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도암 환자에서의 Half Beam 치료법의 유용성 평가
The Usability Evaluation Half Beam Radiation Treatment Technique on the Esophageal Cancer 원문보기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9 no.5, 2015년, pp.287 - 293  

박호춘 (전남대학교병원 방사선종양학과) ,  김영재 (대구보건대학교 방사선과) ,  장성주 (동신대학교 방사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식도암은 병변의 길이가 길고 깊이의 불균질성으로 인하여 방사선의 균일한 선량분포를 얻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해 보고자 Half beam 법을 이용하여 선량분포의 균질성을 극복해 보고자 환자의 영상을 바탕으로 하여 Normal beam과 Half beam을 이용하여 각각 치료계획을 세워 표적체적포함율과 선량체적곡선, 일치성지수와 균질성지수를 상호 비교하고, 인접정상장기인 심장, 척수, 폐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실험결과 Half beam을 이용한 치료계획이 표적체적포함율과 선량체적곡선 그리고 일치성지수와 균질성지수가 우수하였으며 정상조직 보호측면에서도 미미하지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정확한 환자자세가 확보되지 않으면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기하학적으로 정확한 환자의 위치잡이를 수반한 Half beam의 적용은 선량적으로 유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ecause of esophageal cancer has the long length of the lesion and also inhomogeneous in depth. So, the radiation dose distribution was inhomogeneous in radiation therapy. To overcomes the dose distribution uniformity using half beam method. Patient's CT image was used radiation treatment plann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길이가 비교적 긴 종양의 방사선 치료의 경우 두 개의 조사야를 바탕으로 영역을 설정하게 되는데 이때 겹치는 경우에 특히 이러한 선량오류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도암의 방사선 치료시 깊이와 길이의 불균질성으로 인한 방사선의 선량 분포의 저하를 극복하기 위하여 Half beam을 사용유무를 비교하여 치료계획을 수립, 선량분포를 구하여 치료기법을 비교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도암의 치료법은? 식도암은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위장관 악성 종양으로 높은 발생 빈도를 보이는 종양으로서 최근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1-3]. 식도암의 치료법으로는 수술, 항암요법 및 방사선치료를 병행하여 치료하고 있으나, 절반 이상의 환자에서 치료 후 부작용이 발생하며, 5년 생존율 또한 35% 미만으로서 예후가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4-8].
방사선치료의 목적은? 방사선치료는 정상조직에는 최소한의 선량을 흡수하도록 하면서 동시에 종양조직에 처방선량에 근접한 선량값을 흡수되도록 하는 것이 방사선 치료에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정상조직의 견딤선량을 높게 하고 종양조직의 치사선량을 낮게 하여 치료가능비(TR, treatment ratio)의 값을 최대로 하는 것을 목적으로 치료기법도 개발되어왔다.
방사선치료를 이용하여 식도암을 치료하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식도암은 병변의 길이가 길고 깊이의 불균질성으로 인하여 방사선의 균일한 선량분포를 얻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해 보고자 Half beam 법을 이용하여 선량분포의 균질성을 극복해 보고자 환자의 영상을 바탕으로 하여 Normal beam과 Half beam을 이용하여 각각 치료계획을 세워 표적체적포함율과 선량체적곡선, 일치성지수와 균질성지수를 상호 비교하고, 인접정상장기인 심장, 척수, 폐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entral Cancer Registry Center. "Annual Report of the Central Cancer in Korea (2002.01-2002.12)", Vol.11, 2003 

  2. Pera M, Pera M, "Recent changes in the epidemiology of esophageal cancer". Surg Oncol, Vol.10, pp.81-90, 2001 

  3. Sons HU, Borchard F. "Cancer of the distal esophagus and cardia. Incidence, tumorous infiltration, and metastatic spread." Ann Surg, Vol.203, No.2, 203, pp.188-195, 1986 

  4. Koshy M, Esiashvilli N, Landry JC, et al. "Multiple management modalities in esophageal cancer: combined modality management approach". Oncologist, Vol.20, No.5, pp.147-159, 2004 

  5. Kok TC, Siersema PD. "Neoadjuvant chemotherapy in operable esophageal squamous cell cancer: final report of a phase III multicenter randomized trial". Proc Am Clin Oncol, Vol.16, pp.277a, 1997 

  6. Toita T, Ogawa K, Adachi G, et al.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for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oracic esophagus: fesibility and outcome of large regional field and high-dose external beam boost irradiation." Jpn J Clin Oncol Vo.31, No.8, pp.375-381, 2001 

  7. Chidel MA, Rice TW, Adelstein DJ, et al. "Resectable esophageal carcinoma: local control with neoadjuvant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Radiology, Vol.213, Issue.1, pp.67-72, 1999 

  8. Briboulet JF, Gignoux M, Triboulet JP, et al. "Chemoradiotherapy followed by surgery compared with surgery alone in squamous cell cancer of the esophagus." N Engl J Med , Vol.337, pp.161-167, 1997 

  9. Minsky BD. Cancer of the esophagus. In: Leibel SA, Phillips TL, eds. "Textbook of Radiation Oncology. 2nd ed." Philadelphia, PA: Saunders Co. pp.811-824, 2003 

  10. ICRU,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ation Units and Measurements." Report 62: Prescribing, Recording and Reporting Photon Beam Therapy (Supplement to ICRU Report 50), 1999 

  11. Denttis AS. Esophagus. In: Perez CA, Brady LW, eds. "Principles and Practice of Radiation oncology. 4th ed." Philadelphia, PA: Lippincott Co. pp.1282-1304, 2004 

  12. Tai P, Van Dyk J, Yu E, et al. "Variability of target volume delineation in cervical esophageal cancer".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Vol.42, Issue.2, pp.277-288, 1998 

  13. Raman NV, Small W Jr. "The role of radiation therapy in the management of esophageal cancer." Cancer Control. Vol.6, pp.53-62, 1999 

  14. Nedzi LA, Kooy HM, Alexander E 3rd, Svensson GK, Loeffler JS. "Dynamic field shaping for stereotactic radiosurgery: a modeling study".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Vol.25, pp.859-69, 1993 

  15. Anderson LL, Lad TE. "Autopsy findings in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esophagus". Cancer, Vol.50, pp.1587-1590, 1982 

  16. Akiyama H, Tsurumaru M, Kawamura T, et al. "Principles of surgical treatment for carcinoma of the esophagus: analysis of lymph node involvement." Ann Surg, No.194, pp.438-446, 1981 

  17. Heeren PA, Jager PL, Bongaerts F, et al. "Detection of distant metastases in esophageal cancer with 18F-FDG PET." J Nuc Med, No.45, pp.980-987, 2004 

  18. Aisner J, Forastiere A, Aroney R. "Patterns of recurrence for cancer of the lung and esophagus. In: Wittes RE, ed. Cancer treatment symposia: proceedings of the workshop on patterns of failure after cancer treatment," vol 2. Washington DC, PA: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No.87, 1983 

  19. Stein HJ, Feith M, Bruecher BL, et al. "Early esophageal cancer: pattern of lymphatic spread and prognostic factors for long-term survival after surgical resection." Ann Surg, No.242, pp.566-575, 2005 

  20. Ji Young Jang, "The Outcome of Conventional External Beam Radiotherapy for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Esophagus", Int J Radiat Oncol, Vol.26, No.1, pp.17-23,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