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호흡기내과 의사를 위한 Respiratory Review of 2008
Critical Care Medicine 원문보기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TRD = 결핵 및 호흡기 질환, v.65 no.3 = no.284, 2008년, pp.169 - 176  

이상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폐연구소)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렇지만, 이러한 benzodiazepine은 섬망이나 혼수 등과 같은 뇌기능 장애를 유발할 수 있고, 재원기간과 비용을 늘리며, 더 나아가 사망률도 올릴 수 있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 Dexmedetomidine은 benzodiazepine과는 다른 중추 신경계 수용체에 작용하여 진정작용을 유도하기 때문에 섬망, 혼수 등의 부작용을 줄일 수 있을 가능성이 있어, 이에 저자들은 기계환기를 받고 있는 중환자실 환자를 대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106명의 환자가 무작위 배정 되어 최대 120시간동안 dexmedetomidine 혹은 lorazepam으로 진정되었다.
  • . 이에 저자들은 recombinant human erythropoietin인 epoetin alfa 가 적혈구 수혈의 필요성을 줄일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향적, 무작위, 위약 대조군 임상 시험으로서, 중환자실에 입원한지 48∼96시간되는 1,46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 적혈구 수혈하는 것이 여러 임상 조건에서 사망률을 증가시킬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급성 폐손상 환자에서 적혈구 수혈이 병원 내 사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코호트 환자를 대상으로 급성폐손상환자 248명을 분석하였다.
  • . 이에 저자들은 인종에 따라 패혈증 발생이 차이가 있는지, 이에 따른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후향적 코호트 연구로 진행되었고, 71,102,655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 그렇지만, 실제 환자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적다. 이에 저자들은 저용량 vasopressin이 norepinephrine에 비해 패혈성 쇼크 환자의 사망률을 줄일 수 있는지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다기관 무작위 배정 양군맹검법으로 진행되었고, 5 μg norepinephrine를 투여받고 있는 패혈성 쇼크 환자를 무작위로 저용량 vasopressin (0.
  • 그렇지만, 아직 대규모 임상 연구를 통해 비교가 된적은 없는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패혈성 쇼크 치료에 있어 norepinephrine과 dopamine 병합요법을 epinephrine 단독요법과 비교하여 효과 및 안정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다기관 전향적 무작위 배정 양군맹검법으로 연구가 진행되었고 총 330명의 패혈성 쇼크 환자가 포함되었다.
  • 급성 폐손상 및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 환자에서 일회 호흡량을 적게 유지하는 것이 사망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허탈된 폐조직을 좀 더 펴주기 위하여 폐포동원술(lung recruitment), 높은 호기말양압(high PEEP)의 조치를 추가하는 것이 사망률 감소에 더 도움이 될 수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캐나다, 호주, 사우디 아라비아의 30개 중환자실에서 183명의 급성 폐손상 및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 환자가 포함되었다.
  • 중환자 의학은 매우 다양한 연관 분야의 의학적 지식이 집약된 학문으로, 최근 들어 빠른 속도로 발전되어 가고 있어, 새로운 내용의 연구 결과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호흡기내과 의사로서 알아야 할 중환자의학 관련 최신 논문들을 모아 정리하고자 한다.
  •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는 내피세포 손상 및 신생혈관형성에 필수불가결한 역할을 담당한다고 알려져 있고, VEGF 유전자의 변이는 VEGF 생성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VEGF 유전자 다형성이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의 임상 경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 발생 위험이 있는 1,253명의 중환자실 환자를 대상으로 3개의 VEGF 유전자 다형성(−460C/T, +405C/G, +936C/T)을 분석하였고, 이 중 394명에서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이 발생하였다.
  • 패혈증으로 중환자실에서 치료받고 있는 환자에 항생제를 장기간 쓰는 것은 항생제 남용을 초래하고 궁극적으로 내성균 유발의 위험성이 있다. 저자들은 procalcitonin(PCT) 농도를 일정 간격으로 측정하여 이를 근거로 항생제 중지를 결정하는 것이 기존의 경험적 항생제 투여에 비하여 항생제 투여 기간을 줄일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처치군은 PCT 농도가 초기값에 비하여 90% 이상 감소되었을 때 항생제 치료를 중단하였고, 대조군은 기존 방식대로 임상가의 판단에 따라 항생제 치료를 중단하였다.
  • 급성 폐손상 및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 환자에서 적절한 호기말 양압이 얼마인지에 대해서는 아직 이견이 많은 상태이다. 저자들은 급성 폐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과팽창을 방지하는 전략과 폐포동원이 늘어날 수 있도록 PEEP을 증가시키는 전략이 환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프랑스 37개 중환자실에서 76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무작위배정하였다.
  • 중환자에서 진정제를 끊어 의식을 깨우는 방법과 기계호흡으로부터 이탈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는 기존에 여러가지 방법들이 시도되어 왔다. 저자들은 매일 진정제를 끊어 환자를 깨운 뒤 자발 호흡 시도를 함께 시키는 프로토콜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4개의 3차 의료기관으로부터 기계호흡을 받고 있는 336명의 환자가 포함되었고, 이들을 무작위로 이들을 매일 환자를 깨운 뒤 자발 호흡 시도를 시행하는 처치군과, 일상적인 진정 상태에서 자발 호흡 시도를 시행하는 대조군으로 배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 중환자실에서 죽어가고 있는 환자들의 보호자들과 의료진 사이에는 밀접한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저자들은 환자 보호자들과의 임종에 대한 모임과 안내 책자를 개발하여 이것이 보호자들의 사별의 고통을 경감시킬 수 있는지 평가하고자 하였다. 프랑스의 22개 중환자실에서 임종을 맞이하고 있는 환자들의 보호자들 126명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임종 모임 및 안내 책자 배포를 시행하는 처치군과 기존의 방법만 이용한 대조군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환자 의학이란 무엇인가? 중환자 의학은 매우 다양한 연관 분야의 의학적 지식이 집약된 학문으로, 최근 들어 빠른 속도로 발전되어 가고 있어, 새로운 내용의 연구 결과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호흡기내과 의사로서 알아야 할 중환자의학 관련 최신 논문들을 모아 정리하고자 한다.
중환자 의학의 실정은 어떠한가? 중환자 의학은 매우 다양한 연관 분야의 의학적 지식이 집약된 학문으로, 최근 들어 빠른 속도로 발전되어 가고 있어, 새로운 내용의 연구 결과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호흡기내과 의사로서 알아야 할 중환자의학 관련 최신 논문들을 모아 정리하고자 한다.
호흡기내과 의사로써 알아야 할 중환자의학 관련 최신 논문들을 어디에서 선정하였는가? 지난 1년간 발표된 중환자 의학에 관련된 논문은 호흡기계의 중요학술지인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Thorax, Chest, European Respiratory Journal과 중요 일반 학술지인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Lancet, JAMA,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에 최근 1년간 수록된 것들 중 임상적으로 중요한 것들을 선정하였다. 역학 및 위험인자 분석, 급성호흡곤란증후군 치료, 패혈증 치료, 기타 보존적 치료, 임종관련 등의 내용으로 나누어 각각 2∼3편의 논문을 선택하여 정리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arnato AE, Alexander SL, Linde-Zwirble WT, Angus DC. Racial variation in the incidence, care, and outcomes of severe sepsis: analysis of population, patient, and hospital characteristics.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8;177:279-84. 

  2. Dombrovskiy VY, Martin AA, Sunderram J, Paz HL. Occurrence and outcomes of sepsis: influence of race. Crit Care Med 2007;35:763-8. 

  3. Martin GS, Mannino DM, Eaton S, Moss M. The epidemiology of sepsis in the United States from 1979 through 2000. N Engl J Med 2003;348:1546-54. 

  4. Zhai R, Gong MN, Zhou W, Thompson TB, Kraft P, Su L, et al. Genotypes and haplotypes of the VEGF gene are associated with higher mortality and lower VEGF plasma levels in patients with ARDS. Thorax 2007;62:718-22. 

  5. Mura M, dos Santos CC, Stewart D, Liu M.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nd related molecules in acute lung injury. J Appl Physiol 2004;97:1605-17. 

  6. Piantadosi CA, Schwartz DA. The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nn Intern Med 2004;141:460-70. 

  7. Meade MO, Cook DJ, Guyatt GH, Slutsky AS, Arabi YM, Cooper DJ, et al. Ventilation strategy using low tidal volumes, recruitment maneuvers, and high positive end-expiratory pressure for acute lung injury and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2008;299:637-45. 

  8. Mercat A, Richard JC, Vielle B, Jaber S, Osman D, Diehl JL, et al. Positive end-expiratory pressure setting in adults with acute lung injury and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2008;299:646-55. 

  9. Annane D, Vignon P, Renault A, Bollaert PE, Charpentier C, Martin C, et al. Norepinephrine plus dobutamine versus epinephrine alone for management of septic shock: a randomised trial. Lancet 2007;370:676-84. 

  10. Russell JA, Walley KR, Singer J, Gordon AC, Hebert PC, Cooper DJ, et al. Vasopressin versus norepinephrine infusion in patients with septic shock. N Engl J Med 2008; 358:877-87. 

  11. Holmes CL, Patel BM, Russell JA, Walley KR. Physiology of vasopressin relevant to management of septic shock. Chest 2001;120:989-1002. 

  12. Patel BM, Chittock DR, Russell JA, Walley KR. Beneficial effects of short-term vasopressin infusion during severe septic shock. Anesthesiology 2002;96:576-82. 

  13. Brunkhorst FM, Engel C, Bloos F, Meier-Hellmann A, Ragaller M, Weiler N, et al. Intensive insulin therapy and pentastarch resuscitation in severe sepsis. N Engl J Med 2008;358:125-39. 

  14. Sprung CL, Annane D, Keh D, Moreno R, Singer M, Freivogel K, et al. Hydrocortisone therapy for patients with septic shock. N Engl J Med 2008;358:111-24. 

  15. Annane D, Sebille V, Charpentier C, Bollaert PE, Francois B, Korach JM, et al. Effect of treatment with low doses of hydrocortisone and fludrocortisone on mortality in patients with septic shock. JAMA 2002;288:862-71. 

  16. Bleasdale SC, Trick WE, Gonzalez IM, Lyles RD, Hayden MK, Weinstein RA. Effectiveness of chlorhexidine bathing to reduce catheter-associated bloodstream infections in medical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Arch Intern Med 2007;167:2073-9. 

  17. Nobre V, Harbarth S, Graf JD, Rohner P, Pugin J. Use of procalcitonin to shorten antibiotic treatment duration in septic patients: a randomized trial.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8;177:498-505. 

  18. Corwin HL, Gettinger A, Fabian TC, May A, Pearl RG, Heard S, et al. Efficacy and safety of epoetin alfa in critically ill patients. N Engl J Med 2007;357:965-76. 

  19. Hebert PC, Wells G, Blajchman MA, Marshall J, Martin C, Pagliarello G, et al. A multicenter,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of transfusion requirements in critical care. Transfusion Requirements in Critical Care Investigators, Canadian Critical Care Trials Group. N Engl J Med 1999;340:409-17. 

  20. Napolitano LM, Corwin HL. Efficacy of red blood cell transfusion in the critically ill. Crit Care Clin 2004;20: 255-68. 

  21. Netzer G, Shah CV, Iwashyna TJ, Lanken PN, Finkel B, Fuchs B, et al. Association of RBC transfusion with mortality in patients with acute lung injury. Chest 2007;132:1116-23. 

  22. Girard TD, Kress JP, Fuchs BD, Thomason JW, Schweickert WD, Pun BT, et al. Efficacy and safety of a paired sedation and ventilator weaning protocol for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in intensive care (Awakening and Breathing Controlled trial):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Lancet 2008;371:126-34. 

  23. Pandharipande PP, Pun BT, Herr DL, Maze M, Girard TD, Miller RR, et al. Effect of sedation with dexmedetomidine vs lorazepam on acute brain dysfunction in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the MENDS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2007;298:2644-53. 

  24. Lautrette A, Darmon M, Megarbane B, Joly LM, Chevret S, Adrie C, et al. A communication strategy and brochure for relatives of patients dying in the ICU. N Engl J Med 2007;356:469-7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