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산재의 응용물성연구III: 백합나무, 거제수나무, 오동나무의 수분흡착성 및 열적·전기적·음향적 성질
Study on Physical Properties of Domestic Species III: Sorption, Thermal, Electrical and Acoustic properties of Liriodendron tulipifera, Betula costata, Paulownia coreana 원문보기

목재공학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v.36 no.6 = no.153, 2008년, pp.1 - 12  

이원희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박병수 (국립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 ,  정성호 (국립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 ,  강호양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황권환 (국립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 ,  변희섭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업생명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주요 국산재의 여러 가지 응용물성을 지난 3년에 걸쳐 조사하였다. 전보(강 외 4인 2008, 변 외 5인 2008)에 이어 본보에서는 우리나라의 활엽수 주요 수종인 백합나무, 거제수나무, 오동나무를 재료로 사용하였다. 매년 동일한 장치와 실험조건으로 실험하였기 때문에 모든 수종에 대한 결과를 상호 비교 할 수 있었다. 수분흡착성 실험은 80메시 목분을 이용하였으며, 넓은 범위의 상대습도조건에 따른 평형 함수율흡착등온선을 구하였다. 열전도율과 열확산률은 열선열전도장치를, 전기의 부피저항률과 저 항은 고전기저항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정목재와 판목재의 열적 전기적 특성차이가 관찰되었는데 이는 해부학적 차이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음향적 성질은 음향측정시스템을 사용하여 동적탄성률, 내부마찰을 측정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들은 목재구조물 설계, 휴대용 목재수분계 보정, 음향적 성질 등에 필요한 기본 자료를 제공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series of the studies on the applied physical properties of domestic species have been conducted last three years. Liriodendron tulipifera, Betula costata, Paulownia coreana were examined on sorption property, thermal property, electric property, acoustic property. Because the same apparatus and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21개 시편을 7개 그룹으로 나누어 실리카와 6종의포화염수용액이 담긴 데시케이터에 넣어 조습시켰다. 시편들은 6주 후에 충분히 평형에 도달하였다고 생각되었으며 일정시간 경과 후 비닐주머니에 넣고 밀봉하였다.
  • 길이 100 mm으로 잘랐다. 수종별로 정목과 판목의 두 가지 시편을 각각 21개씩 만들었다. 두께를 10 mm로 얇게 만듦으로써 조습이쉽게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 전기적. 음향적 성질을 조사하였다.
  • 이 그래프 상에서 직선상의 부위인 상대 습도 약 40% 범위의 직선의 기울기와 절편으로부터 목재의 수분 홉착에 관여한다고 생각되는 내부 비 표면적을 BET법에 의거하여 산출하였다. 1에는 전보강 외 4인, 2008: 변 외 4인, 2008)에서 발표한 국산 주요침엽수재의 결과를 백합나무.
  • 전기비저항. 전기저항을 정 목재와 판목재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본 실험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 전기비저항. 전기저항을 측정한 후에 모든 시편을 103 ± 2℃ 오븐에서 건조시켜 전건무게들 구하였다.

대상 데이터

  • 오동나무 (Paulownia coreana). 거제수나무 (Betu/a cos tat a) 로서 음향적 성질 평가에는 정목(길이 300 (L) X 두께 10 (T) X 폭 20 (R) mm) 및 판목(길이 300 (L) X 두께 X io (R) X 폭20 (T) mm)재를 각각 100개씩 제작하여 경사목리나 할렬 등이 없는 재료를 50개 선택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전 시험은 항온항습 조건(20℃.
  • 공시 목은 백합나무(Liriodendr tulipifera). 오동나무 (Paulownia coreana).
  • 모든 실험의 공시재료는 전보강 외 4인, 2008: 변외 5인, 2008)와 동일하게 국립산림과학원으로부터제공받아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을 행하였다. 공시 목은 백합나무(Liriodendr tulipifera).
  • 열적성능 평가에는 이들 세종류의 수종을 각각 벌채하여 3 cm 판재로 제재하였다. 서울 국립산림과학원 실내에서 3개월 이상 천연건조하여 본 실험 장소로 운반하였다. 판재를 정목와 판목으로 구분하여 대패질한 후에 두께 10 mm.
  • 65%)에서 실시하였다. 열적성능 평가에는 이들 세종류의 수종을 각각 벌채하여 3 cm 판재로 제재하였다. 서울 국립산림과학원 실내에서 3개월 이상 천연건조하여 본 실험 장소로 운반하였다.
  • 3과 같이 열전도율도 목재 밀도에 따라 변한다. 전년도에 실험한 소나무. 잣나무.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강호양, 변희섭, 이원희, 박병수, 박정환. 2008. 국산재의 응용물성연구 I: 소나무의 수분흡착성 및 열적.전기적.음향적 성질. 목재공학 36(3): 70-84. 

  2. 변희섭, 강호양, 이원희, 박병수, 정성호, 박정환. 2008. 국산재의 응용물성연구 II: 잣나무 낙엽송의 수분흡착성 및 열적.전기적.음향적 성질. 목재공학 36(4): 1-10. 

  3. 변희섭, 홍병화. 1997. 피아노향판용 아가티스재의 동역학적 성질. 한국가구학회지. 8(1/2): 10-15. 

  4. 정우양, 박선행. 1999. 바이올린용 소재의 진동모드해석에 관한연구-절삭방향 및 밀도에 따른 공진주파수의 변화. 목재공학. 27(3): 1-6. 

  5. 홍병화. 1985. 響板用 오동나무재의 動力學的 性質. 목재공학. 13(3): 34-40. 

  6. Brunauer, S., P. H. Emmett, and E. Teller, 1938. J. Amer. chem. Soc. 60, 309-319. 

  7. Bucur, V. 1995. Acoustic of Wood. CRC Press. pp. 14-44. 

  8. Gillis, Christopher M., W. Stephens, and P. Peralta. 2001. Moisture meter correction factors for four Brazilian wood species. Forest Products Journal 51(4): 83-86. 

  9. Chirkova, J., I. Irbe, B. Andersons, and I. Andersone. 2006. Study of the structure of biodegraded wood using the water vapour sorption method. International Biodeterioration & Biodegradation. 58: 162-167. 

  10. Kataoka, A. and T. Ono. 1976. The dynamic mechanical properties of Sitka spruce used for sounding boards. J. Japan Wood Res. 22(8): 436-443. 

  11. Olek, W., J. Weres, and R. Guzenda. 2003. Effects of Thermal Conductivity Data on Accuracy of Modeling Heat Transfer in Wood. Holzforschung 57(3): 317-325. 

  12. Rice, Robert, W. and R. K. Shepard 2004. The thermal conductivity of plantation grown white pine (Pinus strobus) and red pine (Pinus resinosa) at two moisture content levels. Forest Products Journal 54(1): 92-94. 

  13. Suleiman, B. M., J. Larfeldt, B. Leckner, and M. Gustavsson. 1999. Thermal conductivity and diffusivity of wood. Wood Science and Technology 33: 465-473. 

  14. 岡野 健. 1991. 木材の音響的性質. 木材學會誌. 37(11): 991-998. 

  15. 矢野浩之, 山田一正. 1989. ピアノ響板用シトカスプル?ス材放射方向の音響特性. 木材學會誌. 31(3): 222-230. 

  16. 矢野浩之, 松岡一郞, ?代純輔. 1992. バイオリン用材の音響的性質. 木材學會誌. 38(2): 122-127. 

  17. Norimoto, M. 1982. Structure and properties of wood used for musical instruments I (On the selection of wood used for piano sound boards). J. Japan Wood Res. Soc. 28(7): 407-4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