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생산성과 기술변화 비교분석
Analysis of the Productivity and Technological Change of the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in Korea 원문보기

산업공학 = IE Interfaces, v.21 no.3, 2008년, pp.312 - 321  

배영임 (성균관대학교 산업공학과) ,  송성환 (성균관대학교 산업공학과) ,  권성훈 (성균관대학교 기술경영학과) ,  홍순기 (성균관대학교 산업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oductivity increase by technological advance is the biggest driving force of economic growth.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inputs and outputs of the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in Korea. We also estimate the total and partial factor productivities of both industries using the S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경제성장은 노동과 자본 등 생산요소의 증대를 통한 양적 성장과 함께 생산요소들의 효율을 높이는 생산성 제고라는 질적 성장에 기인한다. 본 연구는 전통적인 생산성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1980년 부터 2005년 까지의 제조업과 서비스업1)의 기술변화와 성장요인을 실증 분석하는 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개별요소생산성과 총요소생산성을 분석했으며 노동, 자본, 기술의 성장요인 기여도를 구함으로써 산업간 생산성 격차와 산업내의 성장동인을 분석했다.

가설 설정

  • Solow는 자본과 노동의 가격이 각각 그 한계생산성으로 주어진다고 가정하고 α와 β의 합이 1인 제약식을 사용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제성장은 어디에 기인하는가? 경제성장은 노동과 자본 등 생산요소의 증대를 통한 양적 성장과 함께 생산요소들의 효율을 높이는 생산성 제고라는 질적 성장에 기인한다. 본 연구는 전통적인 생산성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1980년 부터 2005년 까지의 제조업과 서비스업 의 기술변화와 성장요인을 실증 분석하는 데 의의가 있다.
서비스업의 노동생산성은 어떻게 계산했는가? 서비스업의 노동생산성은 제조업과 마찬가지로 산출은 GDP를, 투입은 취업자 수에 연간 평균근로 시간을 곱한 총 노동투입 시간을 사용했다.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개별요소생산성과 총요소생산성을 분석한 연구의 한계는? 본 연구의 한계점은 첫째, 부품, 소재와 에너지 등 중간투입물을 포함한 총 생산함수를 사용하여 중간 투입물의 영향 또는 기여도를 측정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둘째, 노동과 자본의 질적 변화, 규모의 효과, 산업내의 구조변화를 반영하지 못해 이 효과가 모두 기술변화에 포함된다는 점이다. 셋째, 모델 오류(model specification error), 측정 오류로 인한 오차(measurement error)가 모두 총요소생산성에 포함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많은 학자들이 총요소생산성 증가율 또는 기술변화율을 ‘나머지(residual)’라고 부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ank of Korea Economic Statistics System, http://ecos.bok.or.kr 

  2. Bank of Korea (2007), Analysis on the Causes and Economic Effects of Interindustry Productivity Gap Wide 

  3. Bank of Korea (2000), Analysis on the Causes of Korea Productivity Fluctuation 

  4. Bank of Korea (2005), Analysis on Korea Capital Stock Matrix and a Trial Results 

  5. Bank of Korea (2005), Korea National Account System 

  6. Eui-Jae, Kim (1999), Growth Factor Analysis on the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7. Hak K. Pyo (2002), Estimates of Capital Stock by Industries and Assets for the Republic of Korea, Korea Institute of Public Finance 

  8. Hong Soon-ki, Hong Sa-kyun, and Ahn Doo-hyun (1991), Analysis on Interindustry Flows of R&D Investment and Effects of Productivity Growth directly or indirectly,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9.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and Trade (2000), Analysis on Productivity of Korean Industry 

  10.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Homepage, http://www.kosis.kr 

  11.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Korea Standard Industry Code(9th) 

  12. Korea Productivity Center (2006), International Comparisons of Productivity 

  13. Kwack, Tae won (1995), CGE Model for Environment Policy Simulation, Korea Environment Institute 

  14. Lim, Jae-Hoon (2003), A Cross-Country Analysis of Productivity and Technological Change in Construction Industry, Sung Kyun Kwan University 

  15.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06),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Capability Assessment 

  16. OECD(2006), Main Science and Technology Indicator 

  17. Solow, R. (1957), Technical Change and the Aggregate Production Function,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cs, 39, 312- 320 

  18. T. Shin (2004), Contribution on growth of R&D Expenditure,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