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고등학생의 역기능적 완벽주의 및 자의식 정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Dysfunctional Perfectionism, and Self-Conscious Emotions on Depression in Adolescents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2 no.4, 2011년, pp.15 - 36  

김혜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학과) ,  도현심 (이화여자대학교 아동학과) ,  지연경 (이화여자대학교 아동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dysfunctional perfectionism, and self-conscious emotions on depression in adolescents. The sample consisted of 471 adolescents (212 boys, 259 girls) attending high schools in Seoul. The results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d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그동안의 연구들을 통해서 수치심이 죄책감보다 우울에 상대적으로 더욱 커다란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가정할 수 있으나,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양자 가운데 어느 하나만이 아니라 두 가지를 모두 포함하여 비교해 보아야 한다(Tangney, 1996). 그러나 자의식 정서와 우울간의 관련성을 살펴본 연구가 드물 뿐만 아니라 수치심만을 다룬 연구들이 대부분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수치심과 죄책감 모두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 대부분의 사람들이 학업 및 작업 영역에서 완벽성을 추구하는 경향을 보인다는 점(Stoeber & Stoeber, 2009)에 근거할 때, 고등학생의 경우에는 대학에 입학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하기 때문에 그만큼 다른 시기에 비해 완벽성을 더 많이 추구하게 될 것이고 이로 인한 여러 가지 심리적 어려움, 특히 우울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부적응적 측면인 역기능적 완벽주의가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 , 200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를 함께 고려하여 부모의 통제가 남녀 청소년의 우울에 어떠한 경로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 본 연구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청소년의 역기능적 완벽주의 및 자의식 정서가 우울에 어떠한 경로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남녀 청소년으로 나누어 살펴보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였다. 즉, 아버지 및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남녀 청소년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 경로와 함께, 남녀 청소년의 역기능적 완벽주의와 자의식 정서를 통해, 역기능적 완벽주의를 통해, 그리고 자의식 정서를 통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세 가지 간접 경로를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의 우울은 어떤 측면으로 나누어지는가? 청소년의 우울은 부모의 영향과 같은 환경적 요인뿐만 아니라 개인 내적인 요인의 영향을 받기도 한다. 이는 크게 인지적 측면과 정서적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는데, 우선 인지적 측면에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관심을 받고 있는 것이 완벽주의이다. 적응적 측면의 기능적 완벽주의를 가지고 자신의 목표 추구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면 좋은 결과를 가져오는 반면에, 부적응적 측면의 역기능적 완벽주의를 가지고 비현실적으로 높은 기준으로 결과물을 평가한다면 자신의 기대에 못 미치는 결과를 접하기가 쉽다.
청소년의 개인 내적 요인들 중에서 우울함에 영향을 미치는 또 다른 요인으로 무엇이 있는가? 청소년의 개인 내적 요인들 중에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또 다른 요인으로는 정서적 측면인자의식 정서(self-conscious emotions)를 들 수 있는데, 연구자들은 수치심 및 죄책감과 같은 정서에 관심을 두고 있다. 수치심의 경우, 타인의 평가를 의식하며(Tangney & Dearing, 2002), 실패의 잘못을 전체적인 자신(entire self)의 탓으로 돌려서 나타나는 정서(Lewis, 1971)라는 측면에서 죄책감에 비해 더 부정적인 정서로 간주된다.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청소년의 역기능적 완벽주의 및 자의식 정서가 우울에 어떠한 경로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남녀 청소년으로 나누어 살펴보기 위하여 조사분석 한 결과와 결과를 토대로 논의한 내용은?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남녀 청소년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 경로는 청소년의 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즉, 남자 청소년의 경우에는 아버지 및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한 반면, 여자 청소년의 경우에는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만이 우울에 직접 적인 영향을 미쳐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를 높게 지각할수록 여자 청소년은 우울을 보다 많이 경험한다고 보고하였다.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자녀의 성별에 따라 아버지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자녀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지 않아본 연구결과를 선행 연구와 비교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남아의 우울에는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못한 반면, 여아의 우울에는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김희영․박성연, 2008)와 부분적으로 일치한다. 그 외에, 본 연구결과를 청소년의 성차를 고려하지 않고 수행된 선행 연구결과들과 비교해 본다면, 남자 청소년에 대한 결과는 부모의 양육행동이 청소년의 내면화 문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한 연구결과(우채영․박아청․정현희, 2010)와, 여자 청소년에 대한 결과는 부모의 양육행동이 아동․청소년의 문제행동 및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 연구결과들(양유진․정경미, 2008; 이주희․이춘재, 2003; Finkenauer et al., 2005)과 유사하다. 본 연구에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직접 경로가 여자 청소년의 경우에만 발견된 점은 여자 청소년만이 가지는 관계적 특성 측면에서 설명할 수 있다. 여자 청소년들은 남자 청소년들에 비해 가족으로부터 훨씬 더 늦게 독립하는 경향이 있어(Huston & Alvarez, 1990) 가족관계에 더 민감한 편이다(Sheeber, Hops, Alpert, Davis, & Andrews, 1997). 또한 모녀관계는 부-자녀관계와 모-자녀관계 가운데 가장 가깝고 친밀하다(Kaufman & Uhlenberg, 1998). 즉, 여자 청소년은 부모의 양육행동을 더 민감하게 지각할 뿐만 아니라 동성 부모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Gecas, 1971),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우울에 미치는 직접 경로가 발견된 것으로 보인다. 둘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청소년의 역기능적 완벽주의 및 자의식 정서를 통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 경로는 여학생의 경우에만 발견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청소년의 역기능적 완벽주의, 자의식 정서 및 우울 모두를 살펴본 연구를 발견하기 어려워 비교하기 어렵지만, 부모가 기대하거나 비난하는 식으로 양육할 경우 자녀는 부적응적 완벽주의를 가져, 수치심을 매개로 심리적 부적응을 경험 한다는 연구결과(서영숙․김진숙, 2009)와 유사하며, 부적응적 완벽주의를 가질수록 수치심을 가지게 되어 우울을 유발한다는 연구결과(Ashby et al., 2006)와도 부분적으로 일치한다. 각각의 경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아버지및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높을수록 남녀 청소년의 역기능적 완벽주의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가 요구․통제적이며, 심리적인 방법으로 자녀를 조종하려 하는 것이 부적응적 완벽주의를 높인다는 연구결과들(김희영․박성연, 2008; Craddock et al., 2009; Soenens et al. 2008)과 일맥상통한다. 또한 심리적 통제를 권위주의적 양육과 유사하게 개념화한다면(Barber, 2002), 부모의 권위주의적 양육행동이 자녀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성향을 유발하였던 연구결과들(강희경, 2002; Flett, Hewitt, & Singer, 1995) 과도 유사하다. 즉, 심리적으로 통제하는 양육태도를 가진 부모는 비판적이고 성취지향적이며 높은 수준의 수행을 요구하는 특성을 가지므로 (Blatt, 1995), 자녀는 자신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한편, 부모로부터 거부당하지 않기 위해 실수를 피하고자 하는 역기능적 완벽주의가 높을 수있을 것이다. 또한, 남녀 청소년의 역기능적 완벽주의가 높을수록 자의식 정서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높을수록 수치심이 높으며(Ashby et al., 2006), 완벽주의자들이 비완벽주의자들에 비해 죄책감을 더 많이 느낀다는 연구결과(Stoeber et al., 2007)와 부분적으로 일치한다. 이를 통해, 청소년 스스로 높은 기준과 목표를 세워 완벽을 기하는 성향은 그들로 하여금 자신의 행동이나 행동에 따른 결과물에 대해 비판하도록 하며, 결과적으로 잘못한 행동 혹은 자기 자신에 대해 부정적인 정서를 느끼 도록 하기 쉽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남녀 청소년의 모형 모두에서, 역기능적 완벽주의가 자의식 정서에 미치는 영향력이 본 연구에서 살펴본 변인들 간 경로들 가운데 가장 강력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부모의 양육행동 자체보다는 청소년의 인지적 성향이 청소년의 수치심 및 죄책감 정서가 유발되는 데 있어 상대적으로 더욱 중요함을 시사한다. 청소년의 자의식 정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여자 청소년은 수치심과 죄책감을더 많이 느낄수록 우울을 더 많이 경험하였다. 이는 대학생의 수치심 및 죄책감이 높을수록 우울이 높다는 연구결과(김용희, 2008)와 유사하며, 대학생의 수치심이 우울을 높인다는 연구결과들(이영호․심종온, 2000; Ashby et al., 2006; Tangney Wagner, & Gramzow, 1992)과도 부분 적으로 일치한다. 또한 ‘난 그 행동을 했기 때문에 나빠(수치심)’ 혹은 ‘그 행동을 한 건 잘못된 거였어(죄책감)’와 같이 생각하는 정서는 자아비난과 유사한 맥락이므로, 본 연구결과는 청소년의 자아비난이 우울에 영향을 미쳤다는 연구결과(박성연․이은경․송주현․Soenens, 2008)와도 비슷하다. 반면, 남자 청소년의 경우 자의식 정서는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음으로써 성차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죄책감이 높을때 남아보다 여아가 더 많은 내면화 증상을 경험한다는 연구결과(Ferguson, Stegge, Miller, & Olsen, 1999)와 일맥상통하는 것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자의식 정서(Lutwak & Ferrari, 1997; Tangney & Dearing, 2002)와 우울(AllgoodMerten, Lewinsohn, & Hop, 1990; Avison & McAlpine, 1992)을 더 많이 경험하기 때문에 그러한 경로가 나타났을 가능성이 있다. 셋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청소년의 역기능적 완벽주의를 통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 경로는 부-자관계와 모-녀관계에서만 발견되어, 아버지와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는 각각 남자 청소년과 여자 청소년의 역기능적 완벽주의를 높여 우울로 이어졌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높을수록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높아 지며, 이를 통해 우울증상이 높아진다는 선행연구들(Kenny-Benson & Pomerantz, 2004; Soenens et al., 2005; Soenens et al., 2008)과 일치하며, 엄격한(harsh) 양육행동이 부적응적 완벽주의를 매개로 대학생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Enn et al., 2002)와도 같은 맥락이다. 이는 동성의 부모-자녀간에 양육행동의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난다는 보고(Gecas, 1971)와 맥을 같이 하는 것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역기능적 완벽주의를 통해 우울로 이어지는 경로에서 동성부모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더 크다는 것을 시사한다. 앞서 언급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청소년의 역기능적 완벽주의간의 경로에 더해, 청소년의 역기능적 완벽주의가 우울에 미치는 경로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남녀 청소년의 역기능적 완벽주의는 우울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쳐, 남녀 청소년의 역기능적 완벽주의가 높을 수록 우울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같은 역기능적 완벽주의가 우울과 같은 심리적 부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들(이미화․류진혜, 2002; Bieling et al., 2004; Hewitt, Caelian, Flett, Sherry, Collins, & Flynn, 2002)과 일치한다. 즉, 청소년이 높은 기준을 설정하고, 자신이 세운 기준에 도달하지 못하게 될 것이라 생각하는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며, 타인의 평가에 민감하게 된다면 우울을 갖게 된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여기서 남녀 청소년의 역기능적 완벽주의가 우울에 가장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발견된 점은 주목할 만한 것으로, 부모-자녀관계도 중요하지만 청소년의 개인내적 특성이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청소년의 자의식 정서를 통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 경로는 남녀 청소년 모두에게서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와의 관계에 있어서의 부정적 경험이 수치심을 통해 심리적 부적응을 높인다는 결과들(이기학․신주연, 2003; Andrews, 1995)과 일치하지 않는다. 그러나 앞서 언급했듯이 여자 청소년에게서만 자의식 정서가 우울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부분적인 경로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남녀 청소년 모두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청소년의 자의식 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나타나지 않 았다. 이는 부모의 애정철회가 자녀의 수치심 및 죄책감을 증가시켰다는 연구결과(Abell & Gecas, 1997)와 불일치한다. 또, 여자 대학생의 수치심및 죄책감이 증가하는 데 있어 부모의 양육행동이 관계가 없었던 반면, 남자 대학생의 경우 부모의 양육행동이 수치심과 죄책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Harvey, Gore, Frank, & Batres, 1997)와는 부분적으로 일치하였다. 이렇게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자녀의 자의식 정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한 점은 다음과 같이 해석해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청소년의 자의식 정서간의 개별적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아버지의 심리적 통제와 남자 청소년의 자의식 정서 간과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여자 청소년의 자의식 정서 간에는 서로 유의한 관계가 발견되었다. 그러나 경로 모형에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청소년의 역기능적 완벽주의를 동시에 고려함으로써 부모의 심리적 통제보다는 청소년의 역기능적 완벽주의가 자의식 정서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이 보다 강하여 자의식 정서의 영향력이 발견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실제로 남녀 청소년의 모형에서 역기능적 완벽주의가 자의식 정서에 미치는 영향력이 본 연구에서 가장 강력하였던 점은 이러한 해석을 뒷받침한다. 결론적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청소년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청소년의 성에 따라 달랐다. 즉, 남자 청소년과 여자 청소년은 각각 아버지의 심리적 통제와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의 영향을 받음으로써 동성 부모의 상대적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또한 남자 청소년의 경우 아버지의 심리적 통제가 우울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력이 유의하지 않은 반면, 여자 청소년의 경우에는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우울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력이 간접적 영향력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나 모-녀관계의 상대적 중요성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여자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우울 감소 프로그램 개발 시, 어머니 양육행동의 역할을 강조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여자 청소년의 경우에는 자의식 정서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 경로도 나타난 점에 근거할 때, 여자 청소년의 우울에 개입할 때에는 가능한 선행 요인으로서 부정적 정서 측면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청소년의 역기능적 완벽 주의 및 자의식 정서 가운데 청소년의 우울에 가장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역기능적 완벽주의이었다. 따라서 청소년의 우울에 대한 중재에서 우선적으로 청소년의 개인내적 특성, 특히 역기능적 완벽주의 성향을 파악함으로써 보다 적절한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통한 청소년 보고에 의존하여, 다양한 보고자에 의해 측정되지 못한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다양한 보고자를 통해서 자료를 수집하거나, 면접법 및 관찰법 등의 측정방법을 사용하여 연구의 객관성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한 시점에서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 청소년의 역기능적 완벽주의, 자의식 정서 및 우울을 측정함으로써 인과관계를 분명히 하기에는 제한점이 있으므로 종단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의의가 있다. 첫째, 기존의 연구에서는 부모의 영향력을 강조하거나 혹은 역기능적 완벽주의나 귀인성향과 같은 인지적 변인 들에 치우쳐 있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변인들에 더해, 최근 들어 우울과 관련된 변인으로 부각되고 있는 자의식 정서를 함께 포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아버지 혹은 어머니의 양육행동만을 고려 하여 남녀 청소년의 우울이 부모 중 누구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받는지를 알 수 없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부모 모두의 양육행동을 살펴 봄으로써, 청소년들이 동성 부모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는 것을 밝혀냈다. 마지막으로, 그동안 대부분의 연구들에서는 청소년의 우울이 나타나는 경로에 있어서의 성차를 고려하지 않은 반면, 본 연구에서는 성을 고려함으로써 성별에 따라 우울이 나타나는 경로가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청소년의 우울에 대해 성에따라 다르게 개입해야 함을 시사함으로써 청소년의 우울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7)

  1. 강희경(2002). 부모의 초기 권위유형과 청소년기 자녀의 자아존중감 및 완벽성. 청소년학연구, 9(3), 37-55. 

  2. 김계수(2007). AMOS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서울: 한나래. 

  3. 김애경(2002). 지각된 부모 양육태도 및 사회적 지원과 초기 청소년의 우울 및 외현적 문제와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6(3), 31-50. 

  4. 김용희(2008). 여대생의 적응과 관련된 심리적 특성: 부모관계, 분리개별화, 수치심 및 죄책감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건강, 13(3), 691-704. 

  5. 김정미(2009). 대학생의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부적응적 정서의 관계:자기비난과 수치심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16(10), 205-225. 

  6. 김현정?손정락(2007).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불안 및 우울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와 반복사고의 매개 효과. 한국심리학회지:일반, 26(2), 183-205. 

  7. 김희영?박성연(2008). 어머니의 완벽주의와 심리적 통제가 남, 여 아동의 완벽주의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경로분석 모형. 한국심리학회지:발달, 21(3), 115-131. 

  8. 남기숙(2008). 수치심, 죄책감 경험과 대처가 심리증상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9. 남궁혜정(2002). 성취 추구적 완벽주의 및 실패 회피적 완벽주의와 부적응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류설영(1998). 대인 관계 상황에서의 죄책감, 수치심과 심리적 증상의 관계 연구 -일반 청소년과 비행 청소년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박성연?이은경?송주현?Bart Soenens(2008). 부모의 심리적 통제유형이 청소년의 의존심, 자아비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9(5), 65-78. 

  12. 배성우?신원식(2005). CES-D 척도의 요인구조 분석:확인적 요인분석 방법의 적용. 보건과 사회과학, 18, 165-190. 

  13. 서영숙?김진숙(2009). 부모의 양육태도, 부적응적 완벽주의 및 심리적 부적응과의 관계에서 수치심과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21(3), 661-682. 

  14. 소선숙?송민경?김청송(2010).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행동과 학교적응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7(3), 1-23. 

  15. 송수민(2008). 수치심 경향성과 죄책감 경향성의 심리적 특성 비교.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20(1), 125-144. 

  16. 송지준(2009).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 분석방법. 경기: 21세기사. 

  17. 양승윤(2008). 어머니의 심리통제와 아동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완벽주의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양유진?정경미(2008).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회피적 정서조절과 정서인식의 명확성을 매개요인으로. 한국심리학회지:임상, 27(3), 669-688. 

  19. 우채영?박아청?정현희(2010). 성별 및 학교 급별에 따른 청소년의 인간관계, 스트레스, 우울과 자살 생각 간의 구조적 관계. 교육심리연구, 24(1), 19-38. 

  20. 이기학?신주연(2003). 성장기의 부모화 경험이 대학생의 병리적 의존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4(3), 421-436. 

  21. 이미화?류진혜(2002). 완벽주의 성향의 순기능과 역기능 - 성취목표, 스트레스, 심리적 안녕감, 우울과 관련하여. 청소년학연구, 9(3), 293-316. 

  22. 이영호?심종온(2000). 수치심 경향성, 죄책감 경향성 및 사건귀인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임상, 19(3), 485-499. 

  23. 이은경?박성연(2010).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청소년의 우울성향 및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1(6), 87-106. 

  24. 이주희?이춘재(2003). 아동과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행동과 심리사회적 적응. 사회과학연구, 19, 83-117. 

  25. 전겸구?최상진?양병창(2001). 통합적 한국판 CES-D 개발. 한국심리학회지:건강, 6(1), 59-76. 

  26. 정문자?전연진?김진이(2004). 부모의 원가족 경험과 자녀양육행동이 아동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2(2), 133-150. 

  27. 조주연(2010). 부모간 갈등, 어머니의 지지 및 통제와 또래관계의 질이 고등학생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질병관리본부(2008). 제3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통계. http://healthy1318.cdc.go.kr 

  29. 한기연(1993). 다차원적 완벽성 -개념, 측정 및 부적응과의 관련성-.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0. 현진원(1992). 완벽주의 성향과 평가수준이 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홍세희(2000). 구조 방정식 모형에 있어서 적합도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임상, 19(1), 161-177. 

  32. 황은수?성영혜(2006). 아동의 학대경험이 우울과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인식정서의 매개효과. 놀이치료연구, 9(2), 73-89. 

  33. Abell, E., & Gecas, V. (1997). Guilt, shame, and family socialization:A retrospective study. Journal of Family Issues, 18(2), 99-123. 

  34. Alexander, B., Brewin, C. R., Vearnals, S., Wolff, G., & Leff, J. (1999). An investigation of shame and guilt in a depressed sample. British Journal of Medical Psychology, 72(3), 323-338. 

  35. Allgood-Merten, B., Lewinsohn, P. M., & Hops, H. (1990). Sex differences and adolescent depression.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99(1), 55-63. 

  36. Alloy, L. B., Abramson, L. Y., Tashman, N. A., Berrebbi, D. S., Hogan, M. E., Whitehouse, W. G., Crossfield, A. G., & Morocco, A. (2001). Developmental origins of cognitive vulnerability to depression:Parenting, cognitive, and inferential feedback styles of the parents of individuals at high and low cognitive risk for depression.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25(4), 397-423. 

  37. Andrews, B. (1995). Bodily shame as a mediator between abusive experiences and depression.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4(2), 277-285. 

  38. Ashby, J. S., Rice, K. G., & Martin, J. L. (2006). Perfectionism, shame, and depressive symptoms.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84(2), 148-156. 

  39. Avison, W. R., & McAlpine, D. D. (1992). Gender differences in symptoms of depression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33(2), 77-96. 

  40. Barber, B. K. (1996).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Revisiting a neglected construct. Child Development, 67(6), 3296-3319. 

  41. Barber, B. K. (2002). Intrusive parenting. Washington DC: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42. Bieling, P. J., Israeli, A. L., & Antony, M. M. (2004). Is perfectionism good, bad, or both? Examining models of the perfectionism construct.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6(6), 1373-1385. 

  43. Blatt, S. J. (1995). The destructiveness of perfectionism: Implications for the treatment of depression. American Psychologist, 50(12), 1003-1020. 

  44. Craddock, A. E., Church, W., & Sands, A. (2009). Family of origin characteristics as predictors of perfectionism. Australian Journal of Psychology, 61(3), 136-144. 

  45. Enns, M. W., Cox, B. J., & Clara, I. (2002). Adaptive and maladaptive perfectionism:Developmental origins and association with depression pronenes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3(6), 921-935. 

  46. Fedewa, B. A., Burns, L. R., & Gomez, A. A. (2005). Positive and negative perfectionism and the shame/guilt distinction:Adaptive and maladaptive characteristic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8(7), 1609-1619. 

  47. Ferguson, T. J., & Stegge, H. (1995). Emotional states and traits in children:The case of guilt and shame. In J. P. Tangney & K. W. Fischer (Eds.), Self-conscious emotions:The psychology of shame, guilt, embarrassment, and pride (pp. 174-197). New York:Guilford Press. 

  48. Ferguson, T. J., Stegge, H., Miller, E. R., & Olsen, M. E. (1999). Guilt, shame, and symptoms in children. Developmental Psychology, 35(2), 347-357. 

  49. Finkenauer, C., Engels, R. C. M. E., & Baumeister, R. F. (2005). Parenting behaviour and adolescent behavioural and emotional problems:The role of self-control.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29(1), 58-69. 

  50. Flett, G. L., Hewitt, P. L., & Singer, A. (1995). Perfectionism and parental authority syles. Individual Psychology, 51(1), 50-60. 

  51. Flisher, A. J. (1999). Annotation:Mood disorder in suicidal children and adolescents. Recent development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and Allied Disciplines, 40(3), 315-324. 

  52. Frost, R. O., Heimberg, R. G., Holt, C. S., Mattia, J. I., & Neubauer, A. L. (1993). A comparison of two measures of perfectionism.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4(1), 119-126. 

  53. R. O., Marten, P., Lahart, C., & Rosenblate, R. (1990). The dimension of Perfectionism.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4(5), 449-468. 

  54. Gecas, V. (1971). Parental behavior and dimensions of adolescent self-evaluation. Sociometry, 34(4), 466-482. 

  55. Hankin, B. L., Abramson, L. Y., Moffitt, T. E., Silva, P. A., McGee, R., & Angell, K. E. (1998). Development of depression from preadolescence to young adulthood:Emerging gender differences in a 10-year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7(1), 128-140. 

  56. Harder, D. W., Cutler, L., & Rockart, L. (1992). Assessment of shame and guilt and their relationships to psychopathology.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9(3), 584-604. 

  57. Harrington, R., Fudge, H., Rutter, M., Pickles, A., & Hill., J. (1999). Adult outcomes of childhood and adolescent depressio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47(5), 465-473. 

  58. Harter, S. (1992). Visions of self:Beyond the me in the mirror. In J. E. Jacobs (Eds.), Developmental Perspectives on Motivation (pp. 99-144). Lincoln, NE:The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59. Harvey, O. J., Gore, E. J., Frank, H., & Batres, A. R. (1997). Relationship of shame and guilt to gender and parenting practice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3(1), 135-146. 

  60. Hewitt, P. L., Caelian, C. F., Flett, G. L., Sherry, S. B., Collins, L., & Flynn, C. A. (2002). Perfectionism in children:Association with depression, anxiety, and anger.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2(6), 1049-1061. 

  61. Hewitt, P. L., & Flett, G. L. (1991). Perfectionism in the self and social contexts:Conceptualization, assessment, and association with psychopatholog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0(3), 456-470. 

  62. Hu, L., & Bentler,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6(1), 1-55. 

  63. Huston, A. C., & Alvarez, M. M. (1990). The socialization context of gender role development in early adolescence. In R. Montemayor, G. R. Adams, & T. P. Gullotta (Eds.), Advanced in adolescent development:Vol. 2, From childhood to adolescence:A transitional period? (pp. 156-182). Newbury Park, CA:Sage. 

  64. Kaufman, G., & Uhlenberg, P. (1998). Effects of life course transitions on the quality of relationships between adult children and their parent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0(4), 924-938. 

  65. Kenney-Benson, G. A., & Pomerantz, E. M. (2005). The role of mother's use of control in children's perfectionism: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depressive symptoms. Journal of Personality, 73(1), 23-46. 

  66. Kessler, R. C., Avenevoli, S., & Merikangas, K. R. (2001). Mood disorde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n epidemiologic perspective. Biological Psychiatry. Special Issue, 49(12), 1002-1014. 

  67. Kochanska, G., Gross, J. N., Lin, M., & Nichols, K. E. (2002). Guilt in young children:Development, determinants, and relations with a broader system of standards. Child Development, 73(2), 461-482. 

  68. Lewinsohn, P. M., Solomon, A., Seely, J. R., & Zeiss, A. (2000). Clinical implications of "subthreshold" depressive symptom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9(2), 345-351. 

  69. Lewis, H. B. (1971). Shame and guilt in neurosis, The Psychoanalytic Review, 58(3), 419-438. 

  70. Little, T. D., Cunningham, W. A., Shahar, G., & Widaman, K. F. (2002). To parcel or not to parcel:Exploring the question, weighing the merit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A Multidisciplinary Journal, 9(2), 151-173. 

  71. Lutwak, N., & Ferrari, J. R. (1997). Understanding shame in adults:Retrospective perceptions of parental-bonding during childhood.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85(10), 595-598. 

  72. Pettit, G. S., Laird, R. D., Dodge, K. A., Bates, J. E., & Criss, M. M. (2001). Antecedents and behaviorproblem outcomes of parental monitoring and psychological control in early adolescence. Child Development, 72(2), 583-595. 

  73. Pine, D. S., Cohen, P., Gurley, D., Brook, J., & Ma, Y. (1998). The risk for early-adulthood anxiety and depressive disorder in adolescents with anxiety and depressive disorders. Archives General Psychiatry, 55(1), 56-64. 

  74.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3), 385-401. 

  75. Reed, T. J., Goldstein, S. E., Moris, A. S., & Keyes, A. W. (2008). Reactional aggression in mothers and children:Links with psychological control and child adjustment. Sex Roles, 59(1), 39-48. 

  76. Rey, J. M. (1995). Perceptions of poor maternal care are associated with adolescent depression.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34(2), 95-100. 

  77. Rice, F., Lifford, K. J., Thomas, H. V., & Thapar, A. (2007). Mental health and functional outcomes of maternal and adolescent reports of adolescent depressive symptom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46(9), 1162-1170. 

  78. Russell, A., & Saebel, J. (1997). Mother-son, motherdaughter, father-son, father-daughter. Are they distinct relationships? Developmental Review, 17 (2), 111-147. 

  79. Schaefer, E. D. (1965). A configurational analysis of children's reports of parent behavior. Journal of Consulting Psychology, 29(6), 552-557. 

  80. Sheeber, L., Hops, H., Alpert, A., Davis, B., & Andrews, J. (1997). Family support and conflict: Prospective relations to adolescent depression.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25(4), 333-344. 

  81. Soenens, B., Luyckx, K., Vansteenkiste, M., Luyten, P., Duriez, B., & Goossens, L. (2008). Maladaptive perfectionism as an intervening variable between psychological control and adolescent depressive symptoms:A three-wave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2(3), 465-474. 

  82. Soenens, B., Vansteenkiste, M., Luyten, P., Duriez, B., & Goossens, L. (2005). Maladaptive perfectionistic self-representations:The mediational link between psychological control and adjustment.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8(2), 487-498. 

  83. Sorotzkin, B. (1998). Understanding and treating perfectionism in religious adolescents. Psychotherapy: Theory, Research, Practice, Training, 35(1), 87-95. 

  84. Stoeber, J., Harris, R. A., & Moon, P. S. (2007). Perfectionism and the experience of pride, shame, and guilt:Comparing healthy perfectionists, unhealthy perfectionists, and non-perfectionis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3(1), 131-141. 

  85. Stoeber, J., & Stoeber, F. S. (2009). Domains of perfectionism:Prevalence and relationships with perfectionism, gender, age, and satisfaction with lif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6 (4), 530-535. 

  86. Stolz, H., Barber, B., & Olsen, J. (2005). Toward disentangling fathering and mothering:An assessment of relative importance.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7(4), 1026-1092. 

  87. Tangney, J. P. (1996).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issues in the assessment of shame and guilt.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34(9), 741-754. 

  88. Tangney, J. P. (2002). Perfectionism and the selfconscious emotions:Shame, guilt, embarrassment, and pride. In G. L. Flett & P. L Hewitt (Eds.), Perfectionism:Theory, research, and treatment (pp. 199-213). Washington, DC: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89. Tangney, J. P., & Dearing, R. L. (2002). Shame and Guilt. New York:The Guilford Press. 

  90. Tangney, J. P., Wagner, P. E., Burggraf, S. A., Gramzow, R., & Fletcher, C. (1990). The Test of Self-Conscious Affect for Children (TOSCA-C). Fairfax, VA:George Mason University Press. 

  91. Tangney, J. P., Wagner, P. E., Gavlas, J., & Gramzow, R. (1991). The Test of Self-Conscious Affect for Adolescents (TOSCA-A). Fairfax, VA:George Mason University Press. 

  92. Tangney, J. P., Wagner, P. E., & Gramzow, R. (1989). The Test of Self-Conscious Affect (TOSCA). Fairfax, VA:George Mason University Press. 

  93. Tangney, J. P., Wagner, P. E., & Gramzow, R. (1992). Proneness to shame, proneness to guilt, and psychopathology.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1(3), 469-478. 

  94. Webb, M., Heisler, D., Call, S., Chickering, S. A., & Colburn, T. A. (2007). Shame, guilt, symptoms of depression, and reported history of psychological maltreatment. Child Abuse and Neglect, 31(11-12), 1143-1153. 

  95. Williams, C., & Bybee, J. (1994). What do children feel guilty about? Developmental and gender differences. Developmental Psychology, 30(5), 617-623. 

  96. Wyatt, R., & Gilbert, P. (1998). Dimensions of perfectionism:A study exploring their relationship with perceived social rank and statu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4(1), 71-79. 

  97. Zahn-Waxler, C. (2000). The development of empathy, guilt, and internalization of distress. In R. Davidson (Ed.). Anxiety, Depression and Emotion: Wisconsin Symposium on Emotion. (pp. 22-265). New York:Oxford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