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산 밤 일부 품종의 기능성 성분분석과 항산화 및 대식세포 활성
Antioxidative and Macrophage Phagocytic Activities and Functional Component Analyses of Selected Korean Chestnut (Castanea crenata S. et Z.) Cultivar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9, 2008년, pp.1095 - 1100  

이현주 (강원대학교 식물생명공학) ,  정미자 (강원대학교 BK21사업단(뉴트라슈티컬바이오)) ,  조재열 (강원대학교 BT특성화학부(대학)) ,  함승시 (강원대학교 BT특성화학부(대학) 식품생명공학) ,  최면 (강원대학교 식물생명공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산 밤 일부 품종(단택, 대보, 석추, 옥광, 병고)의 기능성 성분 분석과 이들 물질들의 항산화력 및 밤 추출물이 대식세포 활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국내산 밤 일부 품종의 내피와 과육에서 coumarin, gallic acid 그리고 catechin이 HPLC에 의해 검출되었다. 밤 내피에 가장 풍부한 기능성 성분은 catechin이고 그 다음 gallic acid와 coumarin 순이었으나, 과육에서는 gallic acid만 검출되었다. 따라서 밤의 기능성 성분인 gallic acid와 catechin의 항산화력을 DPPH radical 소거작용과 SOD 유사활성을 통해 알아보았다. Gallic acid과 catechin을 6.0 mg/100 g 처리하였을 때 DPPH radical 소거작용이 각각 69.4%와 38.3%였으며, gallic acid의 DPPH radical 소거작용은 농도 의존적이었다. Gallic acid를 동일한 농도의 catechin과 비교하면 모든 농도 구간에서 catechin보다 gallic acid가 높은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SOD 유사활성은 gallic acid보다 catechin이 높았다. 더하여 밤의 과육, 노란과육 및 흰과육 추출물들이 대식세포 활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병고 흰과육 추출물은 현저하게 대식세포 활성을 증가시켰고, 병고, 단택, 대보 및 옥광의 노란과육 추출물 역시 아무 것도 처리하지 않은 세포와 비교하여 현저히 대식세포를 활성화시켰다. 노란과육 추출물이 흰과육 추출물보다 더욱 더 대식세포 활성을 증가시켰고, 5품종 중 병고가 대식세포 활성을 가장 증가시켰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tioxidative and macrophage phagocytic activities and contents of functional component in selected Korean chestnuts (Dantaek, Daebo, Okkwang, Seokchu, Byunggo) were evaluated. Coumarin, gallic acid and catechin in inner skin and whole kernel of selected Korean chestnuts were detected by HPLC. The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산 밤 일부 품종(단택, 대보, 석추, 옥광, 병고)의 기능성 성분 분석과 이들 물질들의 항산화력 및 밤 추출물이 대식세포 활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국내산 밤 일부 품종의 내피와 과육에서 coumarin, gallic acid 그리고 catechin이 HPLC에 의해 검출되었다.
  • 그러나 SOD 유사활성은 gallic acid보다 catechin이 높았다. 더하여 밤의 과육, 노란과육 및 흰과육 추출물들이 대식세포 활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병고 흰과육 추출물은 현저하게 대식세포 활성을 증가시켰고, 병고, 단택, 대보 및 옥광의 노란과육 추출물 역시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세포와 비교하여 현저히 대식세포를 활성화시켰다.
  • 항산화력과 면역증감작용은 위 보호(13), 노화방지(14) 그리고 신경보호 효과(15) 등 다양한 질병들과 관련하여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고, 주로 식용하거나 일부 한약재 및 앙금 등의 가공식품으로 이용되고 있는 밤 과육이 갖는 면역증감작용 효과를 대식세포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므로 알아보았다. 이와 같은 연구들을 통해 한국산 밤의 우수한 기능성을 증명하여 국내외 밤 소비확대와 새로운 건강식품 및 건강 기능성 소재 개발에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이와 같은 연구들을 통해 한국산 밤의 우수한 기능성을 증명하여 국내외 밤 소비확대와 새로운 건강식품 및 건강 기능성 소재 개발에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밤 가공공정 중 대량 폐기되고 있는 밤 내피에 함유된 생리활성 물질을 분석한 후 주요 물질들의 항산화성을 조사하여, 밤 내피가 항산화 기능성 소재로서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고, 주로 식용하거나 일부 한약재 및 앙금 등의 가공식품으로 이용되고 있는 밤 과육이 갖는 면역증감작용 효과를 대식세포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므로 알아보았다. 이와 같은 연구들을 통해 한국산 밤의 우수한 기능성을 증명하여 국내외 밤 소비확대와 새로운 건강식품 및 건강 기능성 소재 개발에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밤 가공공정 중 대량 폐기되고 있는 밤 내피에 함유된 생리활성 물질을 분석한 후 주요 물질들의 항산화성을 조사하여, 밤 내피가 항산화 기능성 소재로서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 지금까지 밤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는 밤나무 잎차의 항알레르기 효과(6), 밤 귀피의 용매분획별 항산화 활성과 항산화 물질의 분리(7) 등이 있으며, 저장(4), 가공식품 제조(8), 밤 전분의 제조(9), 변색(10) 등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다. 이와 같이 밤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져 오고 있으나, 현재 식품은 맛과 기호성과 더불어 식품의 3차 기능인 면역력의 증진, 질병의 예방이나 회복, 노화억제 등 복잡한 생명활동을 조절하는 기능성식품으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밤의 기능성을 알아보았다.

가설 설정

  • 2)Korean name. 3)Means with different letters differ significantly from different cultivars in the same column (p<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밤나무란? 밤나무는 참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자생 또는 재배되고 있으며 과실은 주로 식용, 약용, 가공식품 등으로 이용하고 있다(1-3). 2000년 이상의 재배역사를 가진 것으로 추정되는 밤(Castanea crenata S.
밤 내피가 항산화 기능성 소재로서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에서 내피에 풍부하게 들어있는 기능성 성분은? 국내산 밤 일부 품종(단택, 대보, 석추, 옥광, 병고)의 기능성 성분 분석과 이들 물질들의 항산화력 및 밤 추출물이 대식세포 활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국내산 밤 일부 품종의 내피와 과육에서 coumarin, gallic acid 그리고 catechin이 HPLC에 의해 검출되었다. 밤 내피에 가장 풍부한 기능성 성분은 catechin이고 그 다음 gallic acid와 coumarin 순이었으나, 과육에서는 gallic acid만 검출되었다.
밤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는? 지금까지 밤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는 밤나무 잎차의 항알레르기 효과(6), 밤 귀피의 용매분획별 항산화 활성과 항산화 물질의 분리(7) 등이 있으며, 저장(4), 가공식품 제조(8), 밤 전분의 제조(9), 변색(10) 등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다. 이와 같이 밤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져 오고 있으나, 현재 식품은 맛과 기호성과 더불어 식품의 3차 기능인 면역력의 증진, 질병의 예방이나 회복, 노화억제 등 복잡한 생명활동을 조절하는 기능성식품으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밤의 기능성을 알아보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Lee TB. 1994.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oon Press, Seoul. p 273-289 

  2. 손철호, 석현덕, 민경택. 2003. 국내 밤산업의 동향과 전망. 농촌경제연구소. p 77-79 

  3. Kim JS, Jung BH, Joo RW, Choi SI. 2004. Marketing of chestnut and economic analysis of chestnut cultivation. Korean J Forest Economics 12: 12-21 

  4. Nha YA, Yang CB. 1996. Change of constituent components in chestnut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1164-1170 

  5. Kim JH, Park JB, Choi CH. 1997. Development of chestnut peeling system. Annual Meeting of The Biosystems Eng. p 150-154 

  6. Choi OB, Kim KM, Yoo GS, Park KH. 1998. Anti-allergic effect of Castanea crenata leaf tea.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468-471 

  7. Kwon EJ, Kim YC, Kwon MS, Kim CS, Kang WW, Lee JB, Chung SK. 2001. Antioxidative activity of solvent fraction and isolation of antioxidant compound from chestnut husk.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726-731 

  8. Kim SK, Jeon YJ, Kim YT, Lee BJ, Kang OJ. 1995. Sensory evaluation and retrogradation properties of chestnut mook. J Korean Soc Food Nutr 24: 601-605 

  9. Park YH, Kim SK, Lee SY, Kim JB. 1984. Rheological properties of gelatinized chestnut starch solu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314-318 

  10. Cho SH, Sung NK, Ki WK, Hur JH, Shim KH, Chung DH. 1988. Effect of blanching on the prevention of discoloration in the thermal-treated chestnut power. J Korean Soc Food Nutr 17: 211-214 

  11. Choi OB, Yoo GS, Park KH. 1999.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water extracts with Castanea crenata leaf tea.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128-1131 

  12. Choi CS, Song ES, Kim JS, Kang MH. 2003.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astanea crenata Flos. methanol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1216-1220 

  13. El-Abhar HS, Abdallah DM, Saleh S. 2003. Gastroprotective activity of Nigella sativa oil and its constituent, thymoquinone, against gastric mucosal injury induced by ischaemia/reperfusion in rats. J Ethnopharmacol 84: 251-258 

  14. Chung HY, Kim HJ, Kim KW, Choi JS, Yu BP. 2002. Molecular inflammation hypothesis of aging based on the anti-aging mechanism of calorie restriction. Microsc Res Techniq 59: 264-172 

  15. Beal MF, Palomo T, Kostrzewa RM, Archer T. 2000. Neuroprotective and neurorestrorative strategies for neuronal injury. Neurotox Res 2: 71-84 

  16. Uzelac DV, Pospisil J, Levaj B, Delonga K. 2005. The study of phenolic profiles of raw apricots and apples and their purees by HPLC for the evaluation of apricot nectars and jams authenticity. Food Chem 91: 373-383 

  17. Kubola J, Siriamornpun S. 2008. Phenolic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bitter gourd (Momordica charantia L.) leaf, stem and fruit fraction extracts in vitro. Food Chem 110: 881-890 

  18. Chung MJ, Kang AY, Park SO, Park KW, Jun HJ, Lee SJ. 2007. The effect of essential oils of dietary wormwood (Artemisia princeps), with and without added vitamin E, on oxidative stress and some genes involved in cholesterol metabolism. Food Chem Toxicol 45: 1400-1409 

  19. Chung MJ, Sung NJ, Park CS, Kweon DK, Mantovani A, Moon TW, Lee SJ, Park KH. 2008. Antioxidative and hypocholesterolemic activities of water-soluble puerarin glycosides in HepG2 cells and in C57 BL/6J mice. Eur J Pharmacol 578: 159-170 

  20. Vekiari SA, Gordon MH, Garcia-Macias P, Labrinea H. 2008. Extraction and determination of ellagic acid content in chestnut bark and fruit. Food Chem 110: 1007-1011 

  21. Barreira JCM, Ferreira ICFR, Oliveira MBPP, Pereira JA. 2008.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extracts from chestnut flower, leaf, skin and fruit. Food Chem 107: 1106-1113 

  22. Kang YH, Park YK, Lee GD. 1996.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232-239 

  23. Guo G, Cao G, Sofic E, Ronald LP. 1997.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coulometric array detection of electroactive components in fruits and vegetables: relationship to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J Agric Food Chem 45: 1787-1796 

  24. Okezie IA. 1993. Evaluation of antioxidant and prooxidant actions of gallic acid and its derivatives. J Agric Food Chem 41: 1880-1885 

  25. Da Silva EL, Piskula M, Terao J. 1998. Enhancement of antioxidative ability of rat plasma by oral administration of (-)-epicatechin. Free Radic Bio Med 24: 1209-1216 

  26. Da Silva EL, Piskula M, Terao J. 1998. Enhancement of antioxidative ability of rat plasma by oral administration of (-)-epicatechin. Free Radic Bio Med 24: 1209-1216 

  27. Lotito SB, Fraga CG. 1998. (+)-Catechin prevents human plasma oxidation. Free Radic Bio Med 24: 435-441 

  28. Geetha T, Garg A, Chopra K, Kaur IP. 2004. Delineation of antimutagenic activity of catechin, epicatechin and green tea extract. Mutat Res 556: 65-74 

  29. Kosar M, Goger F, Baser KHC. 2008. In vitro antioxidant properties and phenolic composition of Salvia virgata Jacq. from Turkey. J Agric Food Chem 56: 2369-2374 

  30. Dhalwal K, Shinde VM, Biradar YS, Mahadik KR. 2008. Simultaneous quantification of bergenin, catechin, and gallic acid from Bergenia ciliate and Bergenia ligulata by using thin-layer chromatography. J Food Compos Anal 21: 496-500 

  31. Shin JH, Ju JC, Kwen OC, Yang SM, Lee SJ, Sung NJ. 2004. Physicochemical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garlic from different area. Korean J Food and Nutr 17: 237-245 

  32. Kim JS, Choi SY. 2008.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on). Korean J Food and Nutr 21: 35-42 

  33. Lee MH, Jeong JH, Oh MJ. 1992. Antioxidative activity of gallic acid in acorn extract. J Korean Soc Food Nutr 21: 693-700 

  34. Yang CS, Maliakal P, Meng X. 2002. Inhibition of carcinogenesis by tea. Annu Rev Pharmacol Toxicol 42: 25-54 

  35. Monobe M, Ema K, Kato F, Maeda-Yamamoto M. 2008. Immunostimulating activity of a crude polysaccharide derived from green tea (Camellia sinensis) extract. J Agric Food Chem 56: 1423-142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