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견본 회화보존처리에 자외선 인공열화견의 적용성 평가
Estimation of Application of Artificially Deteriorated Silk by Ultraviolets for Conservation of Paintings on the Silk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27 no.2, 2011년, pp.191 - 199  

오준석 (국립민속박물관 보존과학실) ,  전지연 (국립민속박물관 보존과학실) ,  임인경 (원주역사박물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견본 회화 문화재의 보존처리의 보견작업에 적합한 자외선 인공 열화견을 얻기 위해 자외선의 종류, 자외선 조사시간에 따른 열화견의 물리적 특성과 견본 회화 보존처리에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장파장 자외선(UV-A) 조사 열화견은 단파장 자외선(UV-C) 조사 열화견에 비해 자연상태에서 열화가 일어난 생견과 유사한 표면 손상 형태를 보였다. UV-C 열화견은 자외선 조사와 함께 강도가 급격하게 떨어져 54시간을 조사하였을 때 원래 강도의 12.7%까지 저하한 반면 UV-A 열화견은 168시간 조사하였을 때 원래 강도의 14.2% 수준으로 떨어져 강도 저하가 완만하였다. UV-A 열화견의 수분율은 자외선 조사시간의 증가와 함께 7.3%까지 떨어지다가 증가하지만 UV-C 열화견은 6.0%까지 떨어지다가 다시 증가하였으며 전체적으로 UV-A 열화견의 수분이 높았다. UV-A 열화견은 밝은 황색을 띠며 황변지수가 낮은 반면 UV-C 열화견은 어두운 황갈색이며 황변지수가 높았다. 견본 회화 보존처리에의 적용성을 평가한 결과, UV-A 열화견은 UV-C 열화견에 비해 황변에 의한 색상차가 크지 않아 보견 작업시 염색이나 보채에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을 정도이며, 강도면에서 UV-C 열화견은 섬유가 부서지기 쉬운 상태인 것과는 달리, UV-A 열화견은 자연상태에서 열화가 일어난 생견과 유사한 속심이 살아있는 듯한 느낌을 띠었다. 그리고 UV-A 열화견과 UV-C 열화견 모두 친수성을 가져 보채에는 문제가 없었다. 전반적인 평가 결과 UV-C 열화견 보다 UV-A 열화견이 견본 회화의 보견에 사용하기 적합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study was done to compare the properties of artificially deteriorated silk with ultraviolets for reinforcing of loss area of paintings on silk. Deteriorated surface of raw silk irradiated by long-wavelength ultraviolet(UV-A) than short-wavelength ultraviolet(UV-C) was similar to naturally aged ra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에서의 입수의 어려움과 보존처리에 있어서의 단점을 가진 전자선 열화견의 사용을 지양하고 자외선 열화견 제조에서의 단점으로 지적되어 온장시간 제작 기간 소요라는 한계를 극복하고 보다 단시간에 보존처리에 적합한 성질을 가진 자외선 열화견을 얻기 위해, 자외선의 종류, 자외선 조사 시간에 따른 열화견의 특성과 견본 회화 보존처리에의 적용성을 평가한 것이다.
  • 이때 보견용 열화견의 친수성이 떨어지면 보채나 염색에 어려움이 생기기 때문에, 보채나 염색 작업이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열화견의 친수성이 높아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열화견이 가진 친수성의 척도를 일정 습도에서 열화견에 함유된 수분률로 평가였다.

가설 설정

  • 자외선 열화견의 수치화된 물성 평가와 함께 서화보존 처리가가 열화견을 사용하여 실제 견본 회화의 보견 작업을 가정한 평가가 필요하였다. 이를 위해 자외선 열화견의 절단되는 정도를 인또(서화보존처리용 칼)를 사용하여 실제 보견 작업처럼 잘라보며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UV-C 열화견은 자외선 조사와 함께 강도가 급격하게 떨어져 54시간을 조사하였을 때 원래 강도의 몇 %까지 저하했는가? 장파장 자외선(UV-A) 조사 열화견은 단파장 자외선(UV-C) 조사 열화견에 비해 자연상태에서 열화가 일어난 생견과 유사한 표면 손상 형태를 보였다. UV-C 열화견은 자외선 조사와 함께 강도가 급격하게 떨어져 54시간을 조사하였을 때 원래 강도의 12.7%까지 저하한 반면 UV-A 열화견은 168시간 조사하였을 때 원래 강도의 14.2% 수준으로 떨어져 강도 저하가 완만하였다.
견본 회화 문화재의 보존처리의 보견작업에 적합한 자외선 인공 열화견을 얻기 위해 어떻게 했는가? 견본 회화 문화재의 보존처리의 보견작업에 적합한 자외선 인공 열화견을 얻기 위해 자외선의 종류, 자외선 조사시간에 따른 열화견의 물리적 특성과 견본 회화 보존처리에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장파장 자외선(UV-A) 조사 열화견은 단파장 자외선(UV-C) 조사 열화견에 비해 자연상태에서 열화가 일어난 생견과 유사한 표면 손상 형태를 보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口?治, 西浦忠輝, "??修理?潢師連盟, 電子線による補修用絹の劣化促進?理". 表具の科?, 東京?立文化財?究所, 東京, p160-163, (1977). 

  2. 中條利一?, 井上嘉, 岡岩太?, "電子線劣化絹の電子?微鏡?察". 文化財保存修復?? 第19回大? 講演要旨集, p32-33, (1997). 

  3. 日本 特許, 特開昭 49-86696, 文化財補修用絹布の製造方法, (1974). 

  4. 川野??, 佐野千?, 米山めぐ美, 三浦定俊, 田畔?一, 岡岩太?, "紫外線劣化絹の修復材料への?用の可能性". 保存科?, 35, p40-48, (1996). 

  5. 佐野千?, 米山めぐ美, 川野邊?, ?田勝彦, 三浦定俊, 間淵久夫, "電子線劣化など各種劣化促進?理など補修用絹の劣化機構に?する考察". 保存科?, 40, p1-13, (2001). 

  6. 日本 特許, 特開平 9-67763, 紫外線を用いた文化財修復用人工劣化絹の調製方法, (1997). 

  7. F.W. Billmeyer, Jr, M. Saltzman, "Principles of Color Technology". 2nd Ed., John Wiley & Sons, New York, p65, (1981). 

  8. 平林潔, "絹の劣化と保存", 古文化財の科?, 26, p24-34, (1981). 

  9. Yoshikuni Yanagi, Yoshiyuki Kondo, Kiyoshi Hirabayashi, "Structure and deterioration of silk fabrics of the edo period", 日本????誌, 69, p105-109, (2000). 

  10. ??山幸一, "絹の??に?する?究 III. ??に及ぼす水の影響と??絹のアミノ酸組成の?化". 日本????誌, 45, p351-357, (197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