에 100%의 사충율을 보였다. 담배거세미나방의 경우 B. thuringiensis를 섭식 후 먹기를 중단하여 성장이 멈추면서 $5{\times}7$일 후에 사망하였다. 그러므로 B. thuringiensis의 결정성독소단백질$(1.267{\mu}g/ml)$를 섭식하고 성장하지 못하는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의 무게는 대조군보다 5일후 약 30배정도 차이로 나타나서 사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screen highly active Bacillus thuringiensis isolates against Spodoptera litura (Lepidoptera, Noctuidae), 46 B. thuringiensis was isolated from 115 samples obtained from several crop soils. Especially, B.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CAB133 and CAB162 isolates showed 100% mortality against S. l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huringiensis subsp. kWaki로 동정되었으나, 생물활성으로 나타난 기주범위및 효과에서 차이가 나타나므로 이들 균주의 분자생물학적인 차이를 검토하게 되었다. 따라서 담배거세미나방에 100%의 사충율을 보인 B.
  • 따라서 본 연구는 농작물의 경작 토양에서 난방제 해충인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을 방제를 목적으로 고도의 활성을 나타내는 새로운 B. thuringiensis 균주를 선발하고, 분리된 균에 대해서 생물활성 및 특성조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paydin, O., A.F. Yenidunya, S. Harsa and H. Gunes. 2005.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thuringiensis strains from different grain habitats in Turkey. World J. Microbiol. Biotechnol. 21: 285-292 

  2. Arson, A.I. 1993 The two faces of Bacillus thuringiensis; insecticidal proteins and post-exponential survival. Mol. Microbiol. 7: 489-496 

  3. Bae, S.D., Park K.B. and Oh Y.J. 1997. Effect of temperature and food source on the egg and larval development of tobacco cutworm, Spodoptera litura Fabricius. Korean F. Appl. Entomol. 36(1): 48-54 

  4. Bae, S.D., Choi B.R. Song Y.H. and Kim H.F. 2003. Insecticide susceptibility in the different larva of tobacco cutworm, Spodoptera litura Fabricius (Lepidoptera: Noctuidae) collected in the soybean fields of Milyang, Korea. Kor. J. Appl. Entomol. 42: 225-231 

  5. Chilcott C.N. and P.J. Wigley. 1993. Isolation and toxicity of Bacillus thuringiensis from soil and insect habitats in New Zealand. F. Invertbr. Pathol. 61: 244-247 

  6. Choi, J.R., W.R. Song, S.Y. Hwang, H.S. Kim and J.O. Lee. 1996. Age-related susceptibility of Spodoptera litura larvae to some insecticides. Korean J. Appl. Entomol. 35: 249-253 

  7. Dulmage, H.T. and K. Aizawa. 1982. Distribution of Bacillus thuringiensis in nature. In E. Kurstak (ed) Microbial and viral pesticides. Marcel Dekker, Inc., New York, pp 209-237 

  8. Finney, D.J. 1971. Probit analysis, estimation of the median effective do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London. 19-47 

  9. Garad, G.P., P.R. Shivpuje and G.G. Bilapate. 1984. Life fecundity tables of Spodoptera litura Fabricius on different hosts. Proc. Indian Acad. Sci. (Anim Sci.). 93: 29-33 

  10. Gill, S.S., E.A. Cowles and P.V. Pietrantonio. 1992. The mode of action of Bacillus thuringiensis endotoxins. Annu. Rev. Entomol. 37: 615-636 

  11. Horikiri, M. 1964. Bionomics and control of tabacco cutworm, Spodoptera litura Fabricius. Plant Quarantine 18: 269-274 

  12. Kim, C.H. and H.Y. Shin. 1987. Studies on bionomics and control tobacco cutworm, Spodoptera litura Fabricius in southern part of Korea. F. Inst. Agr. Res. Util. Gyeongsang National. Univ. 21: 105-122 

  13. Kim, D.A., J.S. Kim, M.R. Kil, Y.N. Youn, D.S. Park and Y.M. Yu. 2006. Isolation and activity of insect pathogenic Bacillus thuringiensis strain from soil. Kor. J. Appl. Entomol. 45(3): 357-362 

  14. Kim, H.S., D.W. Lee, H.W. Park, Y.M. Yu, J.I. Kim and S.K. Kang. 1995c. Distribu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thuringiensis isolated form soils of sericultural farms in Korea. Korean J. Seric. Sci., 37(1): 57-61 

  15. Kim, H.S., H.W. Park, D.W. Lee, Y.M. Yu and S.K. Kang. 1995a.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thuringiensis isolated in granary dust. Kor. J. Apple. Entomol., 34(3): 243-248 

  16. Kim, H.S., H.W. Park, D.W. Lee, Y.M. Yu, J.I. Kim and S.K. Kang. 1995b. Distribu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thuringiensis isolated form soil in Korea. Kor. J. Apple. Entomol., 34(4): 344-349 

  17. Laemmli, U.K. 1970. Cleavage of structural proteins during the assembly of the head of bacteriophage T4. Nature 227: 680-685 

  18. Lecadet, M.M. and D. Martouret. 1967. The enzymatic hydrolysis of Bacillus thuringiensis berliner crystals, and the liberation of toxic fractions of bacterial origin by the cycle of Pieris brassicae (Linnaeus). J. Invertebr. Pathol. 7: 105-108 

  19. Maeda, M., C. Mizuki, Y. Nakamura, T. Hatano, and M. Ohba. 2000 Recovery of Bacillus thuringiensis from marine sediments of Japan. Current Microbiol. 40: 413-422 

  20. Martin P.A.W. and R.S. Travers. 1989. Worldwide abundance and distribution of Bacillus thuringiensis isolates. Appl. Environ. Microbiol. 55: 2437-2442 

  21. Minamikawa, H. 1937. Survey on the tobacco cutworm, Spodoptera litura Fabricius Taiwan Central Res. Ins. Agr. Report 70: 1-66 

  22. Mochida, O. and T. Okada. 1974. A bibliography of Spodoptera spp. (Lepidoptera: Noctuidae). Misc. Bull. Kyushu Nat. Agr. Expt. Sta. 49: 1-110 

  23. Ohba M. and K. Aizawa. 1978. Physiology of spore forming bacteria associated with insects minimal nutritional requirements for growth sporulation and parasporal crystal formation in Bacillus thuringiensis. Appl. Environ. Microbiol. 28: 124-128 

  24. Raymond, M. 1985. Presentation d'un programme d'analyse logprobit pour micro-ordinnateur. Cah. ORSTOM, Ser. Ent. Med. et Parasitol. 22: 117-121 

  25. Schnepf, H.E. 1995. Bacillus thuringiensis toxins; regulation, activities and structural diversity. Curr. Opin. Biotech. 6: 305-312 

  26. Smith R.A. and G.A. Couche. 1991. The phylloplane as a source of Bacillus thuringiensis. Appl. Environ. Bicrobiol. 57: 311-315 

  27. Tabashnik, B.E., N.L. Cushing, N. Finson, M.W. Johnson. 1990. Field development of resistance to Bacillus thuringiensis in diamondback moth (Lepidoptera: Plutellidae). J. Econ. Entomol. 83: 1671-1676 

  28. Tanada, Y. and H.K. Kaya. 1993. Insect pathology, Academic Press, Sandiego, pp. 90-91 

  29. Yamamoto, T. and R.E. McLaughin. 1981. Isolation of a protein from the parasporal crystal of Bacillus thuringiensis var. kurstaki toxic to the mosquito larva, Aedes taeniorliymchus. Biochem, Biophs. Res. Commun. 103: 414-421 

  30. Zhong, C., D.J. Ellar, A. Bishop, C. Johnson, S. Lin and E.R. Hart. 2000. Characterization of a Bacillus thuringiensis ${\delta}$ -endotoxin which is toxic to insects in three orders. J. Invertebr. Pathol 76: 131-139 

  31. Zouari, N. and J. Samir, 1997. Purification and immunological characterization of particular delta-endotoxins from three strains of Bacillus thuringiensis. Biotechol. Lett. 19(8): 825-82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