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세 이상 성인의 구강건강실천 결정요인에 관한 구조방정식 모형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Determinants of Oral Health Practice in Adults Aged 20 Years or Older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8 no.9, 2017년, pp.161 - 174  

허성은 (신라대학교 보건복지대학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성인의 구강건강실천 결정요인에 관한 인과관계를 융합적으로 분석하여 성인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함이다. 연구방법은 부산 경남지역에 거주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자료 204부를 Smart PLS v2.0 M2 소프트웨어를 통해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구강건강신념 요인 중 구강병의 심각성 및 감수성과 구강관리행위의 유익성이 구강 건강 관련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일상적 구강건강관리행위 자기효능감은 구강건강실천 전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건강신념 요인 중 구강병의 심각성 및 감수성과 구강병 예방행위의 유익성은 칫솔질 관련 자기효능감을 경유하여 칫솔질 습관과 구강검진 및 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인의 계속 구강 건강관리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구강건강신념에 대한 인식 개선과 함께 다양한 교육 매체를 개발하는 등의 전략적 노력이 이루어진다면 구강건강관련 자기효능감이 높아져 지속가능한 구강건강실천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oral health promotion in adults by analyzing causal relationships for oral health practice determinants. A total of 204 questionnaires obtained from adults living in Busan and Gyeongnam area were analyzed to verify the study model with the Smart PLS v2.0 M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의 구강 건강신념과 구강건강 관련 자기효능감을 파악하여 구강 건강 실천 결정 요인을 융합적 인과관계로 그 특징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성인의 구강 건강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계속 구강 건강관리 프로그램 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의 구강 건강신념과 구강건강 관련 자기효능감을 파악하여 구강 건강 실천 결정 요인을 융합적 인과관계로 그 특징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성인의 구강 건강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계속 구강 건강관리 프로그램 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 그러나 구조 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각 요인 간의 인과관계 파악하여 구강 건강실천 결정요인을 규명한 융합연구는 아직 보고된 바 없다. 이에 성인의 구강 건강 인식개선 및 태도 변화에 필요한 구강건강실천 결정요인을 파악하여 성인의 구강건강 증진 및 유지에 기여하고자 한다.
  • 인들을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융합적 분석 방법으로 주요 영향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성인의 구강 건강 증진 및 유지를 위한 성인 구강 보건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시도되었다.

가설 설정

  • 가설 16. 칫솔질 관련 자기효능감은 구강검진 및 교육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15. 칫솔질 관련 자기효능감은 식이습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인의 대부분이 상실된 치아 부위가 많은 이유는? 성인의 대부분은 치아우식증과 치주병이 축적되어 있으며 계속 진행된 치아우식증과 치주병으로 인하여 상실된 치아 부위가 많다[1].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15년 진료비 통계지표에 따르면 다빈도 상병 순위 2위에 ‘치은염 및 치주질환’, 6위에 ‘치아우식증’이 올라 있으며 특히,2015년 기준으로 치은염 및 치주질환의 진료 인원의 절반가량인 42.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지표에 따른치아우식증의 순위는? 성인의 대부분은 치아우식증과 치주병이 축적되어 있으며 계속 진행된 치아우식증과 치주병으로 인하여 상실된 치아 부위가 많다[1].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15년 진료비 통계지표에 따르면 다빈도 상병 순위 2위에 ‘치은염 및 치주질환’, 6위에 ‘치아우식증’이 올라 있으며 특히,2015년 기준으로 치은염 및 치주질환의 진료 인원의 절반가량인 42.1%가 40~50대 성인으로 나타났다[2].
구강 건강 행동 실천에 중요한 요인인 구강 건강신념모형의 특징은? 구강 건강 행동 실천에 중요한 요인인 구강 건강신념모형은 Kegeles[6]에 의해 건강신념모형이 구강 보건 분야에 적용된 것이다. 이는 본인이 질병에 걸릴 가능성이 높고 자신의 행위로서 질병에 걸릴 가능성을 줄이거나 피할 수 있다고 믿는다면 자신의 구강 건강관리 및 예방행위를 열심히 할 것이며 치의학적 권고 역시 순응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구강 건강신념은 성인의 계속 구강 건강관리 및 구강 건강증진에 있어 중요한 요인임이 틀림없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Commission on Textbook Development, "Public oral health", komoonsa, pp. 99, 2013. 

  2. http://www.hira.or.kr/dummy.do?pgmidHIRAA020041000000&cmsurl/cms/inform/02/1349474_27116.html&subject#none 

  3. D. S. Kang, H. S. Lee, "Work Loss Caused by Oral Diseases in Korean Workers", J.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Vol. 27, No. 2, pp. 305-317, 2003. 

  4. H. S. Kwun, J. H. Lee, H. Y. Kim, H. K. Kang, M. Y. Kim, J. Y. Kim, J. H. Kim, H. J. Kim, H. J. Bok, B. H. Lee, S. M. Lee, S. J. Lee, S. S. Choi, J. M. Choi, "Community Oral Health Practice Management", komoonsa, pp.77, 2012. 

  5. J. H. Kim, M. H. Hong, M. A. Jeong, "Subjective oral health awareness level and quality of life Study", J.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1, No. 1, pp. 57-67, 2010. 

  6. S. S. Kegeles, "Some changes required to increase the public's dentistry", J. of The Pub Health Dent, Vol. 28, No. 1, pp. 19-26, 1968. 

  7. B. J. Chang, " Study on Relation between Dental Health Beliefs and Dental Health Behavior in the High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J. of The Dental Hygiene Science, Vol. 8, No. 3, pp. 163-168, 2008. 

  8. J. Y. Song,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Oral Health Beliefs to Oral Health Practices of Male High School Students in Part Areas", J. of Dental Hygiene Science, Vol. 12, No. 3, pp. 227-233, 2012. 

  9. Y. J. Choi, "Converged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Beliefs, Oral Disease Preventive Intention and Oral Disease Preventive Activities in Partial Middle Aged Adults", J.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7, No. 4, pp. 209-215, 2016. 

  10. B. H. Jun, A Correlative Study of Children's Dental Health Beliefs and Dental Health Behaviour. Chung Ang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6. 

  11. K. H. Ka, S. J. Moon, I. Y. Ku, "The relationship Between of Marriage Migrant Women's Oral Health Belief and Self-Efficacy on Oral Health Awareness.", J.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12, pp. 8487-8469, 2015. 

  12. Bandura, Albert, Y. S. Park, U. C .Kim,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Seoul: Kyoyookkwahaksa, 2001. 

  13. B. Y. Choi, Effect of Oral Health-Related Self Efficacy and Social Support on Lifestyle for Promoting Oral Health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Adolescents, Wonkwang University, Doctor's thesis, 2014. 

  14. Anagnostopoulos F, Buchanan H, Frousiounioti S, Niakas D, Potamianos G., "Self-efficacy and oral hygiene beliefs about tooth brushing in dental patients: a model-guided study", Behav Med, Vol. 37, No. 4, pp. 132-139, 2011. 

  15. E. M. Noh, E. S. Jeon, S. Y. Ko, "Relationship of Oral Health Behavior to Self-Efficacy among the Elderly.", J. of Dental Hygiene Science, Vol. 14, No. 2, pp. 167-175, 2014. 

  16. Bandura A, Social foundation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1th ed. New Jersey: Prentice-Hal, 1986. 

  17. S. M. Kim, H. S. Lee, "Oral Health Belief and Oral Health Behavior of Taxi Driver in Jeollabuk-do", J. of Dental Hygiene Science, Vol. 15, No. 5, pp. 542-550, 2015. 

  18. H. E. Kang, J. S. Choi, "Analysis of factors associated with oral care self-efficacy in the type 2 diabetic patients", J.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Vol. 12, No. 6, pp. 1203-1211, 2012. 

  19. Y. B. Oh, Childrens's dental health behavior in relation to their mothers'socioeconomic factors and dental health beliefs, Wonkwang University, Doctor's thesis, 1995. 

  20. E. J. Kim, A study on the Belief and the Behavior in Dental Health, Dankook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1. 

  21. B. R. Lee, The Effect of Oral Health Belief on Oral Health Behaviors in Dental Hygiene Student, Wonkwang University, Doctor's thesis, 2015. 

  22. S. S. Cho, Recognition on Oral Health and its Care By Workers in Enterprising Place,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2000. 

  23. Fornell, Claes, "Two Structural Equation Models: LISREL and PLS Applied to Consumer Exit-Voice Theory", J. of Marketing Research, Vol. 19, No. 4, pp. 440-453, 1982. 

  24. Gefen D., Straub D.,Boudreau, M.-C.,"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Regression: Guidelines for Research Practice", J. of Communications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Vol. 4, No. 47 pp. 1-77, 2000. 

  25. M. H. So, H. J. Choi, "Influencing factors of oral health behavior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health belief model.", J.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Vol. 13, No. 4, pp. 623-629, 2013. 

  26. E. S. Cho, "The Effect of Middle Schoolers' Oral Health Awareness on Oral Health Condition and Oral Health Behavior.", J.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4, No. 10, pp. 5020-5028, 2013. 

  27. S. U. Yoon, S. J. Jang,"Convergent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knowledge and oral health behavior of health-related and health-unrelated majors university students in some areas", J.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7, No. 1, pp. 7-104, 2016. 

  28. Y. I. Kim, S. H. Yu, "Influencing factors on oral health related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in high school students, J.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Vol. 15, No. 1, pp. 129-135, 2015. 

  29. E. K. Kim, "Cognizance and practice for the oral health of the workers of facility with an attached dental clinic",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09. 

  30. H. K. Kang, S. E. Heo, "Convergence Assessm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Practice and Dental Caries Risk among Manufacturing Workers -With the CRT(R) bacteria", J.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6, pp. 65-74, 2015. 

  31. Siddall LA, Relationships of age, osteoporosis knowledge, self-efficacy and health beliefs in adult women. Clarkson College, Nebraska, Unpublished master's thesis, 19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