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모유수유 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Breastfeeding Nursing Activities of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5 no.1, 2019년, pp.83 - 92  

양야기 (원광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knowledge, attitudes and nursing activities while breastfeeding among nursing students,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nursing activities in breastfeeding. Method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172 nursing students in the nu...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모유수유 지식과 태도 및 모유수유 간호활동 정도를 확인하고, 모유수유 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간호대학생의 모유수유 간호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 구성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모유수유 지식, 태도 및 모유수유 간호활동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변수 간의 관계 및 모유수유 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모유수유 지식과 태도 및 모유수유 간호활동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변수 간의 관계 및 모유수유 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결과에 따른 주요 시사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모유수유 지식, 모유수유에 대한 태도가 간호대학생의 모유수유 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모유수유 간호활동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모유수유 지식과 모유수유에 대한 태도, 학년, 모유수유 교육 경험, 모유수유 의향은 모유수유 간호활동을 18% 설명하였고,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과 학년이 간호대학생의 모유수유 간호활동의 주된 영향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모유수유 지식과 태도 및 모유수유 간호활동의 수준을 확인하고, 모유수유 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그러나 본 연구는 일부 지역의 간호대학생 만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제한점이 있으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데는 신중을 기해야 한다. 이 연구는 모유수유 지식과 태도, 모유수유 간호활동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고, 간호대학생의 모유수유 간호활동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 전략으로 모유수유에 대한 긍정적 태도 함양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연구결과는 간호교육 측면에서 모유수유 간호활동을 향상시키기 위해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모유수유 지식과 모유수유에 대한 태도를 강화하는 교육 내용을 보완하기 위한 근거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모에게 모유수유를 지속하도록 권장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모유수유란 모성과 영아의 욕구에 맞는 적절한 방법과 양으로 모유가 유방에서 영아에게 직접 전송되는 과정으로(Mulder, 2006), 모아 상호 간의 욕구를 만족시켜 주는 복잡한 상호작용 과정이다(Leff, Jefferis, & Gagne, 1994). 모유는 영아의 평균 혈압과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청소년기와 성인기 비만과 제2형 당뇨병 이환 위험도를 감소시키며, 영아에게서 자주 발생하는 급ㆍ만성 질환의 발병율을 감소시킨다 (Hosea Blewett, Cicalo, Holland, & Field, 2008). 또한, 산모에게는 자궁수축을 촉진하여 산후 출혈 위험성을 낮추고, 배란 억제를 통한 자연 피임 효과와 유방암 및 난소암 발생을 낮추는 장점이 있다(Victora et al., 2016).
모유수유란 무엇인가? 모유수유란 모성과 영아의 욕구에 맞는 적절한 방법과 양으로 모유가 유방에서 영아에게 직접 전송되는 과정으로(Mulder, 2006), 모아 상호 간의 욕구를 만족시켜 주는 복잡한 상호작용 과정이다(Leff, Jefferis, & Gagne, 1994). 모유는 영아의 평균 혈압과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청소년기와 성인기 비만과 제2형 당뇨병 이환 위험도를 감소시키며, 영아에게서 자주 발생하는 급ㆍ만성 질환의 발병율을 감소시킨다 (Hosea Blewett, Cicalo, Holland, & Field, 2008).
모유의 효능은 무엇인가? 모유수유란 모성과 영아의 욕구에 맞는 적절한 방법과 양으로 모유가 유방에서 영아에게 직접 전송되는 과정으로(Mulder, 2006), 모아 상호 간의 욕구를 만족시켜 주는 복잡한 상호작용 과정이다(Leff, Jefferis, & Gagne, 1994). 모유는 영아의 평균 혈압과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청소년기와 성인기 비만과 제2형 당뇨병 이환 위험도를 감소시키며, 영아에게서 자주 발생하는 급ㆍ만성 질환의 발병율을 감소시킨다 (Hosea Blewett, Cicalo, Holland, & Field, 2008). 또한, 산모에게는 자궁수축을 촉진하여 산후 출혈 위험성을 낮추고, 배란 억제를 통한 자연 피임 효과와 유방암 및 난소암 발생을 낮추는 장점이 있다(Victora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hmed, A., Bantz, D., & Richardson, C. (2011). Breastfeeding knowledge of university nursing students. The American Journal of Maternal/Child Nursing, 36(6), 361-367. http://dx.doi.org/10.1097/NMC.0b013e31822de549 

  2. Ahmed, A., & Guindy, S. R. (2011). Breastfeeding knowledge and attitudes among Egyptian baccalaureate students.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58(3), 372-378. http://dx.doi.org/10.1111/j.1466-7657.2011.00885.x 

  3. Bernaix, L. W., Beaman, M. L., Schmidt, C. A., Harris, J. K., & Miller, L. M. (2010). Success of an educational intervention on maternal/newborn nurses' breastfeeding knowledge and attitudes.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 Neonatal Nursing, 39(6), 658-666. http://dx.doi.org/10.1111/j.1552-6909.2010.01184.x 

  4. Choi, E. J. (2017). Breastfeeding-related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ir policy implication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49, 72-81. 

  5. Choler, B. J., Grunebaum, H. U., Weiss, J. L., Hartman, C. R., & Gallant, D. H. (1976). Child care attitudes and adaptation to the maternal role among mentally ill and well mother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46(1), 125-135. 

  6. Digirolamo, A., Thompson, N., Martorell, R., Fein, S., & Grummer-Stran, L. (2005). Intention or experience? Predictors of continued breastfeeding. Health Education and Behavior, 32(2), 208-226. http://dx.doi.org/10.1177/1090198104271971 

  7. Hosea Blewett, H. J., Cicalo, M. C., Holland, C. D., & Field, C. J. (2008). The immunological components of human milk. Advances in Food and Nutrition Research, 54, 45-80. http://dx.doi.org/10.1016/S1043-4526(07)00002-2 

  8. Huggins, K., & Ziedrich, L. (2007). The nursing mother's guide to weaning (2nd ed.). Boston, MA: The Harvard Common Press. 

  9. Jeong, G. H. (1997). Effect of th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on promoting the breast- feeding practice in primipar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0. Jung, M. S., Kim, M. Y., Koh, H. J., Shin, Y. H., Chung, K. A., Lee, I. H., et al. (1994). Nurse's knowledge and nursing activities for breastfeeding promotion. The Korean Journal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Nursing, 3(2), 187-196. 

  11. Kim, J. E., & Park. D. Y. (2001). A study on predicting behavioral intention of breastfeeding among primigravida.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6(3), 331-339. 

  12. Kim, K. H., & Cho, E. A. (2013). Knowledge, attitude and educational needs regarding breast feeding of women's mothers and mother-in-law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ietary Culture, 28(3), 303-311. 

  13. Kim S. H. (2010). Factors affecting mother's adaptation to breastfeed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2), 225-235. http://dx.doi.org/10.4040/jkan.2010.40.2.225 

  14. Koo, S. M., & Kim, T. I. (2012). The duration of exclusive breastfeeding practice and its related factors of married immigrant Vietnamese wome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4), 1672-1683. 

  15. Lee, E. J. (1997). The effect of prenatal breastfeeding education on breastfeeding practice and retension of knowledg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16. Leff, E. W., Jefferis, S. C., & Gagne, M. P. (1994). The development of the maternal breastfeeding evaluation scale. Journal of Human Lactation, 10(2), 105-111. http://dx.doi.org/10.1177/089033449401000217 

  17. Lim J. R., & Lee, J. Y. (2017). A convergence study on knowledge and attitude for breastfeeding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1), 223-232. 

  18. Mulder, P. J. (2006). A concept analysis of effective breastfeeding.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 Neonatal Nursing, 35(3), 332-339. http://dx.doi.org/10.1111/j.1552-6909.2006.00050.x 

  19. Ra, J. S., & Chae, S. M. (2013). Breastfeeding knowledge, attitude, and nursing practice of nurse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9(2), 76-84. http://dx.doi.org/10.4094/chnr.2013.19.2.76 

  20. Smale, M., Renfrew, M. J., Marshall, J. L., & Spiby, H. (2006). Turning policy into practice: More difficult than it seems. The case of breastfeeding education. Maternal and Child Nutrition, 2(2), 103-113. http://dx.doi.org/10.1111/j.1740-8709.2006.00045.x 

  21. Spear, H. J. (2006).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breastfeeding knowledge: A descriptive study. Nurse Education Today, 26(4), 332-337. http://dx.doi.org/10.1016/j.nedt.2005.10.014 

  22. Sung, M. H. (2000). Nurse's knowledge to breast-feeding and nursing activities related to breast-feeding.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6(2), 258-268. 

  23. Vandewark, A. C. (2014). Breastfeeding attitudes and knowledge in bachelor of science in nursing candidates. The Journal of Perinatal Education, 23(3), 135-141. http://dx.doi.org/10.1891/1058-1243.23.3.135. 

  24. Victora, C. G., Bahl R., Barros, A. J., Franca, G. V., Horton, S., Krasevec J., et al. (2016). Breastfeeding in the 21st century: Epidemiology, mechanisms, and lifelong effect. The Lancet, 387(10017), 475-490. http://dx.doi.org/10.1016/S0140-6736(15)01024-7 

  25. Yang, S. F., Salamonson, Y., Burns, E., & Schmied, V. (2018). Breastfeeding knowledge and attitudes of health professional students: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Breastfeeding Journal, 13(8), 1-11. http://dx.doi.org/10.1186/s13006-018-0153-1 

  26. Yeo, J. H. (2007). Maternal psychosocial factors affecting breast feeding practic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3(3), 149-1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