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 검색어에 아래의 연산자를 사용하시면 더 정확한 검색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검색연산자
검색도움말
검색연산자 기능 검색시 예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예1) (나노 (기계 | machine))
공백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예) semi*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통합검색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논문 상세정보

식품 중 아플라톡신 오염도 조사

A Survey of the Presence of Aflatoxins in Food

초록
용어

논문에서 용어와 풀이말을 자동 추출한 결과로,
시범 서비스 중입니다.

경기지역 시중마트와 국내 온라인상에서 유통되고 있는 견과류 및 그 가공식품 79건, 장류 29건, 곡류가공품 등 가공식품 50건에 대해 immunoaffinity column 정제방법을 이용하여 HPLC-FLD로 아플라톡신 오염실태를 조사한 결과 총 158건 중 45건(28.5%)에서 아플라톡신 오염이 확인되었고, 오염수준은 아플라톡신 $B_1$으로서 $0.02{\sim}3.13\;{\mu}g/kg$, 총 아플라톡신으로서 $0.02{\sim}3.96\;{\mu}g/kg$ 범위로 국내 기준치인 $10\;{\mu}g/kg$을 초과하는 것은 없었다. 아플라톡신이 검출된 식품은 견과류 및 그 가공식품에서 34건(43.0%) 장류에서 8건(27.6%),그 외 가공식품에서 3건(6.0%)으로 견과류 및 그 가공식품에서 검출빈도가 가장 높았다. 식품을 개봉하여 1개월, 6개월 보관 후의 아플라톡신$B_1$ 함량은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땅콩, 옥수수스낵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된장의 경우에는 다소 감소하였다.

Abstract

A survey of total aflatoxin levels was conducted on 158 samples (nuts, fermented foods and their processed products) collected in local markets in Gyeonggi-do and Domestic Internet Site. The total aflatoxins were quantified by the immunoaffinity column clean-up method follow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fluorescence detector (FLD). Aflatoxins were found in 45(28.5%) samples including 34 nuts and nut products, 7 soybean pastes, 1 meju, 1 bean product and 2 corn snacks with a range of $0.02{\sim}3.96\;{\mu}g/kg$. These results show that the contamination level of aflatoxin in foods consumed in Korea is low compared with the standard in Korea Food Code($10\;{\mu}g/kg$ as aflatoxin $B_1$). Aflatoxin $B_1$ content was increased in peanuts and com snacks during storage but it was decreased in doenjang (soybean paste).

본문요약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플라톡신 오염이 우려되는 견과류, 장류, 곡류 및 그 가공품을 대상으로 HPLC-FLD 분석법을 이용하여 아플라톡신에 대한 오염실태를 조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플라톡신 오염이 우려되는 견과류, 장류, 곡류 및 그 가공품을 대상으로 HPLC-FLD 분석법을 이용하여 아플라톡신에 대한 오염실태를 조사하였다. 또한 식품의 저장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1. Gourama, H. and Bullerman, L. B.: Aspergillus flavus and Aspergillus parasiticus; aflatoxigenic fungi of concern in foods and feeds-a review. J. Food Protec., 58, 1395-1404 (1995) 
  2. 2. Kurtzman, C. D., Horn, B. W. and Hesselitine, C. W.: Aspergillus nomius, a new aflatoxin producing species related to Aspergillus flavors and Aspergillus tamari. J. of Microbiol., 53, 147-158 (1987) 
  3. 3. IARC. Monograph on the evaluation of carcinogenic risk to humans (Lyon:IARC), Vol. 82, pp. 171 (2002) 
  4. 4. European Commission, Commission Regulation. available at http://europa.eu.int/eur-lex/en/consleg/pdf/2001en_2001R0466_do_ 001.pdf 
  5. 5.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ction levels for poisonous or deleterious substances in human food and animal feed. available at http://www.fsan.fda.gov/~lrd/fdaact.html#afla 
  6. 6.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Joint FAO/WHO food standards programme codex committee on food additives and contaminants. available at http://ftp.fao.org/codex/ccfac37/fa37_19e.pdf 
  7. 7. KFDA: Revision of food standards (KFDA notification 2007-63) (2007) 
  8. 8. KFDA: Revision of food standards (KFDA notification 2007-84) (2007) 
  9. 9. Lee J. O., Oh K. S., Sho Y. S., Park S. S., Suh J. H., Choi W. J., Lee B. H. and Woo G. J.: A survey of total aflatoxin in foods. Annu. Rep. KFDA. 9, 148 (2005) 
  10. 10. Chan D., MacDonald S.J., Boughtflower V. and Brereton P.: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aflatoxins and ochratoxin A in food using a fully automated immunoaffinity column clean-up and liquid chromatography-fluorescence detector. J. Chromatogr. A 1059, 13-16 (2004) 
  11. 11. Jang M. R., Lee C. H., Cho S. H., Park J. S., Kwon E. Y., Lee E. J., Kim S. H. and Kim D. B.: A survey of total aflatoxins in food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fluorescence detector (HPLC-FLD) and liquid chromatography tandem mass spectrometry (LC-MS/M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5), 488-493 (2007) 
  12. 12. Park J. W.: Analysis of peanut and peanut butter retailed in Korea for aflatoxin B1. Korean J. Food Sci. Technol. 38(2), 309-312 (2006) 
  13. 13. Saleemullah, Iqbal A., Khalil I. A. and Shah H.: Aflatoxin contents of stored and artificially inoculated cereals and nuts. Food chemistry. 98(4), 699-703 (2006) 
  14. 14. Kang K. J., Park J. H. and Cho J. I.: Control of aflatoxin and characteristics of the quality in doenjang (soybean paste) prepared with antifungal bacteria. Korean J. Food Sci. Technol. 32(6), 1258-1265 (2000) 
  15. 15. Kang K. J., Jeoung J. H. and Cho J. I.: Inhibition of aflatoxinproducing fungi with antifungal compound preduced by Bacillus subtilis. J. Food Hyg. Saf. 15(2), 122-127 (2000) 
  16. 16. Park K. Y., Lee K. B. and Bullerman L. B.: Aflatoxin in production by Aspergillus parasiticus and its stability during the manufacture of Korean soy paste (doenjang) and soy sauce (kanjang) by traditional method. J. Food Prot. 51, 938-945 (1988) 
  17. 17. Yeo H. J. and Kim J. G.:Effects of cooking and processing on the reduction of aflatoxin content in corn. J. Food Hyg. Saf. 18, 87-93 (2003) 

문의하기 

궁금한 사항이나 기타 의견이 있으시면 남겨주세요.

Q&A 등록

원문보기

원문 PDF 다운로드

  • ScienceON :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