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여대생의 모유수유 지식 및 태도 조사
A Survey of Female College Students'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Breastfeeding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3 no.3, 2008년, pp.367 - 373  

이현교 (건국대병원) ,  송용 (성균관대학교 무역학과) ,  강남미 (건국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reastfeeding is an ideal approach for physic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babies, as well as recovery of mothers. A breastfeeding education for female students seems to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to increase the Korean women breastfeeding r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ir k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장차 모유수유 동기가 생겨 도.유수유를 결정하게 될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모유 수유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상관관계를 조사함으로써 여대생을 위한 모유수유 증진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얻고자 시도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장차 모유수유 동기가 생겨 도.유수유를 결정하게 될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모유 수유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상관관계를 조사함으로써 여대생을 위한 모유수유 증진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얻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여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모유수유에 대한 자신감, 지식정도와 태도를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들을 통해 수집된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정도와 태도에 관한 자료를 이차분석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는 장차 모유수유 동기가 생겨 모유 수유를 결정하게 될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건강, 보건 등 의학계, 비의학계 관련 전공별 등 주요관련 변수에 따른 모유 수유에 대한 지식과 태도의 상관관계를 조사함으로써 여대생을 위한 모유수유 증진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구체적인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Goulet C, Lampron A, Marcil I, Ross L (2003): Attitudes and subjective norms of male and female adolescents toward breastfeeding. J Human Lactation 19(4): 402-10 

  2. Greene J, Stewart-Knox B, Wright M (2003): Feeding preferences and attitudes to breastfeeding and its promotion among teenagers in Northern Ireland. J Human Lactation 19(1): 57-65 

  3. Houston MJ (1986): Breastfeeding, fertility and child health : a review of international Issues. J Adv Nursing 11(1): 35-40 

  4. Hyun TS, Kim KN, Kang NM, Lim EY (2001): Prenatal beastfeeding education and infant feeding practices in public health centers and baby-friendly hospitals. Korean J Community Nutr 6(4): 678-685 

  5. Hyun TS, Kim KN, Kang NM, Lim E (2002): The Economic Benefits of Breastfeeding. Korean J Community Nutr 7(6): 863-871 

  6. Jeong GH (1997): Effect of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on promoting the breastfeeding practice in primipara. Doctoral thesis,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7. Kang NM (1999): Primiparous Couples"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regarding Breastfeeding). Korean J Women Health Nurs 5(3): 379-388 

  8. Kang NM, Hyun TS, Kim KN (2000a): Breastfeeding Belief and Attitudes of Physicians and Nurses. Korean J Women Health Nurs 6(3): 348-357 

  9. Kang NM, Hyun TS, Kim KN (2000b): Breasting Encouragement and Support of Health Professionals in the Hospitals. Korean J Women Health Nurs 6(3): 357-363 

  10. Kang NM, Song Y (2005): Support and Education to Promote Breastfeeding of Korean Women. Businees Education Review 37(2): 203-216 

  11. Kim, HS (1995): Health care professionals' attitudes, knowledge and confidence on breastfeeding : Metropolitan areas of south Korea. Korean J Women Health Nurs 1(2): 243-253 

  12. Kim YH, Lee KD (1995): A study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infant and determinants of obesity. Korean J Community Nutr 1(2): 217-223 

  13. Kim, KN, Kang NM, Hyun TS (2002a): A Survey on the Feeding Practices of Women for the Development of a Breastfeeding Education Program. Korean J Community Nutr 7(3): 345-353 

  14. Kim, KN, Hyun TS, Kang NM (2002b): Infant feeding practices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feeding practices among women in Seoul and the Chungbuk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8(3): 288-301 

  15. Kim, Y (1998): The effects of a breastfeeding campaign on adolesent Korean women. Pediatric Nursing May-June 24(3): 235-236 

  16. Leffler D (2000): US high school age girls may be receptive to breastfeeding promotion. J Hum Lact 16(1): 36-40 

  17. Martens PJ (2001): The effect of breastfeeding education on adolescent beliefs and attitudes: a randomized school intervention in the Canadian Ojibwa community of Sagkeeng. J Hum Lact 17(3): 245-255 

  18. Poverty KM (1991): WIC and promotion of breast-feeding. Pediatrics 87(3): 399-400 

  19. Mariorie R. Sable CB (1998): Patton. Prenatal Lactation Advice and Intention to Breastfeed: Selected Maternal Characteristics. J Hum Lact 14(1): 35-39 

  20. Sarah K.F.Kong, Diana TF (2004): Factors influencing decision to breastfeed, J Adv Nurs 46(4): 369-379 

  21. Yeo, JH (2005): Influencing Factors in Breast Feeding Duration. Korean J Women Health Nurs 11(2): 142-147 

  22. Wambach, KA, Cole C (2000): Breastfeeding and Adolescents. J Obstet Gynecol Neonatal Nurs 29(3): 282-294 

  23. Williams, EL, Hammer LD (1995): Breastfeeding attitudes and knowledge of pediatricians-in-training. Am J Prev Med 11(1): 26-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