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치목적 방사선치료를 받은 식도암 환자의 림프절 재발양상과 치료성적
Lymph Node Failure Pattern and Treatment Results of Esophageal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Definitive Radiotherapy 원문보기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eity for therapeutic radiology and oncology, v.26 no.2, 2008년, pp.77 - 82  

이선영 (전북대학교병원 방사선종양학과) ,  권형철 (전북대학교병원 방사선종양학과) ,  이희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모병원 방사선종양학교실) ,  김정수 (전북대학교병원 방사선종양학과) ,  김수곤 (예수병원 방사선종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상부와 중앙 부위에서 발생한 식도암에서 복강 림프절 및 위 주변 림프절을 치료 범위에서 제외하고 근치목적의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경우 림프절 재발 양상과 치료성적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6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전북대학교병원에서 방사선 치료를 시행 받은 식도암 환자 중, T4N1M0이하 병기의 상부와 중앙부위에 생긴 식도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에서 복강 림프절 및 위 주변 림프절이 치료범위에 포함되지 않았으며, 방사선 단독 또는 항암화학요법과 병용으로 치료를 하였다. 방사선 치료는 6 MV와 10 MV 선형가속기(Siemens, 독일)를 이용하였으며, 외부방사선조사로 종양부위에 평균 60.5 Gy를 조사하였다. 항암화학치료는 5-Fluorouracil, Cisplatin, Docetaxel이 사용되었다. 108명 환자 중, 방사선 치료 범위에 위식도 접합부 및 복강 림프절과 위 주변 림프절이 치료 범위에 포함되지 않았고, 계획된 선량의 80% 이상이 조사되었으며, 조직학적 진단이 편평상피세포 암으로 확진된 82명을 분석하였으며, 방사선 치료 단독군은 51명, 항암화학 병용 군은 31명 이었다. 남녀 성비는 78명과 4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63.2세이었다. 발생 부위는 상부와 중앙 부위가 각각 17명과 65명이었다. 병기별 환자는 T1N0-1M0 7명, T2N0-1M0 18명, T3N0-1M 44명 및 T4N0-1M0 13명 이었으며,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15개월 이었다. 결과: 방사선 치료 결과는 완전반응 48명, 부분반응 31명 및 무반응 3명이었다. 추적 검사 후 재발 양상은 인접 림프절 전이는 23명, 원발 림프절 전이는 13명, 인접 림프절 및 원발 부위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는 10명, 추적 검사 중단이나 진단 거부로 인하여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는 36명 이었다. 원발 림프절 전이가 확인 되었던 13명의 임상병기는 T1N0-1M0 3명, T2-4N0-1M0 10명으로 나타났으며, 원발 부위는 상부 1명, 중앙 부위가 12명이었고, 치료 방법은 방사선 치료 단독 9명, 항암화학 병용 4명 이었다. 그리고 치료성적은 완전반응 12명, 부분반응 1명으로 나타났다. 추적 검사 상 림프절 전이 확인 후 인접 림프절 전이 환자의 평균 생존 기간은 14.4개월이었으며, 원발 림프절 전이 환자의 평균 생존 기간은 7개월 이었다. 결론: T4N1 이하 병기의 상부와 중앙 부위에서 발생한 식도암에서 복강 림프절 및 위 주변 림프절을 치료범위에서 제외하고 근치목적의 방사선치료를 한 경우 동 부위에 전이 빈도가 높았고, 인접 림프절 전이와 비교하여 생존율이 감소하였다. 특히 임상 병기가 T2 이상 및 방사선치료 단독의 경우에서 복강 림프절 및 위 주변 림프절에 전이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We evaluated the failure pattern of the celiac axis, gastric lymph node, and treatment outcome in the upper and mid-esophageal region of cancer patients treated by definitive radiotherapy, except when treating the celiac axis and gastric lymph node for treatment volume, retrospectively. M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 저자들은 상부와 중부 식도암 환자들의 경우, 복강 및 위 주변 림프절을 제외하고 종양과 주변 림프절로 방사선 조사 범위를 정하여 근치 목적의 방사선 치료를 시행 한 환자들의 경우에서 향후 초래될 수 있는 원발 림프절의 재발 양상과 치료 성적을 알아보기 위해서 후향적 분석의 연구를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상부와 중앙 부위에서 발생한 식도암에서 복강 림프절 및 위 주변 림프절을 치료 범위에서 제외하고 근치목적의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경우 림프절 재발 양상과 치료성적에 대한 실험 결과는? 병기별 환자는 T1N0-1M0 7명, T2N0-1M0 18명, T3N0-1M 44명 및 T4N0-1M0 13명 이었으며,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15개월 이었다. 결과: 방사선 치료 결과는 완전반응 48명, 부분반응 31명 및 무반응 3명이었다. 추적 검사 후 재발 양상은 인접 림프절 전이는 23명, 원발 림프절 전이는 13명, 인접 림프절 및 원발 부위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는 10명, 추적 검사 중단이나 진단 거부로 인하여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는 36명 이었다. 원발 림프절 전이가 확인 되었던 13명의 임상병기는 T1N0-1M0 3명, T2-4N0-1M0 10명으로 나타났으며, 원발 부위는 상부 1명, 중앙 부위가 12명이었고, 치료 방법은 방사선 치료 단독 9명, 항암화학 병용 4명 이었다. 그리고 치료성적은 완전반응 12명, 부분반응 1명으로 나타났다. 추적 검사 상 림프절 전이 확인 후 인접 림프절 전이 환자의 평균 생존 기간은 14.4개월이었으며, 원발 림프절 전이 환자의 평균 생존 기간은 7개월 이었다. 결론: T4N1 이하 병기의 상부와 중앙 부위에서 발생한 식도암에서 복강 림프절 및 위 주변 림프절을 치료범위에서 제외하고 근치목적의 방사선치료를 한 경우 동 부위에 전이 빈도가 높았고, 인접 림프절 전이와 비교하여 생존율이 감소하였다.
타 장기에서 발생한 암과 다르게 조기 발견 후 시행한 완전 절제술 후에도 식도암의 예후가 나쁜 원인은? 타 장기에서 발생한 암과 다르게 조기 발견 후 시행한 완전 절제술 후에도 식도암의 예후가 나쁜 원인으로는 첫째, 식도의 림프계통을 들 수 있는데, 점막과 점막하층에는 상하로 연결된 풍부한 림프계가 형성되어 있고, 이 림프계에 의해 상부나 중부에 발생한 식도암의 경우에도 복강 림프절 및 다른 부위로의 원격전이가 잘 이루어지며, 둘째, 식도내강의 50% 이상에서 폐색이나 심한 궤양을 동반한 출혈 등의 증상이 나타나야 진단이 이루어져서 조기 발견이 다른 암에 비하여 늦어지는데도 그 원인이 있다.23)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위장관 악성 종양 중 세 번째로 높은 발생 빈도를 보이는 종양은? 식도암은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위장관 악성 종양 중 세 번째로 높은 발생 빈도를 보이는 종양으로서 최근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1∼3) 식도암은 수술, 항암 화학 및 방사선치료를 병행하여 치료하고 있으나, 절반 이상의 환자에서 치료 후 재발 및 원격전이가 발생하며, 5년 생존율이 35% 미만으로서 예후가 좋지 않은 종양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entral Cancer Registry Center. Annual Report of the Central Cancer in Korea (2002.01-2002.12). 2003;11 

  2. Pera M, Pera M. Recent changes in the epidemiology of esophageal cancer. Surg Oncol 2001;10:81-90 

  3. Sons HU, Borchard F. Cancer of the distal esophagus and cardia. Ann Surg 1986;203:188-195 

  4. Koshy M, Esiashvilli N, Landry JC, Thomas CR Jr, Matthews RH. Multiple management modalities in esophageal cancer: combined modality management approach. Oncologist 2004;9:147-159 

  5. Kok TC, Siersema PD. Neoadjuvant chemotherapy in operable esophageal squamous cell cancer: final report of a phase III multicenter randomized trial. Proc Am Clin Oncol 1997;16:277a 

  6. Toita T, Ogawa K, Adachi G, et al.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for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oracic esophagus: fesibility and outcome of large regional field and high-dose external beam boost irradiation. Jpn J Clin Oncol 2001;31:375-381 

  7. Chidel MA, Rice TW, Adelstein DJ, Kupelian PA, Suh JH, Becker M. Resectable esophageal carcinoma: local control with neoadjuvant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Radiology 1999;213:67-72 

  8. Briboulet JF, Gignoux M, Triboulet JP, et al. Chemoradiotherapy followed by surgery compared with surgery alone in squamous cell cancer of the esophagus. N Engl J Med 1997;337:161-167 

  9. Sharma A, Fidias P, Hayman A, Loomis SL, Taber KH, Aquino SL. Patterns of lymphadenopathy in thoracic malignancies. Radiographics 2004;24:419-434 

  10. Mandard AM, Chasle J, Marnary J, et al. Autopsy findings in 111 cases of esophageal cancer. Cancer 1981;48:329-335 

  11. Riquet M, Saab M, Le Pimpec Barthes F, Hidden G. Lymphatic drainage of the esophagus in the adult. Surg Radiol Anat 1993;15:209-211 

  12. Denttis AS. Esophagus. In: Perez CA, Brady LW, eds. Principles and Practice of Radiation oncology. 4th ed. Philadelphia, PA: Lippincott Co. 2004;1282-1304 

  13. Tai P, Van Dyk J, Yu E, Battista J, Stitt L, Coad L. Variability of target volume delineation in cervical esophageal cancer.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998;42:277-288 

  14. Raman NV, Small W Jr. The role of radiation therapy in the management of esophageal cancer. Cancer Control 1999; 6:53-62 

  15. Minsky BD. Cancer of the esophagus. In: Leibel SA, Phillips TL, eds. Textbook of Radiation Oncology. 2nd ed. Philadelphia, PA: Saunders Co. 2003;811-824 

  16. Anderson LL, Lad TE. Autopsy findings in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esophagus. Cancer 1982;50:1587-1590 

  17. Akiyama H, Tsurumaru M, Kawamura T, Ono Y. Principles of surgical treatment for carcinoma of the esophagus: analysis of lymph node involvement. Ann Surg 1981;194: 438-446 

  18. Heeren PA, Jager PL, Bongaerts F, van Dullemen H, Sluiter W, Plukker JT. Detection of distant metastases in esophageal cancer with 18F-FDG PET. J Nuc Med 2004; 45:980-987 

  19. Aisner J, Forastiere A, Aroney R. Patterns of recurrence for cancer of the lung and esophagus. In: Wittes RE, ed. Cancer treatment symposia: proceedings of the workshop on patterns of failure after cancer treatment, vol 2. Washington DC, PA: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1983:87 

  20. Stein HJ, Feith M, Bruecher BL, Naehrig J, Sarbia M, Siewert JR. Early esophageal cancer: pattern of lymphatic spread and prognostic factors for long-term survival after surgical resection. Ann Surg 2005;242:566-575 

  21. Yim SB, Park JH, Baik HJ, et al. Long term results of surgical treatment for esophageal cancer. Korean Thorac Cardiovasc Surg 2001;34:148-155 

  22. Kim YT, Sung SW, Kim JH. Long term survival after the resection of esophageal cancer. Korean Thorac Cardiovasc Surg 1999;32:653-659 

  23. Kim HS, Yoo JW, Kim KM, et al. The recurrence and survival after complete resection of esophageal cancer. Korean Thorac Cardiovasc Surg 2003;36:411-417 

  24. Minsky BD, Pajak TF, Ginsberg RJ, et al. INT 0123 (RTOG 94-05) phase III trial of combined modality therapy for esophageal cancer: high dose (64.8 Gy) vs. standard dose (50.4 Gy) radiation therapy. J Clin Oncol 2002;20:1167-1174 

  25. Minsky BD. Carcinoma of the esophagus. Oncology 1999;13: 1225-1236 

  26. Coia LR, Engstrom PF, Paul AR, Staffoard PM, Hanks GE. Long-term results of infusional 5-FU, mitomycin-C and radiation as primary management of esophageal carcinoma.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991;20:29-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