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홍화(Carthamus tinctorius L.)씨와 발아홍화씨의 화학성분 비교
Chemical Comparison of Germinated- and Ungerminated-Safflower(Carthamus tinctorius) Seed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9, 2008년, pp.1162 - 1167  

김은옥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기택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최상원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홍화씨를 이용한 골다공증 및 고지혈증 예방용 건강기능식품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홍화씨의 소화성, 기능성 및 기호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발아홍화씨를 제조하여 일반성분 및 기능성성분(지방산, tocopherols, 수용성아미노산 및 페놀화합물)의 함량을 홍화씨와 비교 분석하였다. 홍화씨는 발아하면서 조단백질과 조지방은 감소한 반면, 가용성 무질소물, 조섬유소 및 회분은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linoleic 및 oleic aicds가 약 80% 이상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그 외 palmitic, stearic 및 arachidic acids가 주요 지방산으로 나타났고, 발아에 따른 지방산의 조성 비율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홍화씨와 발아홍화씨의 $\alpha$-tocopherol 함량은 각각 744.7 및 809.0 mg%로서 발아 후 64.3 mg% 증가하였으며, 홍화씨의 주된 아미노산으로 asparagine, arginine, proline, glutamic acid가 차지하고 있었으며, 발아함에 따라 그들의 함량이 크게 증가하였고, 특히 threonine, valine, leucine, isoleucine, phenylalanine, lysinehistidine 등의 필수아미노산 함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홍화씨에는 3종의 리그난(8'-hydroxyarctigenin 4'-O-$\beta$-D-glucoside, 8'-hydroxyarctigenin 및 matairesinol)과 4종의 세로토닌유도체[N-feruloylserotonin 5-O-$\beta$-D-glucoside, N-feruloylserotonin, N-(pcoumaroyl)-serotonin 5-O-$\beta$-D-glucoside, N-(p-coumaroyl)serotonin] 그리고 2종의 플라보노이드(acacetin 7-O-$\beta$-D-glucuronide, acacetin) 화합물이 존재하였으며, 발아함에 따라 세로토닌유도체를 함유한 모든 페놀화합물의 함량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홍화씨를 발아함에 따라 섬유소 및 유용 기능성성분의 증가와 더불어 설사를 유발하는 고미성분의 감소 그리고 소화성 및 기호성을 떨어뜨리는 홍화씨 껍질의 분리 및 효율성 확대를 이룰 수 있기에 향후 발아홍화씨는 항골다공증 및 항고지혈증 건강기능식품 소재로서 개발 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germinated (GSS)- and ungerminated (UGSS)-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seeds. GSS had higher amount of sugar and crude fiber than UGSS, but less amounts of protein and lipid. Levels of $\alpha$-tocopherol and essential amino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생홍화씨의 소화성, 기능성 및 기호성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홍화씨를 발아하여 발아홍화씨를 생산하고 그들의 일반성분 및 기능성성분(지방산, 토코페롤, 수용성아미노산 및 페놀화합물 조성)의 함량을 발아하지 않은 홍화씨와 비교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1)ND: not detected.
  • 3)ND: not detecte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홍화씨와 발아홍화씨의 일반성분의 함량을 측정하고 비교한 결과는 어떠한가? 홍화씨와 발아홍화씨의 일반성분의 함량을 측정하고 비교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먼저 홍화씨의 일반성분은 가용성 무질소물 58.9%, 조단백질 16.8%, 조지방 19.7%, 회분 2.3% 및 조섬유 39.4% 이었으나 발아홍화씨는 가용성 무질소물 64.0%, 조단백질 15.6%, 조지방 15.7%, 회분 2.5% 및 조섬유 44.5%이었다. 홍화씨와 발아홍화씨의 일반성분을 비교해 볼 때 가용성 무질소물, 조섬유 및 회분은 발아함에 따라 다소 증가하였으나 조단백질 및 조지방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홍화씨의 발아 및 생장 중 체내대사가 이루어짐으로써 영양성분이 다소 변화가 초래되었으며, 그 중 지방과 단백질은 에너지원으로 다소 소모되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홍화란 무엇인가? 홍화(紅花, 영명: Safflower, 생약명: Carthamus tinctorius L.)는 국화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목으로서 원산지는 아프카니스탄의 산악지대 또는 이집트 및 에티오피아이다(1). 홍화는 수용성의 황색색소(safflor)와 불용성의 적색색소(carthamin)를 함유하고 있어 예로부터 천연 염료로서 널리 사용되어져 왔으며(1), 아울러 한방에서는 어혈 및 통경 치료제로서 홍화탕, 황혈통경탕 등의 한약처방제로 널리 이용하고 있다(2).
홍화의 원산지는 어디인가? 홍화(紅花, 영명: Safflower, 생약명: Carthamus tinctorius L.)는 국화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목으로서 원산지는 아프카니스탄의 산악지대 또는 이집트 및 에티오피아이다(1). 홍화는 수용성의 황색색소(safflor)와 불용성의 적색색소(carthamin)를 함유하고 있어 예로부터 천연 염료로서 널리 사용되어져 왔으며(1), 아울러 한방에서는 어혈 및 통경 치료제로서 홍화탕, 황혈통경탕 등의 한약처방제로 널리 이용하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이상인. 1981. 본초학. 수서원, 서울. p 459-460 

  2. 한대석. 1988. 생약학. 동명사, 서울. p 270-271 

  3. 성종환, 하영선, 임무현, 임정교, 강갑석. 2005. 식품과 건강. 형설출판사, 서울. p 108- 109 

  4. 김인환. 1992. 신약본초. 인산동천문화사, 서울. p 567-568 

  5. Seo HJ, Kim JH, Yun KD, Jeon SM, Ku SK, Lee JH, Moon KD, Choi MS. 2000. The effects of safflower seed powder and its fraction on bone tissue in rib-fractured rats during the recovery. J Korean Nutr 32: 411-420 

  6. Chung SY, Choi HJ, Chung MW, Ahn MR, Yoo TM, Rheu HM, Yang JS. 2002. Effects of safflower seed on the fracture healing in rat tibia. Arch Pharm Res 25: 313-317 

  7. Kim HJ, Bae YC, Choi SW, Cho SH, Park RW, Choi YS, Lee WJ. 2002. Bone-protecting effect of safflower seeds in ovariectomized rats. Calcif Tissue Int 71: 88-94 

  8. Cho SH, Choi SW, Choi YS, Kim HJ, Park YH, Bae YC, Lee WJ. 2007. Effect of ethanol extract of safflower seed on bone loss in ovariectomized rat. Food Sci Biotechnol 16: 392-397 

  9. Moon KD, Back SS, Kim JH, Jeon SM, Lee MK, Choi MS. 2001. Safflower seed extract lowers plasma and hepatic lipids in rats fed high-cholesterol diet. Nutr Res 21: 895-904 

  10. Cho SH, Choi SW, Choi YS, Lee WJ. 2001. Effects of defatted safflower and perilla seed powders on lipid metabolism in ovariectomized female rats fed high cholesterol die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12-118 

  11. Cho JH, Lee HL, Kim TH, Choi SW, Lee WJ, Choi YS. 2004. Effects of defatted safflower seed extract and phenolic compounds in diet on plasma and liver lipid in ovariectomized rats fed high-cholesterol diets. J Nutr Sci Vitaminol 50: 32-37 

  12. Bae SJ, Shim SM, Park YJ, Lee JY, Chang EJ, Choi SW. 2002. Cytotoxicity of phenolic compounds isolated from seeds of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on cancer cell lines. Food Sci Biotechnol 11: 140-146 

  13. Zhang HL, Nagatsu A, Watanabe T, Sakakibara J, Okuyama H. 1997. Antioxidative compounds isolated from safflower (Carthamus tinctorious L.) oil cake. Chem Pharm Bull 45: 1910-1914 

  14. Kang GH, Chang EJ, Choi S. 1999. Antioxidative activity of phenolic compounds in roasted safflower seeds. J Food Sci Nutr 4: 221-225 

  15. Roh JS, Sun WS, Oh SU, Lee JI, Oh WT, Kim JH. 1999.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safflower (Carthamus tinctorious L.) seeds. Food Sci Biotechnol 8: 88-92 

  16. Kim EO, Oh JH, Lee SK, Lee JY, Choi SW. 2007. Antioxidant properties and quantification of phenolic compounds from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seeds. Food Sci Biotechnol 16: 71-77 

  17. Kawashima S, Hayashi M, Takii T, Kimura H, Zhang HL, Nagatsu A, Sakakibara J, Murata K, Oomoto Y, Onozaki K. 1998. Serotonin derivative, N-(p-coumaroy10 serotonin, inhibits the production of TNF- $\alpha$ , IL-1 $\alpha$ , IL-1 $\beta$ , and IL-6 by endotoxin-stimulated human blood monocytes. J Interferon Cytokine Res 18: 423-428 

  18. Takii T, Hayashi M, Hiroyuki H, Chiba T, Kawashima S, Zhang HL, Nagatsu A, Sakakibara J, Onozaki K. 1999. Serotonin derivative, N-(p-coumaroyl0 serotonin, isolated from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oil cake augments the proliferation of normal human and mouse fibroblasts in synergy with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 $\beta$ FGF) or epidermal growth factor (EGF). J Biochem 125: 910-915 

  19. Palter R, Lundin RE. 1970. A bitter principle of safflower, matairesinol monoglucoside. Phytochemistry 9: 2407-2409 

  20. Palter R, Lundin RE, Haddon WF. 1972. A cathartic lignan glycoside from Carthamus tinctorus. Phytochemistry 11: 2871-2874 

  21. Sakamura A, Terayama Y, Kawakatsu S, Ichihara A, Saito H. 1978. Conjugated serotonins related to cathartic activity un safflower seeds (Carthamus tinctorious L.). Agric Biol Chem 42: 1805-1806 

  22. Kim EO, Lee JY, Choi SW. 2006. Quantitative changes in phenolic compounds of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seeds during growth and processing. J Food Sci Nutr 11: 311-317 

  23. Shimoni E. 2004. Stability and shelf life of bioactive compounds during food processing and storage: soy isoflavone. J Food Sci 69: 160-166 

  24. Kadlec P, Kaasova J, Bubnik Z. 2003. Chemical and physicochemical changes during microwave treatment of rice. Food Sci Biotechnol 12: 219-223 

  25. Kim EM, Lee KJ, Chee KM. 2004. Comparison in isoflavone contents between soybean and soybean sprouts of various soybean cultivars. Korean J Nutr 37: 45-51 

  26. Kim JS, Kim JG, Kim WJ. 2004. Changes in isoflavone and oligosaccharides of soybeans during germin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294-298 

  27. Izumi T, Piskula MK, Osawa S, Obata A, Tobe K, Saito M, Kataoka S, Kubota Y, Kikuchi M. 2000. Soy isoflavone aglycones are absorbed faster and in higher amounts than their glucosides in humans. J Nutr 130: 1695-1699 

  28. Lee JH, Baek IY, Kang NS, Ko JM, Kim HT, Jung CS, Park KY, Ahn YS, Suh DY, Ha TJ. 2007. Identification of 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effects from the exudate of germinating peanut (Arachis hypogaea). Food Sci Biotechnol 16: 29-36 

  29. Lukasz W, Malgorzata G, Tomasz Z, Waldemar B, Lech R, Stefan J. 2006. A comparative study of water distribution, free radical production and activation of antioxidative metabolism in germinating pea seeds. J Plant Physiology 163: 1207-1220 

  30. Saikusa T, Horino T, Mori Y. 1994. Accumulation of $\gamma$ - aminobutyric acid (GABA) in the rice germ during water soaking. Biosci Biotech Biochem 58: 2291-2292 

  31. Choi HD, Kim YS, Choi IW, Park YK, Park YD. 2006. Hypotensive effect of germinated brown rice o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448-451 

  32. Choi HD, Kim YS, Choi IW, Seog HM, Park YD. 2006. Anti-obesity and cholesterol-lowering effects of germinated brown rice in rats fed with high fat and cholesterol die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674-678 

  33. Hwang EJ, Lee SY, Kwon SJ, Park MH, Boo HO. 2006. Antioxidative, antimicrobial and cytotoxic activities of Fagopyrum esculentum Moench extract in germinated seeds. Korean J Med Crop Sci 14: 1-7 

  34.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2. Food Standard Code (Appendix). Seoul, Korea. p 3-29 

  35. Shin HS. 1974. Study on lipid metabolism of soybean during sprouting. Korean J Agric Chem 17: 240-246 

  36. Lee BJ, Jang HS, Lee GH, Oh MJ. 2003.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s of pumpkin (Cucurbita moschata DUCH.) seed sprouts. Korean J Food Preservation 10: 527-533 

  37. Kim JH, Kwak DY, Choi MS, Moon KD. 1999. Comparison of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Korean and Chinese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seed.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912-9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