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가치관의 내면화가 청소년들의 신체이미지와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Internalization of Socio-cultural Values Relating to Appearance on Adolescents' Body Images and Clothing Behaviors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8 no.6, 2008년, pp.96 - 109  

이미숙 (충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o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 the effects of internalization of sociocultural values toward appearance on adolescents' body image and clothing behaviors, and to analyze these effects by adolescents' sex and age variables. The research method was survey and the subjects were 447 male and fe...

주제어

참고문헌 (38)

  1. Rudd, N. A., & Lennon, S. J. (2001). Body image: linking aesthetics and social psychology of ap- pearance.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9(3), pp. 120-129 

  2. Keeton, W. P., Cash, T. F., & Brown, T. A. (1990). Body image or body images?: Comparative, multi- dimensional assessment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4(1&2), pp. 213-230 

  3. Thompson, J. K. & Heinberg, L. J. (1999). The media's influence on body image disturbance and eating disorders: we've reviled them. now can we re- habilitate them?. Journal of Social Issues, 55(2), pp. 339-353 

  4. 장희순 (2007) 한국의 성형문화, 어떻게 볼 것인가?; 청소년의 신체상과 성형태도에 대한 고찰. 한국 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7, pp. 6-7 

  5. Levine, M. P. & Smolak, L. (1996). Media as a context for the development of disordered eating. In Smolak, K., Levine, M. P., and Sriegel-Moore, R. (ed.). The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of Eating Disorders: Implications for Research, Prevention and Treatment. New York: Earlbaum Mahwah, pp. 233- 257 

  6. Stice, E. & Shaw, H. E. (1994). Adverse effects of the media portrayed thin-ideal on woman and linka- ges to bulimia symptomatology.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13, pp. 288-308 

  7. 이미숙 (2000). TV 미디어가 청소년의 신체이미지와 의복행동 및 연예인 모방행동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80-86 

  8. 이수경, 고애란 (2005). 여자 중학생의 신체성장에 따른 신체이미지 및 자기존중감, 의복태도 형성모델. 한국의류학회지, 29(3/4), pp. 438-448 

  9. 고은주, 장남경 (2003). 연령과 성별에 따른 청소년의 신체만족도와 의복행동 연구를 통한 패션마케팅전략제안. 대한가정학회지, 41(12), pp. 13-26 

  10. 조선명, 고애란 (2001). 외모에 대한 사회, 문화적 태도와 신체이미지가 의복추구혜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5(7), pp. 1227-1238 

  11. 장희순, 김태련 (2006). 대중대체 노출이 신체상 지각과 상태 신체 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17(2), pp. 57-83 

  12. 홍금희 (2006). 외모의 사회문화적 태도와 신체비만도가 신체이미지와 신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산업학회지, 8(1), pp. 48-54 

  13. Cash, T. F., Winstead, B. W., & Janda, L. H. (1986). The great american shape-up: Body image survey report. Psychology Today, 20(4), pp. 30-37 

  14. 김재숙, 이미숙 (2001). TV 미디어가 청소년의 신체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5(5), pp. 957-968 

  15. 윤진 (1993). 청소년심리학. 한국청소년개발원. 서울: 도서출판 서원, pp. 1-16 

  16. Richards, M. H., Boxer, A., Peter, A. C., & Al- brecht, R. (1990). Relations of weight to body image in public girls and boys from two commu- nities. Developmental Psychology, 26, pp. 313-321 

  17. 이가영 (1997). 신세대 의복행동에 나타난 TV의 영향에 관한 연구-중,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51-54 

  18. 고애란, 김양진 (1996). 청소년의 의복행동에 대한 자아중심성, 자의식, 신체만족도의 영향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0(4), pp. 667-681 

  19. 이명희 (2003). 청소년의 외모관리행동과 라이프스타일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7(9 /10), pp. 1101-1111 

  20. 이은희 (2007). 고등학생의 신체만족도, 외모와 의복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학회지, 10(1), pp. 49-58 

  21. 임경희. 앞의 책, p. 127 

  22. 고은주, 장남경. 연령과 성별에 따른 청소년의 신체만족도와 의복행동 연구를 통한 패션마케팅전략제안. 대한가정학회지, 41(12), pp. 17-18 

  23. 박지현 (2007).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연구.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0(3), pp. 75-85 

  24. 김광경, 이금실, 정미실 (2001). 다차원적 신체이미지가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5(2), pp. 358-365 

  25. 송경자, 김재숙 (2005). 신체이미지에 따른 성형요구, 자아개념, 의복행동-다중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한국의류학회지, 29(3/4), pp. 391-402 

  26. Horn, M. J., & Gurel, L. M. (1981). The second skin(3rd ed.). Boston: Houghton Miffin Co., pp. 133-154 

  27. MacGillivary, M. S., & Wilson (1997). Clothing and appearance among early, middle, and late ado- lescent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5 (1), pp. 43-59 

  28. 고은주, 장남경. 연령과 성별에 따른 청소년의 신체만족도와 의복행동 연구를 통한 패션마케팅전략제안. 대한가정학회지, 41(12), pp. 19-21 

  29. 이은희. 고등학생의 신체만족도, 외모와 의복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학회지, 10(1), p. 54 

  30. 심정은, 고애란 (1997). 청소년기의 자의식 및 체중조절행동과 의복행동과의 관련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1(8), pp. 1334-1345 

  31. 이송자, 곽인숙, 이수정 (2004). 남.녀 고등학생의 심리적 특성과 의복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26(4), pp. 467-474 

  32. 박성연, 이종미, 임숙자 (2001). 남?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물질주의 가치관과 의생활.식생활 행동. 대한가정학회지, 39(8), pp. 1-18 

  33. Heinberg, L. J., Thompson, J. K., & Stormer, S (1995).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ocio- cultural attitudes towards appearance questionnaires.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17(1), pp. 81-89 

  34. 이상선, 오경자 (2003). 외모관련 사회문화적 태도 설문지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4), pp. 927-940 

  35. 하주연, 고애란, 정미실 (2005). 여고생의 감각추구성향과 신체이미지에 따른 의복행동 및 헤어스타일 태도. 한국의류학회지, 29(5), pp. 715-726 

  36. 이미숙. TV 미디어가 청소년의 신체이미지와 의복행동 및 연예인 모방행동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77 

  37. 고은주, 장남경. 연령과 성별에 따른 청소년의 신체만족도와 의복행동 연구를 통한 패션마케팅전략제안. 대한가정학회지, 41(12), pp. 19-21 

  38. Groesz, L. M., Levine, M. P., & Murnen, K. K. (2002). The effect of experimental presentation of thin media images on body satisfaction: A meta- analytic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31, pp.1-16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