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각 추출물을 농축하여 동결 건조해서 실험동물인 Sprague-dawley rats의 해당 식이에 0.5% 수준으로 첨가하여 4주간 사육하면서 체중은 3일 간격으로 섭취는 2일 간격으로 일정한 시각(오전 9시)에 측정하였으며, 활성산소 및 항산화 활성 측정은 2주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실험이 종료된 후 실험동물을 단두 도살하여 혈청 중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triglyceride, glucose, phospholipid를 측정하여 지질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 괴각 추출물을 Sprague dawley rats에 급여 후 식이섭취량, 식이효율 및 체중증가량을 측정한 결과 각 군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2주 간격으로 항산화 활성 및 활성산소를 측정한 결과 2주째부터 항산화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활성산소 생성량은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큰 차이가 없었다. 4주 후 괴각 추출물 급여군의 항산화 값은 대조군에 비해 17.04%로 높게 나타났다. 실험식이 종료 후 실험동물에서 적출한 장기의 무게를 측정한 결과 심장, 신장, 장, 간 모두 커다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혈청중의 total cholesterol 함량 측정 결과 괴각 추출물 급여군이 대조군에 비해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HDL-cholesterol 함량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높은 함량을 보였다. Triglyceride 함량은 거의 차이가 없었으며 glucose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낮았고, phospholipid 함량은 높았으나 차이가 없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괴각 추출물을 이용한 동물실험에서 항산화 활성 및 혈청의 지질대사에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이들 추출물을 항산화활성 및 지질대사 개선에 기능성을 갖는 식품소재로의 이용 가능성이 기대되며 향후에 추출물 투여농도의 증가나 투여기간의 연장에 따른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괴각 추출물을 농축하여 동결 건조해서 실험동물인 Sprague-dawley rats의 해당 식이에 0.5% 수준으로 첨가하여 4주간 사육하면서 체중은 3일 간격으로 섭취는 2일 간격으로 일정한 시각(오전 9시)에 측정하였으며, 활성산소 및 항산화 활성 측정은 2주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실험이 종료된 후 실험동물을 단두 도살하여 혈청 중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triglyceride, glucose, phospholipid를 측정하여 지질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 괴각 추출물을 Sprague dawley rats에 급여 후 식이섭취량, 식이효율 및 체중증가량을 측정한 결과 각 군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2주 간격으로 항산화 활성 및 활성산소를 측정한 결과 2주째부터 항산화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활성산소 생성량은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큰 차이가 없었다. 4주 후 괴각 추출물 급여군의 항산화 값은 대조군에 비해 17.04%로 높게 나타났다. 실험식이 종료 후 실험동물에서 적출한 장기의 무게를 측정한 결과 심장, 신장, 장, 간 모두 커다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혈청중의 total cholesterol 함량 측정 결과 괴각 추출물 급여군이 대조군에 비해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HDL-cholesterol 함량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높은 함량을 보였다. Triglyceride 함량은 거의 차이가 없었으며 glucose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낮았고, phospholipid 함량은 높았으나 차이가 없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괴각 추출물을 이용한 동물실험에서 항산화 활성 및 혈청의 지질대사에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이들 추출물을 항산화활성 및 지질대사 개선에 기능성을 갖는 식품소재로의 이용 가능성이 기대되며 향후에 추출물 투여농도의 증가나 투여기간의 연장에 따른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phorae fructus extracts on antioxidative potential, free radical generation and the lipid levels in rats. Sprague-Dawley (SD) ra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of either AIN-76 diet (control group) or modified AIN-76 diet with 0.5% Sophorae f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phorae fructus extracts on antioxidative potential, free radical generation and the lipid levels in rats. Sprague-Dawley (SD) ra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of either AIN-76 diet (control group) or modified AIN-76 diet with 0.5% Sophorae fructus extracts for 4 weeks. The result were as follows: body weight gain and feed efficiency ratio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both groups. Antioxidative potentia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group fed Sophorae fructus extracts compared to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free radical generation. Organ (heart, kidney, liver, spleen) weights in rats were not different in both groups. Total cholesterol level in Sophorae fructus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control group. Serum HDL-cholesterol level in Sophorae fructus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group. Serum phospholipid and triglyceride contents in Sophorae fructus group were no different from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supplementation of Sophorae fructus extracts may beneficially contribute to the effects of antioxidative potential and lipid levels in rat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phorae fructus extracts on antioxidative potential, free radical generation and the lipid levels in rats. Sprague-Dawley (SD) ra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of either AIN-76 diet (control group) or modified AIN-76 diet with 0.5% Sophorae fructus extracts for 4 weeks. The result were as follows: body weight gain and feed efficiency ratio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both groups. Antioxidative potentia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group fed Sophorae fructus extracts compared to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free radical generation. Organ (heart, kidney, liver, spleen) weights in rats were not different in both groups. Total cholesterol level in Sophorae fructus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control group. Serum HDL-cholesterol level in Sophorae fructus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group. Serum phospholipid and triglyceride contents in Sophorae fructus group were no different from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supplementation of Sophorae fructus extracts may beneficially contribute to the effects of antioxidative potential and lipid levels in rat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실험에서는 괴각(Sophrae fructus)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이 지질대사와 항산화 활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알아보기 위하여 4주령의 Sprague-Dawley 웅성 rat에 추출물 식이를 0.5% 수준으로 4주간 급여한 후 혈중 활성산소, 항산화 활성, 지질함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보았다.
제안 방법
사육실 내의 온도는 23±1℃, 습도는 50±5%로 유지하였으며 12시간 간격으로 점등(07~19시)과 소등을 실시하였으며 환기, 조도를 자동으로 조절하였다.
실험쥐 및 식이군 배정: 괴각 추출물의 in vivo 실험을 위하여 Sprague-Dawley(SD)계 웅성 rat로 3주령 21마리를 폴라스인터내셔날에서 구입하였다. 일반 사육용 사료(Harlan Teklad, USA)로 예비 사육하여 환경에 적응시키며 예비 사육기간 동안의 항산화 및 활성산소를 측정하여 확인 후에 무게에 따라 정상 식이군, 괴각 추출물 급여 군으로 각 군당 7마리씩 분류한 후 강원대학교 바이오산업공학부 식품생명공학과 동물사육실에서 4주간 해당식이로 stainless steel wire cage(M.J. Ltd.)에서 한 마리씩 분리 사육하였다.
체중증가량 및 식이섭취량의 조사: 체중은 1주일 간격으로 일정한 시각에 측정하고 식이 섭취로 인한 일시적인 체중 변화를 막기 위해 측정하기 2시간 전에 식이 통을 제거한 후 실시하였다. 식이 섭취량은 2일 간격으로 일정한 시각(오전 9시)에 측정하였으며 제공한 식이 무게에서 잔량을 뺀 값으로 섭취량을 계산하였다.
체중증가량 및 식이섭취량의 조사: 체중은 1주일 간격으로 일정한 시각에 측정하고 식이 섭취로 인한 일시적인 체중 변화를 막기 위해 측정하기 2시간 전에 식이 통을 제거한 후 실시하였다. 식이 섭취량은 2일 간격으로 일정한 시각(오전 9시)에 측정하였으며 제공한 식이 무게에서 잔량을 뺀 값으로 섭취량을 계산하였다. 또한 식이효율(food efficiency ratio)은 6주간의 체중 증가량을 6주간의 식이섭취량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하였다.
식이 섭취량은 2일 간격으로 일정한 시각(오전 9시)에 측정하였으며 제공한 식이 무게에서 잔량을 뺀 값으로 섭취량을 계산하였다. 또한 식이효율(food efficiency ratio)은 6주간의 체중 증가량을 6주간의 식이섭취량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하였다.
실험쥐의 혈중 항산화 및 활성산소 측정: 항산화 및 활성산소는 활성산소 항산화력자동분석기(FRAS 4, SEAC Viale Partigiani, Ital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 시작전 항산화 및 활성산소를 측정하여 대조자료를 얻은 후 2주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실험쥐의 혈중 항산화 및 활성산소 측정: 항산화 및 활성산소는 활성산소 항산화력자동분석기(FRAS 4, SEAC Viale Partigiani, Ital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 시작전 항산화 및 활성산소를 측정하여 대조자료를 얻은 후 2주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활성산소측정은 d-ROMs test kit를 이용하였다.
흡광용 큐빅을 FRAS 4에 꽂은 후 37℃에서 5분후에 활성산소 값을 측정한다. 항산화 측정은 BAP test kit를 이용하였으며 방법은 활성산소 측정과 같지만 원심분리 후에 혈청만을 뽑아서 측정하였다.
실험쥐 혈액 및 조직의 채취: 사육기간이 완료된 후, 12시간 절식 후 단두 도살하고 혈액을 채취하여 30분간 실온에서 방치한 뒤 4℃에서 3,000 rpm으로 15분간 원심분리 하여 혈청인 상등액을 분리하였다. 간장, 심장, 비장, 신장은 채혈 즉시 적출하여 냉 생리식염수(0.89% NaCl)로 세척 후 조직내 혈액 및 수분을 여과지를 이용하여 제거한 후 중량을 측정하고 체중 100 g에 대한 weight index(%)를 구하였다. 장기 및 혈청 시료는 -70℃의 deep freezer에서 보관하여 차후의 실험에 사용하였다.
괴각 추출물을 농축하여 동결 건조해서 실험동물인 Sprague-dawley rats의 해당식이에 0.5% 수준으로 첨가하여 4주간 사육하면서 체중은 3일 간격으로 섭취는 2일 간격으로 일정한 시각(오전 9시)에 측정하였으며, 활성산소 및 항산화 활성 측정은 2주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실험이 종료된 후 실험동물을 단두 도살하여 혈청 중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triglyceride, glucose, phospholipid를 측정하여 지질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
5% 수준으로 첨가하여 4주간 사육하면서 체중은 3일 간격으로 섭취는 2일 간격으로 일정한 시각(오전 9시)에 측정하였으며, 활성산소 및 항산화 활성 측정은 2주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실험이 종료된 후 실험동물을 단두 도살하여 혈청 중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triglyceride, glucose, phospholipid를 측정하여 지질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 괴각 추출물을 Sprague dawley rats에 급여 후 식이섭취량, 식이효율 및 체중증가량을 측정한 결과각 군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2주 간격으로 항산화 활성 및 활성산소를 측정한 결과 2주째부터 항산화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활성산소 생성량은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큰 차이가 없었다.
실험쥐 혈청의 지질 및 혈당에 미치는 영향 측정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triglyceride, phospholipid, glucose는 일괄적으로 BT-1000(Italy, Biotecnica) 기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대상 데이터
실험쥐 및 식이군 배정: 괴각 추출물의 in vivo 실험을 위하여 Sprague-Dawley(SD)계 웅성 rat로 3주령 21마리를 폴라스인터내셔날에서 구입하였다. 일반 사육용 사료(Harlan Teklad, USA)로 예비 사육하여 환경에 적응시키며 예비 사육기간 동안의 항산화 및 활성산소를 측정하여 확인 후에 무게에 따라 정상 식이군, 괴각 추출물 급여 군으로 각 군당 7마리씩 분류한 후 강원대학교 바이오산업공학부 식품생명공학과 동물사육실에서 4주간 해당식이로 stainless steel wire cage(M.
본 실험에 사용된 괴각은 2003년에 재배된 것을 전주 금오 당에서 구입하여 원광대학교 익산 한방병원에서 검증하여 사용하였으며, 삼각플라스크에 준비된 괴각을 9배의 증류수를 가해서 100~120℃에서 환류냉각장치를 이용하여 4시간 추출하고 추출액을 면포로 여과한 후 감압농축(CCA-1100, Eyela, Tokyo, Japan)하여 -70℃에서 급속동결건조(PVTFA 10AT, Ilsin, Korea) 과정을 거쳐 분말 상태로 준비하여 그외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동물 식이의 조제: 괴각 물 추출물을 농축 후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한 것을 American Institute of Nutrition (AIN)(27)에서 권장한 식이 조성에 따라 Table 1과 같이 혼합하여 조제하였다. 식이 조제에 사용한 casein, cellulose, AIN-76 mineral mix, AIN-76 vitamin mix, choline bitatrate, cholesterol, corn starch, DL-methionine은 ICN Biochemicals(MP Biomedical, Ohio, USA) 제품을 사용하였고 corn oil, sucrose는 CJ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각 군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으며 모든 통계처리에 대한 유의수준은 p<0.05로 하였다.
각 처리군별 실험결과는 SPSS/PC+ version 10.0을 이용 하여 각 측정변인에 대한 평균(mean)과 표준오차(standard error, SE)로 제시하였다. 각 군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으며 모든 통계처리에 대한 유의수준은 p<0.
이론/모형
실험 시작전 항산화 및 활성산소를 측정하여 대조자료를 얻은 후 2주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활성산소측정은 d-ROMs test kit를 이용하였다. 그 방법은 쥐꼬리에 auto lancet을 이용하여 혈액을 capillary관에 채취한 후 버퍼에 넣고 흔들어서 섞은 다음 흡광용 큐빅에 넣고 원심분리를 한다.
성능/효과
특히 지방의 양적인 문제뿐만이 아니라 질적인 내용을 바탕으로 한 역학조사의 결과를 보게 되면, 심혈관 질환의 발생률은 지방의 섭취량이 많을수록 상관관계가 크며 섭취하는 유지의 종류도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명백하게 밝혀져 있다(24). 그 결과 1970년대 이후로 고혈압, 뇌졸중, 동맥경화증을 포함한 순환기계 질환이 암에 이어 우리나라 주요사망원인의 2위를 차지하여 선진국과 비슷한 양상으로 급속히 변했으며, 지난 20년 동안 순환기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은 약 10배가 증가하여 전체 사망원인의 약 30%를 차지하게 되었다(25).
대조군의 심장무게는 1.14±0.08 g, 괴각 추출물 급여군은 1.18±0.11 g이었으며, 신장 무게는 대조군이 0.99±0.12 g, 괴각 추출물 급여군이 1.06±0.07 g으로 통계적인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
식이섭취량은 측정 결과 대조군은 531.5±43.24 g이었고 괴각 추출물 급여군은 573.6±32.41 g으로 체중증가량과 마찬가지로 괴각 추출물 급여 군이 약간 높았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각각의 식이로 4주간 급여 후 체중증가량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은 174.0±18.85이었고 괴각 추출물 급여군은 188.6±13.18 g으로 약간 높았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00으로 대조군이 약간 높았으나 앞선 결과와 같이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뤄 볼 때 괴각의 추출물은 동물의 성장이나 식이 섭취에 별다른 장애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2주 후에 대조군의 경우 1218.77±387.31 μmol/L이었으나 괴각 추출물 급여군은 1546.57±393.44 μmol/L로서 실험개시 전의 항산화 활성 값에 비해 약간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괴각 추출물 급여에 의해 항산화 활성이 대조군에 비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실험식이가 종료된 후 혈청 중 HDL-cholesterol 함량을 측정한 결과(Table 4), 대조군은 67.7±1.96 mg/dL로 나타났다.
Total cholesterol 함량 측정 결과: 각각의 식이로 4주간 급여 후 혈청 중의 total cholesterol 함량을 측정한 결과 (Table 4) 대조군은 202.8±2.21 mg/dL로 괴각 추출물 급여 군의 150.0±3.15 mg/dL에 비해 통계적으로 cholesterol 함량이 높아 혈청 중 cholesterol의 유의적 감소 효과가 있는 괴각의 추출물은 심혈관계 질환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것이라고 사료된다.
2주 후 활성산소를 측정한 결과 대조군은 157.24±20.78 U.Carr로 괴각 추출물 급여군의 166.21±16.62 U.Carr과 비교하여 차이가 없는 상태였으며, 4주 후에는 대조군이 199.50±16.67 U.Carr, 괴각 추출물 급여군이 216.25±19.03 U.Carr로 활성산소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4주 후의 항산화 활성은 대조군이 1876.12±176.34 μmol/L였고 괴각 추출물 급여군은 2261.54±215.48 μmol/L로 대조군에 비해 항산화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Carr로 활성산소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괴각 추출물은 4주 급여 후 항산화 활성은 높아졌으나 활성산소 생성량에는 거의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riglyceride 함량 측정 결과: 혈청의 중성지방 함량은 고지방섭취 시에 chylomicron과 이의 잔사가 혈중에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며 또한 고지혈증, 동맥경화, 당뇨 등에서 증가하게 되는데 실험식이의 종료 후 단두 도살하여 혈청 중 triglyceride 함량을 측정한 결과(Table 4) 대조군은 71.4±2.11 mg/dL, 괴각 추출물군은 72.3±1.79 mg/dL로 나타나 각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Glucose 함량 측정 결과: 혈청 중의 glucose 함량을 측정한 결과(Table 4)는 대조군 144.6±2.16 mg/dL로 나타났고 괴각 추출물군은 117.8±1.15 mg/dL로 측정되었다.
Phospholipid 함량 측정 결과: 분자 안에 인산에스테르를 가지고 있는 복합지질로서 세포막을 형성하고 신경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phospholipid 함량을 측정한 결과 (Table 4), 대조군은 182.6±3.65 mg/dL, 괴각 추출물군은 207.0±2.95 mg/dL로 측정되었다.
3%)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동맥경화 지수로 이용되는 HDL-cholestrol/total cholestrol(Table 4)에 있어서 대조군은 33.4%, 괴각 추출물군은 51.5%로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 모두에서 높게 나타났다.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 함량비가 중요한 이유는 LDL-콜레스테롤과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은 동맥경화에 의해 발생하는 관상심질환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에 반하여 HDL-콜레스테롤은 관상심장질환의 질병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기 때문이다(29,30).
15 mg/dL로 측정되었다. 실험군인 괴각 추출물군이 대조군에 비해 18.5% 낮아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 괴각의 섭취는 고지방식이 섭취에 따른 고혈당을 보이는 rat 중의 혈중 glucose 함량을 감소시켜 혈당을 낮추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실험이 종료된 후 실험동물을 단두 도살하여 혈청 중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triglyceride, glucose, phospholipid를 측정하여 지질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 괴각 추출물을 Sprague dawley rats에 급여 후 식이섭취량, 식이효율 및 체중증가량을 측정한 결과각 군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2주 간격으로 항산화 활성 및 활성산소를 측정한 결과 2주째부터 항산화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활성산소 생성량은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큰 차이가 없었다. 4주 후 괴각 추출물 급여군의 항산화 값은 대조군에 비해 17.
괴각 추출물을 Sprague dawley rats에 급여 후 식이섭취량, 식이효율 및 체중증가량을 측정한 결과각 군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2주 간격으로 항산화 활성 및 활성산소를 측정한 결과 2주째부터 항산화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활성산소 생성량은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큰 차이가 없었다. 4주 후 괴각 추출물 급여군의 항산화 값은 대조군에 비해 17.04%로 높게 나타났다. 실험식이 종료 후 실험동물에서 적출한 장기의 무게를 측정한 결과 심장, 신장, 장, 간 모두 커다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04%로 높게 나타났다. 실험식이 종료 후 실험동물에서 적출한 장기의 무게를 측정한 결과 심장, 신장, 장, 간 모두 커다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혈청 중의 total cholesterol 함량 측정 결과 괴각 추출물 급여군이 대조군에 비해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HDL-cholesterol 함량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높은 함량을 보였다.
실험식이 종료 후 실험동물에서 적출한 장기의 무게를 측정한 결과 심장, 신장, 장, 간 모두 커다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혈청 중의 total cholesterol 함량 측정 결과 괴각 추출물 급여군이 대조군에 비해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HDL-cholesterol 함량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높은 함량을 보였다. Triglyceride 함량은 거의 차이가 없었으며 glucose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낮았고, phospholipid 함량은 높았으나 차이가 없었다.
또한, 혈청 중의 total cholesterol 함량 측정 결과 괴각 추출물 급여군이 대조군에 비해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HDL-cholesterol 함량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높은 함량을 보였다. Triglyceride 함량은 거의 차이가 없었으며 glucose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낮았고, phospholipid 함량은 높았으나 차이가 없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괴각 추출물을 이용한 동물실험에서 항산화 활성 및 혈청의 지질대사에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Triglyceride 함량은 거의 차이가 없었으며 glucose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낮았고, phospholipid 함량은 높았으나 차이가 없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괴각 추출물을 이용한 동물실험에서 항산화 활성 및 혈청의 지질대사에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이들 추출물을 항산화활성 및 지질대사 개선에 기능성을 갖는 식품소재로의 이용 가능성이 기대되며 향후에 추출물 투여농도의 증가나 투여기간의 연장에 따른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후속연구
이상에서와 같이 괴각 추출물을 이용한 동물실험에서 항산화 활성 및 혈청의 지질대사에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이들 추출물을 항산화활성 및 지질대사 개선에 기능성을 갖는 식품소재로의 이용 가능성이 기대되며 향후에 추출물 투여농도의 증가나 투여기간의 연장에 따른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괴각은 무엇인가?
한편 괴각(Sophrae fructus)은 콩과의 식물인 회화나무 (Sophora japonica L.)의 열매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말린 협과는 원기둥 모양이고 간혹 구부러져 있으며 종자사이는 바싹 움츠러져 구슬꿰미처럼 되어있고 길이가 1~6 cm이며 지름이 0.6~1 cm이다.
괴각은 무슨 효과와 약리작용을 가지고 있는가?
주성분은 9개의 flavonoid와 isoflavonoid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genistein, sophoricoside, sophorabioside, kaemprerol glucoside-C, sophoraflavonoloside 및 rutin 등이 있는데 rutin의 함량은 매우 높아 어린 열매 속의 함량은 46%에 달한다. 괴각은 치질출혈, 대변출혈, 자궁출혈, 소변출혈 등에 지혈효과가 있으며 약리작용으로 혈당상승, 포도상구균 및 대장균 생장억제작용이 보고된 바 있다(26).
괴각의 주성분은 무엇인가?
표면은 황록색, 갈색 또는 흑갈색이고 한쪽 가장자리의 등 쪽 이음 선은 황색이다. 주성분은 9개의 flavonoid와 isoflavonoid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genistein, sophoricoside, sophorabioside, kaemprerol glucoside-C, sophoraflavonoloside 및 rutin 등이 있는데 rutin의 함량은 매우 높아 어린 열매 속의 함량은 46%에 달한다. 괴각은 치질출혈, 대변출혈, 자궁출혈, 소변출혈 등에 지혈효과가 있으며 약리작용으로 혈당상승, 포도상구균 및 대장균 생장억제작용이 보고된 바 있다(26).
참고문헌 (32)
Kim JD, Lee YI, Kim BR, Choi YS, Lee SY. 1997. Effects of meju powder supplementation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ypercholesterolemic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314-318
Kim BR, Kim JD, Ham SS, Choi YS, Lee SY. 1995. Effects of spice added natto supplementation on the lipid metabolism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4: 121-126
Sung IS, Kim MJ, Cho SY. 1997. Effect of Quercus acutissima Carruthers extracts on the lipid metabolism.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327-333
Yu CH. 2007. A study on the fat and fatty acid intake of college women evaluated through internet nutritional assessment system. Korean J Nutr 40: 78-88
Whitney EN, Rolfes SR. 2002. Understanding nutrition. 9th ed. Wardsworth/Thomson Learning, CA, USA
Bowman BA, Russell RM. 2001. Presents knowledge in nutrition. 8th ed. ILSL, Washington DC, USA
Yu CH. 2002. A review on the changes of lifestyle and the related nutritional problems in Korea. Kor J Nutr 35: 137-146
Kang JH. 1998.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s of nutritional assessment in periodic health examination. Kor J Community Nutr 3: 855-858
Moon SJ, Sohn CY, Kim JH, Kim HS, Li HS, Lee HC, Huh KB. 1994. Measurement of nutrition counseling effects for diabetes mellitus patients. Kor J Nutr 27: 1070-1077
Nestle M. 1998. Nutrition in medical education-New policies needed for the 1990S. J Nutr Educ 20: 1-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5. 2006.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report
Baynes JW. 1991. Role of oxidative stress in development of complications in diabetes. Diabetes 40: 405-412
Alordmann R, Ribierre C, Rouach H. 1990. Ethanol induced lipid peroxidation and oxidative stress in extrahepatic tissues. Alcohol 25: 231-237
Cha JY, Kim HJ, Cho YS. 2000. Effects of water-soluble extract from leaves of Morus alba and Cudrania tricuspidata on the lipid peroxidation in tissues of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531-536
Kim JH, Kim MJ, Kwak HK. 2006. Obesity indices and plasma total antioxidant status in hypertensive elderly living in Ulsan area.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1: 279-288
Hatano T. 1995. Constituents of natural medicines with scavenging effects on active oxygen species-tannins and related polyphenols. Natural Medicines 49: 357-363
Kitahara K, Matsumoto Y, Ueda H, Ueoka R. 1992. A remarkable antioxidant effect of natural phenol derivatives on the autoxidation of $\gamma$ -irradiated methyl linoleate. Chem Pharm Bull 40: 2208-2209
Cha BC, Lee SB. 2000. Constituents of antioxidative activity and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from Galla rhois (Rhus javanica Linne). Kor J Pharmacogn 31: 185-189
Masaki H, Sakaki S, Atsumi T, Sakurai H. 1995. Activeoxygen scavenging activity of plant extracts. Bull Pharm 18: 162-166
Block G, Langseth L. 1994. Antioxidant vitamins and disease prevention. Food Technol 48: 80
Shin DH. 1997. Functional food. Food Sci Industry 30: 14-21
Park KS. 2006. Metabolic syndrome. Korean Diabetes Journal 7: 37-44
Emst JS, Alice HL, Stetania IF, Judith RM, Jose MO. 1995. Lipoprotein, nutrition, aging and atherosclerosis. Am J Clin Nutr 61: 726-730
Kang HK, No JK, Sung DY, Kim ND, Lee KH, Kim KW, Choi WC, Yim UK, Yoo BP, Jung HY. 1997. Effects of aging and dietary restriction on free radical generation and GSH/GSSG level in rat testis. J Gerontol 7: 92-97
Chung DK, Lee SI. 1985. Comparison of pharmacological effects of sophorae and sophorae fructus. Oriental Medicine 10: 5-18
Young HS, Park JC, Choi JS, Chung HY. 1987. The serum cholesterol level lowering effect from the underground parts of Rosa rugosa. Yakhak Hoeji 31: 394-400
Assmann G. 1982. Lipid metabolism and atherosclerosis. F.K.Schattauer Verlag, Stuttgart, Germany. p 181
Blair SN, Kohl HW, Paffenbarger RS. 1989. Physical fitness and all cause mortality: a prospective study of healthy men and women. JAMA 262: 2395-2401
Smutok MA, Reece C. 1993. Aerobi versus strength training for risk factor intervention in middle aged men at high risk for coronary heart disease. Metabolism 42: 177-184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