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수 및 직물 공예품의 보존처리
Conservation of Embroidered Textiles and Textile Works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8 no.5, 2008년, pp.198 - 210  

유효선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conservation methods of embroidered textiles and textile works. The conservation of remained textiles is consisting of examination, cleaning, support and consolidation, restoration, and storage and display process. It aims to prevent the damage on textil...

주제어

참고문헌 (35)

  1. Landi, S. (1987). The Textile Conservator's Manual. London: Butterworths 

  2. Timar-Balazsy, A. & Eastop, D. (1998). Chemical Prin- ciples of Textile Conservation, Butterworth-Heinemann Series in Conservation and Museology. London: Butter- worths 

  3. 한영화 (2003). 전통자수. 서울: 대원사 

  4. 이학 (1990). 韓繡硏究 한수연구. 한국자수문화협의회 

  5. 박성실 (1998). 북한지방의 전통복식. 북한지방의 전통복식.개화이후 -해방전후. 서울: 단국대학교 부속 석주선기념민속박물관 

  6. Timar-Balazsy, A. & Eastop, D. (1998). Cousens S. Second Sight: Further Investigation into the Construction of Ecclesiastical Embroideries and Tapestries in The Getty Conservation Institute (eds.) The Conservation of Tapestries and Embroideries (pp. 49-51). Los Angeles: The Getty Conservation Institute 

  7. 김선경, 조효숙 (2005). 불복장 직물의 구조특성 및 연대규명. 복식, 55(8), pp. 73-84 

  8. Flury-Lemberg, M. (1988). Textile conservation and research: a documentation of the textile department on the occasion of the twentieth anniversary of the Abegg Foundation. Bern: Schriften der Abegg 

  9. 안춘순 (1999). 복식유물의 연구에 있어서 분광화학분석의 활용. 복식, 49, pp. 49-63 

  10. Darrah J.A, & Jaro M. eds. (1989). Conservation of metals: problems in the treatment of metal-organic and metal-inorganic composite objects: International Restorer Seminar. Veszprem, Hungary, 1-10 July, 1989, pp. 53-63 

  11. 허동화 (2001). 옛 자수의 제작과정에 대하여. 이렇게 좋은 자수. 한국자수박물관, pp. 268-271 

  12. 허동화 (1978). 韓國의 刺繡. 삼성출판사 

  13. 광주민속박물관 조사연구소 (2005). 광주의 민속공예 (제 13집), 광주민속박물관, p. 172 

  14. Chung, Y.Y. (2005). Silken threads: a history of embroidery in China, Korea, Japan, and Vietnam, New York: Harry N. Abrams Inc. pp. 363-369 

  15. 이상준, 백영미, 이건, 차미선, 권영숙 (2003). 대전 대덕구 출토 16세기 출토복식유물에 서식하는 곰팡이에 관한 연구. 복식, 53(5), 한국복식학회, pp. 23-31 

  16. Pertegato F.(Francesco). Three Embroidered Pilaster Panels from the Church of San Pietro at Broni in The Getty Conservation Institute(eds.) The Conser- vation of Tapestries and Embroideries(pp. 25-32). Los Angeles: The Getty Conservation Institute 

  17. Hofenk de Graaff, J.H.(2004). The Colorful Past; Origins, Chemistry and Identification of natural dyestuffs, Riggisberg, Switerland and London, UK: Abegg-Stiftung and Archetype Publications Ltd 

  18. 장현주, 고순희 (2007). 중국 직물에 사용된 금장식기법의 유형과 특성. 복식, 57(9), pp. 1- 15 

  19. 장현주, 고순희 (2006). 조선시대 복식에 사용된 금장식 기법의 유형과 특성. 服飾, 56(4), pp. 82-95 

  20. Timar-Balazsy, A. & Eastop. D. (1998). Cousens S. Second Sight: Further Investigation into the Construction of Ecclesiastical Embroideries and Tapestries in The Getty Conservation Institute (eds.) The Conservation of Tapestries and Embroideries (pp. 49-51). Los Angeles: The Getty Conservation Institute, pp. 118-137 

  21. Rosso King, R. (1985). Textile identification, conser- vation and preservation. New Jersey: Noyes publi- cations 

  22. 빙허각 이씨, 정양완 역 (1992). 규합총서. 보진재 

  23. 河上繁樹 (2004). 染織品の修理. 日本の美術2. 453. 至文堂 

  24. 澤田むつ代 (2006). 法隆寺寶物館の染織品と修理について. 한국복식, 24, pp. 7-38 

  25. Leene, J.E, eds. (1972). Textile Conservation. Inter- national Institute for Conservation of Historic and Artistic Works. London: Butterworths 

  26. 문화재관리국 (1994). 복식 보존처리 보고서(1992 - 1994) 

  27. Ryabova M.(Margaret). The Restoration of Old Russian Embroidery in Szalay, Z. & Balazsy, A(eds.),(1983), Restorer's-museologist's-scientist's common responsi- bility in the protection of museum objects; The restored object as a source of historical and tec- hnological information; Fourth International Restorer Seminar, Veszprem, Hungary, 2-10 July 1983 (pp. 161-168) Budapest: National Center of Museums 

  28. Masschelein-Kleiner L. (1987). Summary of Discussion in The Getty Conservation Institute(eds.) The Conservation of Tapestries and Embroideries(pp. 1-3). Los Angeles: The Getty Conservation Institute 

  29. Schoefer, M. & Lestoquoit, D., The Restoration of Twelfth-Century Liturgical Sandal at the Musee Historique des Tissus in Lyons. op. cit., pp. 41- 47 

  30. Timar-Balazsy, A. & Eastop, D. (1998). Cousens S. Second Sight: Further Investigation into the Construction of Ecclesiastical Embroideries and Tapestries in The Getty Conservation Institute (eds.) The Conservation of Tapestries and Embroideries (pp. 49-51). Los Angeles: The Getty Conservation Institute, p. 406 

  31. 오준석, 노수정 (2007). 경상북도 안강 행주 기씨 묘 출토 직금단 치마와 저고리 보존처리. 복식, 57(9), 한국복식학회, pp. 67-75 

  32. 유효선 (2003). 파평윤씨 모자 미라 출토복식 중 금직류 및 소품의 보존처리. 파평윤씨 모자 미라 종합 연구 논문집 2. 고려대학교 박물관, pp. 183-212 

  33. 배지혜, 박지선 (2006). 진주류씨 합장묘 출토 금사호표흉배(金絲虎豹胸背)의 보존처리. 진주류씨 합장묘출토복식 안성대덕면무능리. 경기도박물관학술총서, pp. 68-73 

  34. 조효숙, 이은진 (2006). 진주류씨 합장묘 출토직물에 관한 연구. 진주류씨 합장묘출토복식 안성대덕면무능리. 경기도박물관학술총서, pp. 76-113 

  35. 유효선, 박미진 (2004). 사모의 보존 처리에 관한 연구. 韓國服飾, 22, 단국대학교, pp. 61-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