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강하구에 도래하는 재두루미(Grus vipio) 서식지이용과 토지피복도 상관관계 연구
Comparison of White-naped Crane Habitat Use Pattern with Land-coverage Map in the Han-River Estuary and DMZ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17 no.4, 2008년, pp.255 - 262  

김성옥 (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  이상돈 (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the Han-river estuary and DMZ where white-naped crane (Grus vipio; endangered migratory bird) stopover or spend winter, the habitat composition and the habitat use pattern of white-naped crane were analyzed with the position data obtained by the satellite tracking method. By the use of geograp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한강하구지역이나 철원지역의 어떤 서식지가 재두루미에게 실제로 중요한 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수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겨울철 재두루미의 도래지에 이들이 이용하는 중요서식지에 대한 도출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에 사용된 재두루미의 이동경로에 대한 자료는 1993년에 수집되었으며 이들은 우리나라 한강하구지역을 중요한 이동경로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GPS를 통해 시간대 별로 얻어진 재두루미의 위치추적 자료를 통하여 재두루미가 이동하는 주요 지점을 파악하고, 그 지점의 서식지 별 특성을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GIS기법을 통하여 재두루미 서식지에 대한 공간 분석을 함으로써 향후 철새보호를 위한 한강하구와 DMZ에서의 서식지 보전 및 관리체제를 개발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그동안 겨울철새이며 천연기념물인 재두루미의 이동경로를 파악한 이후 한강하구지역의 서식지이용분석에 관한 최초의 연구이다. 재두루미의 이동경로에 대한 많은 논문에도 불구하고 재두루미가 도래하는 도래지(혹은 중간기착지)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였다.
  • 본 연구는 한강하구지역에 도래하는 천연기념물 재두루미에 대한 서식지분석의 최초연구이다. 재두루미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농경지를 확보해야 하며, 재두루미가 야간에는 수역지역을 선호하는 것을 감안하면 습지지역의 보전이 중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재두루미의 겨울철 월동 지역은 어디인가? 2007a). 재두루미는 겨울이 되면 한반도를 거쳐 일본으로 이동하는데 비무장지대 부근의 철원평야, 판문점이나 한강하구와 임진강하류의 개펄 등지를 거쳐 가거나 일부는 월동한다. 수백마리의 재두루미가 비무장지대에서 월동하고 나머지 무리는 남으로 계속 이동해서 일본의 규슈의 이즈미에서 월동한다(Higuchi et al. 1992). 그러나 재두루미의 채식지로서 이용되고 있는 한강하구 습지 주변의 논들은 택지개발로 인하여 그 면적이 줄어들고 있으며, 1980년대에 이미 한강하구 삼각주 중심부는 갈대와 띠의 집단이 침입하여 재두루미의 식이 식물들이 밀려나고 재두루미 집단은 한강하구와 임진강하류로 옮기게 되었다(구태회, 1984).
두루미 중 한국에서 월동하는 종은? 재두루미는 두루미속에 속하며, 두루미속의 15종의 두루미 중 7종은 IUCN Red Data Book(제46호)에 멸종위기 종으로 등록되어 있다(Archibald and Lewis, 1996; Harris, 1994). 이들 두루미 중 한국에서 월동하는 종으로는 두루미(Grus japonensis Red-crowned crane, 천연기념물 제 202호), 재두루미(G. vipio White-naped Crane, 천연기념물 203호), 흑두루미(G. monacha, Hooded Crane, 천연기념물 제 228호) 그리고 검은 목 두루미(G. grus, Common Crane)의 4종이 있다(배성환, 2000).
재두루미의 이동경로와 한강하구 지역의 서식지 이용 분석에 관한 본 연구에서, 토지피복도 자료와 비교 분석한 결과 재두루미는 농업지역과 산림지역 중 어느 지역을 선호하고 그 이유는 무엇인가? 연구 결과 재두루미는 농업지역과 산림지역의 비율이 비교적 높은 한강하구역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임의로 추출된 토지피복도자료와 비교할 때, 특히 농업지역과 초지의 비율이 좀 더 높은 강화, 고양, 파주 일대와 판문점을 포함한 DMZ일대를 서식지로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 이는 두루미를 포함한 재두루미는 DMZ를 비롯한 민통선 지역의 농경지를 겨울에 선호하였으며 이들 지역은 재두루미가 섭식하기 좋은 낙곡이 풍부한 곳으로 판단된다(Lee et al. 2007b). 또한 DMZ를 포함한 민통선(CCZ: Civilian Control Zone) 지역이 하천유역을 따라 낙곡이 풍부한 농경지와 습원 생태계가잘 발달한 민간인 통제구역으로서 교란(방해요인)이 적은 지역이기 때문이기도 하다(이상돈, 2004; 전성우 외,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구태회, 1984, 한국에 도래하는 재두루미의 월동생태, 경희대학교 논문집, 13편, 509-514. 

  2. 김우갑, 김관선, 1997, 생물통계학, 정문각. 

  3. 배성환, 2000, 두루미, 도서출판 다른세상. 

  4. 이창희, 2003, 하구역 환경조전 전략 및 통합관리방안 수립(한강하구역을 중심으로), KEI, 연구보고서. 

  5. 윤순영, 노백호, 2006, 김포 홍도평야에 도래하는재두루미(Grus vipio)와 황오리(Tadorna ferruginea) 개체수 변동추이, 한국조류학회지, 13(2), 53-60. 

  6. 이상돈, 2004, 비무장지대의 습지생태계 보전방안, 한국습지학회학회지, 6(3), 95-105. 

  7. 전성우, 변병설, 이병준, 2003, DMZ일원의 환경보전 기본방안, KEI, 연구보고서. 

  8. 한강유역환경청, 2007, 한강하구 습지보전계획 수립연구. 

  9. Archibald, G. W. and J. C. Lewis , 1996, "Chapter1. Crane Biology" in David H. Ellis, George F. Gee, Claire M. Mirande, Cranes: Printed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945. 

  10. Baker, B. W., B. S. Cade, W. L. Mangus, and J. C. MacMillen, 1995, Spatial analysis of Sandhill Crane nesting habitat, Journal of Wildlife Management, 59(4), 752-758. 

  11. Chong, J., H., Higuchi and U. Pak, 1994, The migration routes and the important restsites of cranes on the Korean peninsula, The future of cranes and wetlands, 41-50 

  12. Cooper, J. M., 1996, Status of the Sandhill Crane in British Columbia, Wildlife Society Bulletin, B-83. 

  13. Fujita, G., H.-L. Guan, M. Ueta, O. Goroshiko, V. Klever, K. Ozaki, N. Mita, and H. Higuchi, 2004, Comparing areas of suitable habitats along travelled and possible shortest routes in migration of White-naped Cranes Grus Vipio in East Asia, British Union, Ibis. 146, 461-474. 

  14. Harris, J., 1994, Cranes, people and nature:preserving the balance, The Future of Cranes and Wetlands, 1-14. 

  15. Higuchi, H., K. Ozaki, G. Fujita, M. Soma, N. Kanmuri and M. Ueta, 1992, Satellite tracking of the migration routes of cranes from southern Japan, Strix, 11, 1-20. 

  16. Higuchi, H., 1994, Satellite tracking of migrating cranes and swans in eastern Asia, Argos Newsletter, No 48. 

  17. http://www.cls.fr/html/argos/documents/newslet ter/nslan48/cranes_swans-en.html 

  18. Higuchi, H., K. Ozaki, G. Fujita, J. Minton,, M. M. Soma, and N. Mita, 1996, Satellite Tracking of White-naped Crane Migration and the Importance of the Korean Zone. Conservation Biology, 10(3), 806-812. 

  19. Higuchi, H., J. P. Pierre, V. Krever, G. Fujita, K. Ozaki, O. Goroshko, M. T. Ueta, S. Smirensky, and N. Mita, 2004, Using a Remote Technology in Conservation:Satellite Tracking White-naped Cranes in Russia and Asia, Conservation Biology, 18(1), 136-147. 

  20. Higuchi, H. and J. P. Pierre, 2005, Satellite tracking and avian conservation in Asia, Landscape and Ecological Engineering, 1(1), 33-42. 

  21. Higuchi, H., M. Nagendran, J. P. Pierre, 2006, Satellite-tracking the migration of cranes and storks, Acta Zoologica Sinica 52 (Supplement), 206-210, 

  22. Jouventin, Perre and H. Weimerskirch, 1990, Satellite tracking of Wandering albatrosses, Nature 343. 746-748. 

  23. Kim, K. and E. O. Wilson, 2000, The land that war protected, Editorial article, New York Times. 

  24. Nagendran, M., H. Higuchi, and A. G, Sorokin, 1994, A Harnessing Technique to Deploy Transmitters on Cranes, The Future of Cranes and Wetlands, 57-60. 

  25. Lee, S., P.G. Jablonski, and H. Higuchi, 2007a, Effect of heterospecifics on foraging of endangered red-crowned and whitenaped cranes in the Korean Demilitarized Zone. Ecological Research, 22, 635-640. 

  26. Lee, S., P. G. Jablonski, and H. Higuchi, 2007b, Winter foraging of threatened cranes in the Demilitarized Zone of Korea: Behavioral evidence for the conservation importance of unplowed rice fields. Biological Conservation 138, 286-289. 

  27. Shimazaki, H., M. Tamura, Y. Darman, V. Andronov, M. P. Parilov, M. Nagendran and H. Higuch, 2004, Network analysis of potential migration routes for Oriental White Storks (Ciconia boyciana), Ecological Research, 19(6), 683-698. 

  28. Zar, J. H., 1999, Biostatistical Analysis, 4th edition, Prentice-Hall International, Inc. Saddle River, NJ.,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