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재로 보강된 숏크리트 거동의 수치해석적 연구
A Numerical Study on the Behavior of Shotcrete Reinforced by Various Steel Supports 원문보기

터널과 지하공간: 한국암반공학회지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v.18 no.3 = no.74, 2008년, pp.226 - 238  

이상돈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기술원 지반연구그룹) ,  박연준 (수원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임두철 (극동엔지니어링(주)) ,  손정훈 (한라산업개발(주)) ,  유광호 (수원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김수만 (수원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숏크리트의 지보성능을 보완하기 위해 사용되는 강지보재는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되지만 강지보재 종류별 성능이 파악되지 못하여 설계에 제대로 반영하지는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강지보재에 의해 보강된 숏크리트의 특성을 휨인성 시험을 통하여 파악하고, 그 결과를 수치해석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시험결과 철근보강 숏크리트는 H 형강이나 격자지보에 비해 지보능력이 다소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시험체가 휨인장 파괴를 유도하기에는 다소 짧아서 전단파괴가 발생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치해석을 이용한 안정성 해석 시 숏크리트와 강지보재를 별도로, 그리고 이들 복합체에 대한 등가물성을 구하여 각각 해석한 바 두 결과가 잘 일치하여 등가물성을 이용한 복합체 해석으로도 간편하게 강지보재의 효과를 모사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eel ribs which are used to enhance the supporting capability of the shotcrete are estimated to be very effective, but their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types of steel support are not well understood enough to be considered in the design stage. This paper describes the behavior of the shot...

주제어

참고문헌 (15)

  1. 문홍득, 1999, 격자지보의 터널지보재로서의 현장 적용 성 평가연구, 한국암반회, Vol. 9, No. 3. pp 204-213 

  2. 에스케이건설(SK건설), 2004, 터널 지보특성 개선을 위한 보강합성섬유 습식 숏크리트 공법 개발 

  3. 이상필, 2006, "터널 영구 지보재로서의 숏크리트 고성능화 및 내구성 평가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조병욱, 박연준, 유광호, 김수만, 임두철, 이상돈, 2007 휨 인성을 고려한 강섬유보강 숏크리트 거동의 수치해석적 연구, 터널과 지하공간, Vol.17, No. 5. pp 411-427 

  5. 천원공업(주), 1996, 터널용 강지보(Lattice Girder), 홍보 팜플렛 

  6. 한국도로공사, 2002, 도로설계요령 (4)터널 (5)포장 

  7. 한국도로공사, 2003, 터널숏크리트 품질개선 

  8. 한국도로공사, 2005, 고속도로 공사 전문시방서 (토목편) 

  9.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기술원, 2002, 암반등급에 따른 도로터널 지보 체계 개선 연구,연구보고서 

  10. 한국산업규격, 2005, "강섬유보강 콘크리트 휨인성 시험방법" 

  11. Baudendistel, M., 1985, Significance of the Unsupported Span in Tunnelling, Tunnelling '85, pp. 103-109 

  12. JSCE, 1984,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research subcommittee, recommendation for design and construction of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Concrete Library of JSCE, No. 3 

  13. Hoek, E. and Brown, E.T., 1980, Underground Excavations in Rock, The Institute of Mining and Metallurgy, London, pp.527 

  14. Hoek, E. and Wood, D., 1992, Rock Support, World tunnelling, pp. 137-142 

  15. Hoek, E., Kaiser, P.K. and Bawden, W.F., 1995, Support of Underground Excavations in Hard Rock, Ballkema, pp. 2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