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족구조에 따른 자기보호아동과 성인보호아동의 학교적응 및 자의식 정서
Analysis of Adaptation and Self-Consciousness between Supervised and Unsupervised Children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6 no.2 = no.238, 2008년, pp.85 - 96  

이정숙 (한양대학교 아동심리치료학과) ,  김은경 (한양대학교 아동심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iven the evolving nature of the family unit, a large number of children are being left unsupervised after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adaptation ability and emotional capacity of these children. To achieve this objective, we investigated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7...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가정환경 상황을 환경적인 위기나 구조적 변화에 의한 자기보호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분류하여 각각의 경우에 자기보호아동과 성인보호아동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살펴보는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성인보호냐 자기보호냐 하는 보호 양식에 따른 아동의 학교적응 및 자의식 정서의 차이를 알아보고, 또 부모가 이혼, 별거, 재혼하거나 어느한쪽이 사망한 경우에 해당하는 구조적 재편성 가족 혹은 재조직화 가정과 이에 해당하지 않는 일반 가족을 나누어서 각각의 경우에 자기보호아동과 성인보호아동의 학교적응과 자기의식정서를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아동기의 자기보호와 성인보호가 학교 적응 및 자의식정서에 미치는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사회적 변화 속에서 늘어가고 있는 자기보호아동의 적응과 정서를 이해하고자 했다. 이에 먼저 조사대상자의 아동기 보호 상황을 조사하였는데, 평소 학교를 마치고 오면 집에 부모나 어른이 있었다고 답변한 성인보호의 경우가 54%였고, 나보다 어린 동생만 있었거나 혹은 아무도 없었다는 자기보호의 경우가 46%로’ 성인보호가 약간 더 많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Elkinda981)는 발달적으로 자기보호가 준비되지 않은 상황에서 너무 빨리 그리고 너무 많은 책임을 지고 살아가는 아동들의 모습을 “쫓기는 아이들 증후군(the hurried child syndrome)”이라고 명명했는데, 아동의 이러한 자기보호 상황은 사회적인 변화속에서 앞으로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자기보호의 영향을 이해하는 것을 필요한 일이라고 본다. 이번 연구에서는 자기보호아동의 학교적응과 자기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아동의 외적 적응과 내적인 역동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했으며, 가정상황의 특수성을 연구에 반영하여 환경적인 조건이 자기보호아동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데 기초가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했다. 이제 이 연구의 제한점을 밝히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을 하고자 한다.
  • 이상의 연구에서는 자기 보호아동과 성 인보호아동의 학교 적응 및 자의식정서의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사회적 변화 속에서 늘어가고 있는 자기보호아동의 적응과 정서를 이해하고자 했다. Elkinda981)는 발달적으로 자기보호가 준비되지 않은 상황에서 너무 빨리 그리고 너무 많은 책임을 지고 살아가는 아동들의 모습을 “쫓기는 아이들 증후군(the hurried child syndrome)”이라고 명명했는데, 아동의 이러한 자기보호 상황은 사회적인 변화속에서 앞으로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자기보호의 영향을 이해하는 것을 필요한 일이라고 본다.
  • 이번 연구에서는 자기보호아동의 학교적응과 자기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아동의 외적 적응과 내적인 역동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했으며, 가정상황의 특수성을 연구에 반영하여 환경적인 조건이 자기보호아동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데 기초가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했다. 이제 이 연구의 제한점을 밝히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째, 이번 연구에서는 가정형태에 따른 자기보호와 성인보호를 연구하였으나 여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생각되는 또 다른 요인인 사회 경제적인 면이나 가정 내적인 상황, 주거지역이나 생활 환경상의 문제 등은 반영하지 않았는데, 추후의 연구에서는 가정이나 지역의 환경의 영향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 이제까지의 연구가 주로 자기보호아동의 외로움이나 따분함, 불안과 공포 등 자기보호가 아동에게 미치는 직접적인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데 치중했다면(Long & Long, 1982) 이번 연구에서는 자기보호와 성인보호가 보다 무의식적인정서로 분류되는(Harder, 1995) 수치심과 죄책감의 정도에서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비율을 차지하는가? 둘째, 자기보호아동과 성인보호 아동의 학교애착과 교우관계, 수치심과 죄책감에는 차이가 있는가? 셋째, 일반가정에 속한 아동의 자기보호와 성인보호 간에는 학교적응과 자의식정서에 차이가 있는가? 넷째, 구조적 변화를 경험한 구조적 재조직화 가정에서 성장한 아동이 자기보호 상태에 있었던 경우와 성인보호 상태에 있었던 경우, 각각은 학교적응과 자의식정서에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1)

  1. 김명숙, 정영숙(1997). 방과후 자기보호와 성인보호아동의 적응. 한국영유아보육학, 9, 183-196 

  2. 김민정(1997). 여대생의 아동기 성학대 피해 경험과 심리사회적 손상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박현선(1998). 빈곤청소년의 학교 적응 유연성.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4. 보건복지부(2002). 방과후보육 활성화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5. 서은주(2006). 방과후 보호형태에 따른 아동의 심리적 복지에 관한 연구. 아동교육, 15(4), 287-296 

  6. 신연식(1990). 어린이의 이해와 지도. 서울: 학문사 

  7. 심종온(1999). 수치심 경향성, 죄책감 경향성 및 사건귀인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여성특별위원회(2000). 방과 후 아동보육실태분석과 종합대책수립을 위한 연구. 여성특별위원회 

  9. 오선영, 최정미(2004). 취업모의 양육태도, 자녀의 방과 후 보호형태와 심리적 복지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3(5), 711-721 

  10. 오은숙(2000). 자기보호아동의 문제행동 개선을 위한 방과후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옥경희, 김미해, 천희영(2001). 저소득층 아동의 학업, 정서 및 사회성 발달. 아동학회지, 22(2), 91-111 

  12. 유윤희(1994). 학교적응, 불안, 학업 성취간의 관계 분석.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이 옥(2003). 초등학생 방과 후 보육 활성화 방안 연구. 사회과학연구, 9, 99-117 

  14. 이은숙(2002). 청소년의 소외감, 우울과 자살생각에 관한 구조모형. 경희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5. 이재연, 강성희(1996). 자기보호아동의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6, 1-21 

  16. 이정숙, 김은경(2007). 청소년의 학대경험이 수치심과 부모화에 미치는 영향. 상담 및 심리치료, 19(2), 339-356 

  17. 장영은(1998). 방과후 보호형태에 따른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심리적 복지감과 취업모의 양육부담감.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전철은(2002). 심리적 피학대 여성의 수치심, 죄책감 및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TSD)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최경순, 정현희(1996). 저소득층 취업모 자기보호아동의 사회적 능력, 또래관계 및 정서발달. 아동학회지, 17(2), 107-119 

  20. Andrews, B.(1995). Bodily shame as a mediator between abusive experiences and depression.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4, 277-285 

  21. Andrews, B., Qian, M., & Valentine, J. D.(2002). Predicting depressive. symptoms with a new measure of shame: The Experience of Shame Scale.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1(1), 29-42 

  22. Capizzano, J., Tout, K., & Adams, G.(2000). Child Care Arrangements for School-Age Children with Employed Mothers. Washington, D.C.: The Urban Institute. Assessing the New Federalism. Occasional Paper No. 41 

  23. Cleary, M. J.(1992). Shame and Shame-based syndromes: Implications for Health Education. Health Values, 16(6), 47-54 

  24. Collins, W. A., Harris, M. L., & Susman, A.(1995). Parenting during middle childhood. In M. H. Bornstein (Ed.), Handbook of parenting: Children and parenting (Vol. 1. pp. 65-89). Mahwah, NJ: Erlbaum 

  25. Colwell, M. J., Pettit, G. S., Meece, D., Bates, J. E., & Dodge, K. A.(2001). Cumulative Risk and Continuity in Non-parental Care from Infancy to Early Adolescence. Merrill-Palmer Quarterly, 47(2), 207-234 

  26. Cook, D. R.(1991). Shame, attachment, and addictions: Implications for family therapist. Contemporary Family Therapy, 13(5), 405-419 

  27. Dearing, R. L., Stuewig, J., & Tangney, J. P.(2005). On the importance of distinguishing shame from guilt: Relations to problematic alcohol and drug use. Addictive behaviors, 30(7), 1392-1404 

  28. Eccles, J. S.(1999). The development of children ages 6-14. The Future of Children, 9(2), 30-44 

  29. Elkind, D.(1981). The hurried child: Growing up too fast too soon. Reading, MA: Addison-Wesley 

  30. Fergusson, D. M., & Lynskey, M. T.(1996). Adolescent resiliency to family adversity.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37(3), 281-292 

  31. Fergusson, T. J., & Rule, B. G.(1983). An attributional perspective on anger and aggression. In R. Geen & E. Donnerstein (Eds.), Aggression: Theoretical and empirical reviews (Vol. 1, pp.41-74). New York: Academic Press 

  32. Galambos, N. L., & Garbarino, J.(1985). Adjustment of unsupervised children in a rural setting.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46(2), 227-231 

  33. Garbarino, J.(1986). Can American. families afford the luxury of childhood? Child Welfare, 65(2), 119-128 

  34. Ghatavi, K., Nicolson, R., MacDonald, C., Osher, S., & Levitt, A.(2002). Defining guilt in depression: A comparison of subjects with major depression, chronic medical illness and healthy control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68(2-3), 307-315 

  35. Gilbert, P., & McGuire, M.(1998). Shame, social roles and status:. the psychobiological continuum from monkey to human. In P. Gilbert and B. Andrews(Eds.), Shame: Interpersonal Behavior, Psychopathology and Culture (pp. 99-125).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36. Glickauf-Hughes, C., & Wells, M.(1997). Object relations therapy: An individualized and interactive approach to diagnosis and treatment. New York: Jason Aronson 

  37. Gold, D., & Andres, D.(1978). Developmental comparisons between 10-year-old children with employed and nonemployed mothers. Child Development, 49(1), 75-84 

  38. Graham, S., & Weiner, G.(1986). From an attributional theory of emotion to developmental psychology: A roundtrip ticket? Social Cognition, 4, 152-179 

  39. Halpern, R.(1992). The role of after-school programs in the lives of inner city children: A study of the urban youth network. Child Welfare, 71(3), 215-230 

  40. Harder, D. W.(1995). Shame and guilt assessment, and relationships of shame and guilt proneness to psychopathology. In K. Fischer & J. P. Tangney (Eds.), Shame, guilt, embarrassment and pride: Empirical studies of self-conscious emotions. New York: Guilford 

  41. Harder, D. W., & Lewis, S. J.(1987). The assessment of shame and guilt. In J. N. Butcher & C. D. Spielberger (Eds.), Advances in personality assessment (Vol. 6, pp. 89-114).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42. Hofferth, S., Jankuniene, Z., & Brandon, P.(2000). Self-Care among School Age Children. Institute for Social Research Working Paper Series, University of Michigan, Ann Arbor 

  43. Jones, M. A.(1987). Parental Lack of Supervision: Nature and consequence of a major child neglect problem. Washington DC, Child Welfare League of America 

  44. Kerrebrock, N., & Lewit, E. M.(1999). Children in selfcare. The Future of Children, 9(2), 151-160 

  45. Lewis, H. B.(1971). Shame and guilt in neurosis.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46. Lewis, H. B.(1987). Introduction: shame-the 'Sleeper'in psychopathology. In H. B. Lewis (Eds.), The role of shame in symptom formation. Hilsdale: Lawrence Erlbaum Associates 

  47. Long, L., & Long, T. J.(1983). The handbook for latchkey children and their parents. New York: Arbor House 

  48. Long, T. J., & Long, L.(1982). Latchkey children: The child's view of self-care. Washington, DC: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n,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211 229 

  49. Lovko, A. M., & Ullman, D. G.(1989). Research on the adjustment of latchkey children: Role of background/demographic and latchkey situation variables.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8(1), 16-24 

  50. Lutwak, N., & Ferrari, J. R.(1997). Understanding shame in adults: retrospective perceptions of parental-bonding during childhood.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85(10), 595-598 

  51. Merritt, P.(1997). Guilt and shame in recovering addicts. A personal account. Journal of Psychosocial and Nurse Mental Health Services, 35(7), 46-49 

  52. Mott, J. A., Crowe, P. A., Richardson, J., & Flay, B.(1999). After-school supervision and adolescent cigarette smoking: Contributions of the setting and intensity of after-school self-care.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22(1), 35-58 

  53. Mulhall, P. F., Stone, D., & Stone, B.(1996). Home alone: Is it a risk factor for middle school youth and drug use? Journal of Drug Education, 26(1), 39-48 

  54. O'Connor, L. E., Berry, J. W., & Weiss, J.(1999). Interpersonal guilt, shame, and Psychological problems.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18(2), 181-203 

  55. Peterson, L.(1989). Latchkey children's preparation for self-care: Overestimated, underrehearsed and unsafe.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8(1), 36-43 

  56. Pettit, G. S., Laird, R. D., Bates, J. E., & Dodge, K. A.(1997). Patterns of after-school care in middle childhood: Risk factors and developmental outcomes. Merrill-Palmer Quarterly, 43(3), 515-538 

  57. Posner, J. K., & Vandell, D. L.(1994). Low-Income Children's After-School Care: Are There Beneficial Effects of After-School Program?. Child Development, 65(2), 440-456 

  58. Richardson, J. L., Dwyer, K., McGuigan, K., Hansen, W. B., Dent, C., Johnson, C. A., et al.(1989). Substance use among eighth-grade students who take care of themselves after school. Pediatrics 84(3), 556-566 

  59. Rodman, H., & Cole, C.(1987). Latchkey children: A review of policy and resources. Family Relations, 36(1), 101-105 

  60. Rodman, H., Pratto, D. J., & Nelson, R. S.(1985). Child care arrangements and children's functioning: A comparison of self-care and adult-care children. Developmental Psychology, 21, 413-418 

  61. Sanftner, J. L., Barlow, D. H., Marschall, D. E., & Tangney, J. P.(1995). The relation of shame and guilt to eating disorders symptomatology.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14(4), 315-324 

  62. Smith, K.(2000). Who's minding the kids? Child care arrangements: Fall 1995. In Current Population Reports, P70-70. Washington, DC: U.S. Census Bureau 

  63. Smith, K.(2002). Who's minding the kids? Child care arrangements: Spring 1997. In Current Population Reports, P70-86. Washington, D.C.: U.S. Census Bureau 

  64. Steinberg, L.(1986). Latchkey children and susceptibility to peer pressure: An ecological. analysis. Developmental Psychology, 22(4), 433-439 

  65. Street, A. E., & Arias, I.(2001). Psychological abuse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battered women: Examining the roles of shame and guilt. Violence and Victims, 16(1), 65-78 

  66. Tangney, J. P.(1992). Situational determinants of shame and guild in young adulthood.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18, 199-206 

  67. Tangney, J. P., & Fischer, K. W.(1995). Self-conscious emotions: the psychology of shame, guilt, embarrassment and pride. New York: Guilford Press 

  68. Vandell, D. L., & Corasaniti, M. A.(1988). The relation between third graders' after school care and social, academic and emotional functioning. Child Development, 59(4), 868-875 

  69. Vandell, D. L., & Corasaniti, M. A.(1990). Variations in early child care: Do they predict subsequent social, emotional, and cognitive difference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5(4), 555-572 

  70. Vandell. D. L., & Ramanan, J.(1991). Children of the National Longitudinal Survey of Youth: Choices in after-school care and child development. Developmental Psychology, 27(4), 637-643 

  71. Vandell, D. L., & Shumow, L.(1999). After-school child care programs. Future of Children, 9(3), 64-8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